|
Artist | Cézanne, Paul | |
---|---|---|
Title |
Deutsch: Kartenspieler | |
Year | 1892-1893 |
Odilon Redon(1840-1916)
오딜롱 르동-상징주의 화가
19세기 낭만주의와 20세기 초현실주의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꿈의 화가..
그는 19세기 중반의 많은 유럽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동양 미술, 특히 일본 목판화에서 영향을 받은 화가로 ,,
작품 세계는 꿈의 특성을 지니기도 하는 무정형의 유동하며 변하는 색채로부터 창조된 꿈의 세계....
자주 자연을 연구함으로써 주제들을 찾았고, 때로는 현미경을 통해 자연 대상을 관찰하였는데
작업을 진행하면서 그것들은 아름답고 거대한 환상적인 것으로 변형시켜가기에 이릅니다....
그의 생애에 있어 일반 대중으로부터 얻은 명성은 높지 않았지만,,
회화에서 상징주의 운동 전체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진보적인 경향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는데
거기에는 그 만큼 중심적인 인물은 없을것입니다
The Crying Spider, 1881.
어느 시대에나 그시대를 앞서가는 천재 또는 괴짜가 있게 마련입니다.
인상주의가 한참이던 1880년대 회괴한 그림들을 그려대던 작가가 있었으니 그 이름은 르동..
울고있는 사람얼굴의 거미,,산이나 바다위에서 불쑥 얼굴을 내미는 얼굴들,,
그의 그림의 상징성은 후에 상징주의 그리고 초 현실주의 그림의 고향이 되기도 합니다.
Artist | Odilon Redon | |
---|---|---|
Title | The Cyclops | |
Year | 1914 |
Odilon Redon, Guardian Spirit of the Waters, 1878, charcoal on paper
Vincent Willem van Gogh (1853-1890)
고 흐 - 인간의 마음이 향하고 있는 위대하고 무한한 것에 대한 갈망과 정열적인 감정을 강하게 표출하는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야수파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Artist | Gogh, Vincent Willem van | |
---|---|---|
Title |
Deutsch: Straßenarbeiter | |
Year | 1889 |
Portrait of Dr. Gachet was sold for 82.5 million US dollars, current whereabouts unknown
Paul Gauguin (1848-1903)
고 갱- 상징주의적 색채를 짙게 띤 인간의 생과 사, 영적인 것 등의 표현을 통하여 인상주의를 탈피,
그 순색의 넓은 색면에 의한 기법을 개발하여 작업하였습니다.
순수한 인간과 자연을 융합하고자 타이티로 떠난 고갱은 회화의 독자적 언어인 형태와 선, 색채를 통하여 인간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려고 하였다. 고흐와 함께 야수파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Cruel Tales (Exotic Saying), (1902)
Charles Théophile Angrand (1854-1926)
Artist | Angrand, Charles Théophile | |
---|---|---|
Title |
Català: Home i dona pel carrer
Deutsch: Mann und Frau auf der Straße
English: Man and Woman in the Street
Español: Hombre y mujer por la calle
Français : Homme et femme à la rue | |
Year | 1887 |
Henri Edmond Cross (1856-1910)
Artist | Cross, Henri Edmond | |
---|---|---|
Title |
Deutsch: Zypressen in Cagnes | |
Year |
Deutsch: um 1900
English: c. 1900 |
Georges Seurat (쇠라)
감상적 인상주의가 과학과 만나 신인상주의의길로 들어서다.
19시기 후반 즉흥적이고 직관에 의존하는 표현력과 순간의 이미지를 그리고자 했던 당시의 인상파와는 달리
Seurat는 과학적이고 분석에 의거 새로운 화법을 시도하였으며 대상의 순간을 영원으로 자신의 화폭에 고정시키려는
의도가 기존의 인상파와는 반대의 입장에서 해석하며 그만의 작품세계를 만들어 갔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인상파들이 강한 붓놀림으로 색체와 빛을 표현했다면
Seurat는 점묘(點描)화법으로 수많은 작은 터치로 대비되는 색과 빛을 부드럽게 조화시켰습니다.
'Bathers at Asnières' (아래 세번째 그림)은
Seurat의 점묘화법을 이용한 첫번째 대작이며'A Sunday on La Grande Jatte'(아래첫번째 그림)은 작품을 완성하는데만 2년의 시간이 걸린 대작으로
이 작품의 특징은 점을 화폭 위에 병렬하여 풍부하고 견고하며 톤이 빛나는 효과에 따라 관객이 눈으로 직접 물감을
혼합하고, 이미지 요소를 종합, 재구성하도록 유도했습니다.
바로 이 테크닉, 시각혼합법 덕분에 신인상파라는 용어가 탄생된 것입니다
A Sunday Afternoon on the Island of La Grande Jatte[그랑드 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
Georges Seurat, 1884–1886 |
Oil on canvas |
207.6 × 308 cm, 81.7 × 121.3 in |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인상파가 찰나성이나 流動하는 느낌 등 빛의 정서적 측면을 강조했다면, 이같은 열성적인 탐구 끝에 나온 그의 독특한 조형법에 점묘법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
Detail from Seurat's La Parade (1889), showing the contrasting dots of paint used in pointillism.
점을 화폭 위에 병렬하여 풍부하고 견고하며 톤이 빛나는 효과에 따라 관객이 눈으로 직접 물감을
혼합하고, 이미지 요소를 종합, 재구성하도록 하는 쇠라의 점묘화법을 볼수있는 그림의 일부-디테일..
가까이에서 보면 그림이라기 보다는 여러가지 색점의 나열에 불과하지만 어느정도의 거리가 떨어질때
각각의 색점들은 보는이의 눈에서 혼합되며(캔버스위에서 혼합되어 이미 꾸며진 이미지가 아닌) 이미지를
재구성하게 됩니다.
Bathers at Asnières, 1884, National Gallery, London[아니에르에서의 목욕]
Camille Pissarro,(1830-1903)
1874년에 시작된 인상파그룹전(展)에 참가한 이래 매회 계속하여 출품함으로써 인상파내 최연장자가 되었습니다.
그의 작풍은 인상파 특유의 기법을 바탕으로 수수하면서도 견실성을 보여 모네와 시슬레보다 한층 구성적인 면에
특색을 보였으나, 1850년대 중반경 한때 쇠라의 점묘법(點描法)에 끌려 밝고 섬세한 규칙적인 필법에 의한 작품도 남겼습니다.
만년에는 시력이 약화되었으나 최후까지 제작활동을 계속하여 인상주의 운동과 운명을 함께 하려는 성실성을 보였습니다.
많은 인상파 작가들과 교류하였으며 특히 르노와르,,모네등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존재이기도 햇습니다.
Haying at Eragny, 1889, Private Collection
Sunset at St. Charles, Eragny, 1891,
Henri de Toulouse-Lautrec (1864-1901)
Artist | Toulouse-Lautrec, Henri de | |
---|---|---|
Title |
Deutsch: La Clownesse Cha-U-Ka-O in Moulin Rouge | |
Year | 1895 |
In Bed, 1893
Moulin Rouge - La Goulue, poster (1891)
로트렉에 관해서는 외국의 화가편에서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감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댓글 이편에 올라와 있는 화가들의 몇몇은 고흐의 영향을 많이 받은것같습니다 붓터치의 길고 짧음의 차이외에는 크게 다른걸 모르겠어요 쇠라의 화법에 대한 설명을 보니 예술과 과학을 떼어 생각할수 없네요 ..류의 글씨로 색맹검사 받았습니다..세잔느의 그림도 무심코 봐왔는데 글을읽고 보니 확실히 입체감이 더 느껴집니다...가느다랗고 긴 나무의 화사한 배경이 초여름 인가요 눈이 부십니다 화풍과 ~주의를 떠나서 보여지는것과 그이상을 캔버스에 표현할수 있다는것 자체가 은총이란 생각입니다
특히 후기 인상주의는 많이 보아온 친밀감있는 그림들입니다,감사히 잘보고 있습니다.리움미술관에 설치된 청동거미는 윗그림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