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남동(大阜南洞)
-대부남동은 법정동 이름이며 행정동으로는 대부동 관할이다-
대부남동은 대부도(大阜島)의 남쪽에 위치한다. 대부도는 삼국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다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한주(漢州)에 속하였다.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 소속이었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그대로 남양(南陽) 소속이었다. 1709년(숙종 35) 대부도에 진(鎭)이 설치되어 대부첨사가 관할하기도 하였으나 1895년(고종 32)에 대부진(大阜鎭)이 혁파될 때까지 존폐를 거듭하였다.
대부도는 조선 후기 면리제가 실시된 이후 대부면이 된 것으로 보이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거 1914년 3월 1일 남양군(南陽郡)에서 부천군(富川郡)으로 이관되었고, 1917년 6월 20일 경기도고시 제28호에 의해 대부면은 동리ㆍ 남리ㆍ 북리ㆍ 선감리ㆍ 풍도리로 편제되었는데, 남리(南里)는 흘곶동(訖串洞)과 상동(上洞) 일부 지역이 합쳐진 것이다. 1973년 행정구역 개편(법률 제2597호)으로 대부면이 옹진군(甕津郡)에 편입되었으며, 1994년 12월 26일 다시 행정구역 개편(대통령령 제14434호)으로 안산시에 편입될 때 대부면 남리가 대부남동(大阜南洞)이 되었다.
①중부흥-남1리
대부도 남쪽 중앙부에서 남동쪽으로 반도형(半島形)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가리킨다. 1871년 작성된 대부도지도에는 말부흥 끝에 부항포(浮缸浦)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물 위에 떠 있는 목이 긴 항아리(또는 병) 같은 형태의 포구라는 뜻이다. 이로써 말부흥 끝에 포구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옹진군지」에는 산이 부엉이같이 생겼다 하여 큰부엉이·작은부엉이라고 불렀고, 약 50년 전부터 가운뎃부엉이라고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부항포의 부항을 부엉이라고 부르지 않았나 생각된다. 부항포의 지명이 바뀐 것은 일제 때로서 1917년경에 작성된 지도에서는 ‘浮缸浦’를 ‘扶項浦’라고 한자만 다르게 표기하였다. 남1리와 남2리 사이에 있는 돌메기갯골이 목이 긴 항아리같이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생각된다.
1942년경 일제가 농촌진흥회를 조직하고 식량 증산과 수탈을 할 때에 부엉이라고 발음되는 마을 이름을 부흥(富興)이라고 변경해 중부흥(中富興)·말부흥(末富興)으로 한자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물
옛날부터 있어 온 우물로 수량이 많고 물 맛이 좋아 온 동네가 이 물을 길어다 썼고, 마을 이름도 한우물동네라고 하였다.
⦁느릿뿌리
지형의 경사가 느리게 내려가면서 해변에서 뾰족하게 나가 그쳤다고 하여 느릿뿌리(느릿부리)라는 지명을 붙였다.
⦁느릿뿌리 들
느릿뿌리의 경사진 땅을 논밭으로 만들어 느릿뿌리 들이라고 불렀다.
⦁붉은뿌리
남1리와 6리 경계지점으로 이 지역 토지 색깔이 붉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금당구지
한우물 동네에서 동쪽 동림산업 염전 쪽으로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황금산에서 금닭이 날아와 앉은 곳이라고 해서 금당구지라고 했다 한다.
⦁종자문
남리와 상동 경계 사이의 산 모퉁이 좁은 길목을 가리킨다.
⦁항낭골(행낭골)
행랑채에 사는 목부들이 많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각큰재
고개의 경사가 급하여 각이 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② 말부흥-남2리
말부흥(末富興)의 지명 유래는 중부흥과 같으며, 부흥의 끝 해안쪽에 있는 마을이다
⦁말샘산
마을 앞에 있는 산으로 말이 먹는 샘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랫돌막
말부흥과 중부흥 사이에 있는 좁은갯골의 윗쪽에서 물이 들어와 아랫쪽으로 돌아 빠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윗돌막
만복염전 서쪽 중부흥 사이의 좁은갯골 이름으로, 말부흥이 섬이었을 때 물이 먼저 들어와 나중에 빠졌다고 한다.
⦁큰산재빼기
아랫돌목 쪽에서 가까운 큰산께에 있는 고개를 이르는 말이다. 큰산 밑의 해안은 큰산개라고 부른다.
⦁작은말
대부염전 안쪽(북쪽) 당산에 있는 작은 마을을 말한다.
⦁메나발
옛날 고기가 많던 어장 이름으로 민어가 많이 잡혔다고 한다. 간척사업으로 논이 되었다가 다시 염전으로 변하였다.
⦁큰마을
말부흥 끝에 있는 마을로 남2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당산 안쪽 마을로 마을 앞에 선착장이 있다.
⦁당산
큰마을 앞에 있는 높이는 28m의 산으로 이곳 당(堂)에서 풍어제를 지냈다. 외지 사람에게 산이 팔린 후 당을 파내고 집을 지었다. 섣달 그뭄에 날을 잡아 당제를 지내 왔다.
⦁당산뿌리
말부흥의 가장 동쪽 끝 부리로서 당산 끝이라 하여 당산뿌리(당산부리)라고 부른다.
⦁장승백이
말부흥 해안 쪽 마을 입구에 장승을 세웠던 자리이다.
⦁할미섬
대부염전 앞 남쪽에 붙은 섬으로 옛날에 마귀할멈이 살았는데 풍도를 걸어서 건너다녔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굴·바지락·낙지 등이 많이 잡힌다.
⦁작은할미섬
큰할미섬과 같이 대부염전에 붙어 있는 작은 섬이다.
⦁파산게미
배들이 정박해 있다가 바람이 심하게 불면 부서지는 곳이다.
⦁쥐구녁바위
당산 앞 바다에 있는 바위를 말하는데, 조심하지 않는 배는 좌초되기 쉬웠다고 한다.
⦁통돌바위
돌 하나가 넙적하게 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갯벌에 묻혀 버렸다.
⦁엿새두멍
엿샛날 건너가기가 가장 쉬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③ 학란골-남3리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세라 하여 학난골[鶴卵谷]이라 이름하였다.
⦁행랑골
학란골의 다른 이름으로 조선 시대에 말을 돌보는 목부와 감독관들이 잠을 자던 행랑이 있었던 곳이라 행랑골[行廊谷]이라 했다는 설이 있다.
⦁영장마루
다른 갯벌보다 뻘이 깊어 빠져 죽기 쉬워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말을 많이 키울 때 이 뻘로 말을 몰아 잡아먹었다 하여, 말을 죽여 ‘영장하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영장말이라 하였는데, 영장말이 다시 영장마루가 되었다.
⦁삼태골
멍골 가기 전의 골짜기 이름으로 지형이 삼태기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웃뿌리
고래웃뿌리(고래웃부리)라고 하는데, 장거리여로 가는 바위 줄기가 고래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장거리여(장자여)
물이 나가면 걸어서 건너갈 수 있는 길이 4~5m 되는 큰 여(물 속에 잠겨 있는 바위)를 말한다.
⦁고래뿌리
고래 모양과 같다고 해서 고래뿌리(고래부리)라고 불렀다. 현재는 양식장 시설이 들어서 있다.
⦁용머리
대남초등학교가 있는 지역으로 용둣고개에서 내려온 산줄기 끝이 용머리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도로사업으로 용머리 같던 산봉우리는 형체가 없어졌다. 가물 때 용머리를 향해 활을 쏘면 비가 왔다고 한다.
⦁동심마을
웃동심과 아랫동심으로 나누어지는데 웃동심은 용머리 서쪽 윗골까지이고, 아랫동심은 대남초등학교 남쪽인 윳밭재까지이다. 골이 깊은 동네라고 해서 동심 마을이라고 하였다.
⦁벌곡동
윷밭재에서 서쪽으로 남4리와의 경계지점 마을이다. 벌곡동 서쪽에 흘곳패총이 있다.
⦁윷밭재
옛날에 윷을 놀던 바위가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솔밭 속에 직경 3.5m 정도의 평평한 돌이 깊히 박혀 있는데 그 위에 윷을 놀던 자리라고 하는, 마귀할멈이 손가락으로 눌렀다는 자국이 남아 있다.
⦁절골
윷밭재 아래의 골짜기를 절골이라고 한다. 옛날 이곳에 절이 있었으나 빈대 때문에 폐사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주춧돌만 남아 있다.
⦁멍골
이 마을은 학의 항문 쪽이라고 하여 멍골(멍굴)이라고 불렀다 한다. 멍덕꿀은 가장 좋은 흰꿀을 말하는데 이곳이 학의 항문 쪽이어서 토지가 기름지고 잘 산다는 뜻이라고 한다.
⦁강거래
멍골로부터 남쪽 해안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는 이곳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강 건너 마을이라고 하여 강거래라고 하였다 한다. 현재는 마을 앞까지 염전이 들어서 있다.
⦁증주물
중이 먹던 우물이라고 해서 증주물이라고 불렀다.
⦁서근여
고래뿌리 남동쪽 부리 밖에 있는 여[暗礁]로 간조 때 연육이 되어 ‘서서 건넌다’고 해서 서근여이다.
⦁아침서근여
바람이 심하게 불 때 배들이 피하던 곳으로, 아침녘에는 서서 건너던 여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두몽
남3리와 4리 경계의 갯골로 옛날에 백마(白馬)가 나온 자리라고 한다. 무척 깊은 곳이었으나 지금은 메워졌다.
④ 흘곶동-남4리
대부도 남쪽의 끝 부리라고 하여 흘곶동(訖串洞)이라 하였다. 고래뿌리(고래부리), 쪽박솔섬뿌리, 메추리섬뿌리, 선근여, 강거래뿌리 등이 송곳같이 뾰족하게 생겨 바다로 뻗어 갔기 때문이다. 19세기 이전 대부도 지명에 나타나는 곳이 흘곶, 영선, 종현인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된 마을이다.
⦁큰말
마을회관 서쪽 마을로 남4리에서는 제일 크고 오래 된 마을이다. 원래 흘곶이란 지명도 이 마을에서 비롯되었다.
⦁당골
마을회관 동쪽 마을로 당산 동쪽에 있다. 웃당·아랫당이 있었는데 웃당은 제물을 소머리로 썼고 아랫당에서는 정초에도 큰 굿을 하였다. 이곳의 두 당(堂)은 남3리와 4리에서 공동으로 관리하였다. 아랫당 주변에는 구지나무가 많았다. 작은당골·큰당골이 있다.
⦁잿말
당재 너머 해변가 끝 마을로 잿말이라 부른다.
⦁아랫모퉁이
큰마을 아랫쪽 산모퉁이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북굴
북쪽으로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북굴(북골)이라 한다.
⦁집넘어
큰말 뒷산 너머 동네로, 간척지 논들이 조성되면서 새로 생긴 마을이다.
⦁씨름터
큰말 못미처 씨름을 하던 평평한 곳이다.
⦁안산(案山)
큰말 앞에 있는 산으로 쪽박처럼 모양이 좋았으나 포도밭이 되었다.
⦁북굴산
남4리의 울타리 격인 산으로 흘곶 마을의 북쪽 산이다.
⦁당재끝
당재빼기 끝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메추리섬
큰말 앞에 있는 섬으로 물이 들어오면 섬이 되고 빠지면 연육이 된다. 섬 형태가 메추리를 닮았다.
⦁시루떡 바위
메추리섬 해안가에 있는 바위로 시루떡을 쌓아놓은 것처럼 보인다. 어떤사람이 조경용으로 쓰려고 훔쳐갔다가 집안에 계속 나쁜일이 생기자 도로 가져다 놓았다고 한다
⦁막뿌리
메추리섬 끝에 있기 때문에 막뿌리(막부리)라고 한다.
⦁상여집 뒷산
잿말 너머 메추리섬 남쪽에 상여집이 있는 작은 산으로, 소나무가 울창하다.
⦁번강죽들
천수답이 많고 물이 적어 번개가 치고 비가 와야 모내기를 할 수 있는 곳이라고 번강죽들(번개강죽)이라고 하였다.
⦁쪽박솔섬
불굴산 줄기 서쪽 끝 해안에 따로 떨어져 있는 작은 바위섬(여)으로, 섬 모양이 쪽박처럼 생겼다. 바위섬이지만 위에 소나무가 있다. 요즘은 그냥 쪽박섬이라고도 부른다
⦁홰나무
이곳 홰나무는 수백 년 묵은 나무로서 전에는 왜가리가 둥지를 틀었었다.
⦁딴목섬
메추리섬과 좁은 목으로 경계를 이루며 붙어 있다.
⦁들안뜰
들 안에 논이 있어서 들 안 뜰(들)이라고 한다.
⦁중우물들
중우물 앞에 있는 들이다.
⦁시제멧갓
큰마을 서쪽 산기슭에 있는 경주이씨 묘역으로 시제를 지내는 묘역이라 해서 시제멧갓이라 한다.
⦁큰말 앞장술
큰말 앞의 해안 자갈밭을 말한다.
⦁중우물
옛날에 중이 이곳을 지나다가 발목을 삐었는데 이 우물에 발을 담그자 나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물고사를 드리던 곳이다.
⑤ 흥성리-남5리
원래는 해적들이 이 섬을 침범·약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적선을 망보던 곳이라 하여 망선리(望船里)라 하였다. 지금도 이 마을을 ‘큰망생이’ ‘작은 망생이’ 등으로 부르고 있다. 또한 한자를 바꿔 ‘望仙里’로 표기하기도 하였으나 망선리의 어감(語感)이 좋지 않다고 하여 흥성리(興成里)로 개명하였다.
⦁큰망생이
망선리가 변음되어 망생이로 불리며 작은망생이보다 큰 마을이어서 큰망생이라고 하였다.
⦁작은망생이
산 너머 마을로 3가구가 살고 있었으며 절터가 있었으나 현재는 골프장으로 변모했다.
⦁벗터골
큰망생이와 작은망생이 중간 지점에 있다. 옛날 바닷물이 이곳까지 들어와 소금을 굽던 벗이 있던 곳이라 하여 벗터골이라 하였다.
⦁다른박골
고개 너머 한 쪽에 있는 마을이다.
⦁한사위
끝 망생이 건너 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 가난한 선비라든가 세도 없는 사람들이 살았다고 하여 한사(寒士)라고 했다 한다. 윗한사위, 아랫한사위 두 곳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마을 한 쪽에 있어 한사위라는 설도 있다.
⦁작은마락골[馬落谷]
옛날 남5리 일대가 말목장일 때 말을 방목하던 곳인데, 골짜기가 깊고 경사져서 말이 자주 굴러떨어졌다고 한다.
ㆍ아랫산지뿌리
망생이뿌리와 마주보고 있는 산부리이다.
⦁큰마락골
작은마락골보다 골짜기가 크다.
⦁선너머
산 너머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육골(六谷)
남5리 남동쪽에 인접한 마을로 골짜기가 여섯 개가 있어서 육골이라고 하였다. 마을사람들은 ‘요꼴’이라고 부르고 있다, 고려시대 석곽묘 등 고분군이 발견되어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서 2002년과 2006년 2차에 걸쳐 발굴하였다
⦁잘푸리
장골 잿등에서 오른쪽 밑에 있는 마을로 토지가 비옥하고 물이 흔하여 풀이나 곡식이 잘 자란다. 큰잘푸리·작은잘푸리가 있다.
⦁흥성리 나루터
남5리 큰산 줄기 서쪽 끝에 있는 나루터이다. 영흥면 선재도 나루터와 마주보고 있다. 일명 맹생이 나루터라고 불렀다.
⦁물흘리
잘푸리 서쪽 해안으로 큰산 북쪽 계곡에서 물이 흘러 내려온다.
⦁고천뿌리
마을의 안녕과 풍년·풍어를 하늘에 기원하는 제단이 있던 산부리이다.
⦁산재뿌리(선지뿌리)
흥성리 나루터에서 남서쪽으로 마주보이는 산부리로서 옛날 해적들이 침입할 때 이곳에서 망을 보면 먼저 적을 볼 수 있다고 해서 선지(先知)뿌리(선지부리)라 하였다. 여기서 먼저 보고 망생이로 연락을 했다 한다.
⦁자리너머
마을 주민들이 물때를 기다리며 산등성이에서 기다리던 자리 너머에 있는 갯벌을 말한다.
⦁옆뿌리
자리너머 남쪽으로 뾰족하게 옆으로 돌출한 산부리를 말한다.
⦁거문여뿌리
한사위벌 동남쪽에 뾰족하게 뻗어 나간 암서부리로 돌 색깔이 검다.
⦁안산
한산 위쪽에 있는 해발 43m의 산으로 큰흥성리 앞산인데, 이 산은 마을의 안산(案山)이다.
⦁남대문뿌리
산과 산 사이에 있는 부리로 대문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부수어 방죽을 막는 데 썼으나 아직 흔적이 조금 남아 있다.
⦁정상굴들
큰산 밑 마을 중간에 있는 들이다.
⦁큰산
황금산 다음으로 큰산이다.
⑥ 남6리
⦁용머리
남6리와 남3리의 남쪽 경계지역으로 용두고개 남쪽의 끝 봉우리가 용머리[龍頭]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로 개설로 없어졌다.
⦁용두고개
남6리 용머리 못미처 용두재 마을 쪽의 고개가 용두고개[龍頭峴]이다.
⦁막골
샛티 마을 서쪽의 골짜기로 남쪽으로 길게 뚫려 있다. 이곳은 고려장 터로 늙은이들이 마지막 가는 골짜기라고 해서 막골이라고 불렀다 한다.
⦁비룰
남6리 용두고개 동쪽 마을로 마름들이 많이 살았다 하여 비룰이라 하였다.
⦁어지런이
용두고개 서쪽 산기슭에 있는 마을로 홍수가 잘 나고 물이 들락날락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섭수리산
남6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 74m이다. 묘하게 외줄기로 봉우리 하나가 우뚝하게 서 있다.
⦁샛티(샛터)
옛날 남리를 흘곶으로 부를 때의 상동과 경계지역이다. 경계 사이에 있다고 해서 샛티라고 불렀다. 대부남동 372-2번지 일대이다.
⦁용두재마을
용두고개 옆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