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는 즐거움이 느껴지는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제안!
『교과서를 믿지 마라』는 오랫동안 초등학교 교과서를 연구하고 가르쳐온 ‘초등교육과정연구 모임’이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학교와 가정에서 해결해 나가기 위한 대책을 담아낸 책이다. 현재 초등학생들이 배우는 교육과정이 뒤죽박죽되어 학습 결손이 일어나거나 보충수업을 하게 된 사례를 보여주면서 일관성 없는 교육과정을 비판한다. 그리고 교과 내용이 아이들의 사회적 발달과 맞지 않게 어렵게 재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이 아이들을 과도한 학습과 사교육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각 학년별 교과서 문제를 분석하고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를 고발하면서 공교육이 어떻게 학생들을 공부에서 멀어지게 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새로 바뀐 5, 6학년 교과서를 자세히 분석하고, 영어 검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고, 2011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 이 책은 2011년에 출간된 <교과서를 믿지 마라>(바다출판사)의 개정증보판입니다.
1. 아이들과 교사를 바보로 만드는 교과서의 비밀
걸음마 떼자 달리라고 하는 1학년 교과서
- 열심히 가르칠수록 독이 되는 국어 교과서/- 학교를 두렵게 만드는 수학 교과서
- 이상하게 통합한 통합 교과서/1학년 아이들의 특성/부모 도움 주기
아이들의 자신감을 갉아먹는 2학년 교과서
- 발만 동동 구르게 하는 국어 교과서/- 부모들도 풀기 어려운 수학 교과서
- 한데 묶이지 못하고 돌고 도는 통합 교과서/2학년 아이들의 특성/부모 도움 주기
사교육의 유혹을 부추기는 3학년 교과서
- 기본을 무시한 국어 교과서/- 교사도 두 손 든 수학 교과서
- 초등학생을 고등학생으로 착각한 사회 교과서/3학년 아이들의 특성/부모 도움 주기
열등생을 만들어 내는 4학년 교과서
- 들쭉날쭉 어지러운 국어 교과서/- 체계 없이 구성된 수학 교과서
- 낯선 내용이 가득한 사회 교과서/- 호기심을 앗아 가는 과학 교과서
4학년 아이들의 특성/부모 도움 주기
자연스러운 성장을 방해하는 5학년 교과서
-발달을 도와주지 못하는 국어 교과서
-좌절감만 키워 주는 수학 교과서
-재미없고 버거운 사회 교과서
-창의성은 죽이고 개념만 강조하는 과학 교과서
5학년 아이들의 특성/부모 도움 주기
아이들의 발달 단계를 무시한 6학년 교과서
-의미 없이 글만 쓰다 질려 버리는 국어 교과서
-생각할 틈을 주지 않는 수학 교과서
-편협한 관점을 제시하는 사회 교과서
-교육현장와 동떨어진 과학 교과서
6학년 아이들의 특성/부모 도움 주기
2. 사교육과 학습 부진아를 조장하는 교과서의 비밀
생각하는 재미를 앗아 가는 수학 교과서
- 1학년 아이들에게 규칙을 찾아 설명하라고?/ - ‘왜 그렇게 생각하니?’ 질문해 대는 수학 교과서
- 계산 원리는 나중, 그냥 방법만 외워서 풀어라/- 3학년 아이들이 서로 다른 세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 1학년 아이에게 덧셈식을 보고 뺄셈식을 찾아 쓰라니?
수학 교과에 바란다/부모 도움 주기
수업 시간 늘려서 좌절감만 더 커지는 영어 교과서
- 학교 영어 교육, 설 자리는 어디에?
-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2008개정 영어 교과서
- 무책임한 검정 교과서 제도
- 점점 산으로 가는 영어 교육정책
영어 교과에 바란다/부모 도움 주기
아이들의 감성을 죽이는 음악 교과서
- 너무 많은 학습량과 체계 없는 내용이 즐겁지 않아/- 학년별 음악 교과서는 어떻게 짜여 있나?
- 음악 교과서에 나오는 시설 및 기자재는 무엇이 문제일까?/
음악 교과에 바란다/부모 도움 주기
미술과 미술 교육을 왜곡시키고 있는 미술 교과서
- 소묘와 정물화 그리기는 오랜 입시 교육의 폐해/- 시대를 역행하는 풍경화 그리기와 포스터 그리기/- 명화와 민화를 왜 따라 그려야 하나?/- 오직 판본체와 궁체만 따라 쓰는 붓글씨 교육
- 아이들과 거리가 먼 만화ㆍ캐릭터 그리기와 환경·건축 교육/- 10색환 교육과 색의 느낌
미술 교과에 바란다/부모 도움 주기
3. 엉터리 교과서 탄생의 비밀
삐걱대는 교육과정, 고통받는 아이들
- 학부모와 교사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교과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왜 이렇게 복잡하지?
- 창의인성교육과 평가방법, 어떻게 달라지나?
학교 현장과 따로 노는 2009개정 교육과정
- 창의적 체험활동 강화의 실체/- 준비 안 된 선진국형 교육, 학년군제와 집중이수제
- 현장 자율성 없애고도 학교 자율화라니
초등 교과서 누가 어떻게 엉망으로 만들었나?
- 초등 교사가 만든 교과서, 왜 어려운가 했더니?/- 부실한 교육과정 연수도 문제
- 교과서를 만드는 시스템도 주먹구구?/- 교과개정은 졸속으로, 해결은 보완자료로 하라?
- 책임자도 없고, 원칙도 없으니 어쩌란 말인가?/부모 도움 주기
또 바뀌는 교과서, 희망은 있는가?
- 2013년에 교과서가 또 바뀐다고?
- 교육철학도 없고, 교육정책도 없다
- 주 5일 수업제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
- 교육과정과 교과서, 대책은 무엇일까?
-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결과
닫는 글 아이들과 교사를 생각하는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