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五臟 六腑의 生理 및 病理(辨證論治)
五臟의 生理 및 辨證論治
1.심 - 혈맥을 주관(심기의 추동작용), 神을 주관(정신의식상태 주관)
광의의 신 : 인체 생명활동의 모든 외계표현(인체의 형상, 안색, 눈, 정신, 언어, 응답 및 사지활동과 자태 등)
협의의 신 : 심이 주관하는 정신과 정서로서 사람들의 정신, 의 식과 사유활동을 가리킨다.
즉 심이 신과 지(신지)를 주관함은 하나는 정신의식과 사유활동을 진 행하여 사물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진행하는 것이고 또하나는 신명 의 심이 인체의 모든 생명활동을 주재하는 것으로 장부에 있어서 제 일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심의 기능여하는 면부에서 나타나고 혀를 통해 외계와 연결.
정리) 心主血脈, 其華在面. 心主神志. 心主汗液. 心開竅於舌
* 심의 변증
1-1) 심기허 - 심계, 기단, 자한, 면색창백, 체권핍력, 설반담, 태백
1-2) 심양허 - 심계, 기단, 자한, 활동후 더심해지고, 형한지냉, 심흉울 민, 심전부가 아프고 태백활.
1-3) 심양폭탈(심양허탈) - 다량의 자한출, 사궐냉, 호흡미약, 면색창백, 입술이 파랗고 정신혼미.
증후분석 : 심기허증은 심장 및 정신기능상태가 쇠약된 것이고 심양허증은 심기어증의 기초에서 허한 증상을 겸한 것이고 심양폭탈증은 심양허증의 기초에 허탈과 망양증상을 겸한 것이다.
1-4) 수기능심 A) 심양부진加비폐기허형 - 심양이 부진한데다가 폐기와 비기 까지 허해져서 산포되지 못한 水津이 수음으로 화하여 흉협에 정체함으로써 심하가 역만하게 되고, 이것이 위로 심을 넘보기 때문에 심계, 기단증상이 나타나며, 수음이 중초를 막아버려 청양이 상승하지 못하므로 두목이 현훈하게 된다. 또한 기상충도 일어난다. (영계출감탕)
B) 심양부진加신양허약형 - 심양이 부진한데다가 신양까지 허약해져서 하초의 수한이 위로 심을 넘보기 때문에 심계, 소변불리,두목현훈, 근척육순, 지체부종, 하리 등등을 일으킨다. (진무탕)
2-1) 심혈어 - 심계, 정충, 심번, 다몽, 易驚, 건망, 현훈, 면색불화, 순 설색담, 맥세약, 실면. (당귀보혈탕, 사물탕)
2-2) 심음허 - 심계, 심번, 실면, 이경, 건망, 저열, 도한, 오심번열, 구 건, 咽燥, 설홍소진, 맥세삭 (보심단)
2-3) 음양구허 - 심계, 맥결대 (자감초탕)
3) 심화항성(심화상염)
병기) 칠정이 울결되어 기가 화로 변하거나 화열의 사기(육음)가 체 내를 침습하였거나 혹은 기름진 음식, 신랄한음식과 술담배를 즐기고 이것이 오래 지속되어 화열을 내성시키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형성된다.
증후) 심중번열, 조급실면, 구갈욕냉음, 구설생창(구설미란동통), 대 변건조, 소변적삽동통, 뇨혈, 뉵혈, 혹은 피부에 창양 종동통.
4) 심맥비조(심혈어조)
병기) 발생원인은 심기허 또는 심양허 의 전제하에 감정의 격동과 과로후의 感寒 및 담탁의 응취 등이 가해짐으로 말미암아 흉 중의 기혈이 폐색되고 기혈이 조체되어 생긴다. 흉중의 기혈 이 폐색되어 통하지 않는 흉비증이 대표적인 것이다.
( 혈의 어체, 담의 응결, 한의 어체, 기의 울체)
증후) 심계, 심흉부에 답답하고 동통, 어깨, 등, 팔에까지 동통.
*어혈이 심맥에 몰린 증후 - 동통이 바늘로 찌르는 것 같고 혀 는 자암색이고 혀에 자반과 어점이 생기며 세삽 혹은 결대맥.
*담이 심맥에 몰린 증후 - 담이 심해 실하고 무겁고 피로하며 답답하게 아프고 백이태와 침활맥이 나타나는 것.
*한이 응결된 증우 - 갑자기 심하게 아파오고 더운 것을 만나 면 아픔이 가벼워지고 추워하고 사지가 차고 설색은 연하고 설태가 희고 침치맥 혹은 침긴맥이 나타나는 것.
*기가 울체된 증후 - 부어나는 것처럼 아프고 동통의 발작은 보통 정서의 변화와 관계되며 혀는 담홍색 혹은 암홍색이면 서 설태는 엷고 현맥이 나타나는 것.
이 증후는 보통 단순한 혈허 혹은 한사등 한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나 두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원인에 의해 발생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기체혈어, 기울담응, 기체혈어담조, 한응기체혈어 등이 있으며 그중 담과 어혈이 겹친 것이 제일 많다.
5) 痰迷心竅 (전증)
병기) 담이 심규를 몽폐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습이 발전하여 담을 형성하였거나 정서의 자극으로 기가 울체되어 담을 형성시킨 것들에 의하여 본 병증이 일어나게 된다.
증후) 간질증세, 신지착란, 의식불명, 후중담명 등등. 도담탕
6) 痰火擾心 (광증)
병기) 담화요심증은 담화가 심신을 요란시켜 나타나는 증후이다. 사려가 지나치게 많거나 성을 내는 등의 정신적자극에 의하여 기가 울체되고 화로 변화되며 진액을 변화시켜 담을 형성시키며 체내에 담화가 성해지거나 혹은 열사의 침습을 받아 열이 액을 끓여 담을 형성시키고 열담이 심을 요란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 증후가 나타나게 된다.
* 담화요심증은 외감 내상 두가지 다 올 수 있다.
외감열병은 고열, 가래가 성하고 의식상태가 똑똑하지 못한 것이 변증요점이고 내상잡병에서는 경한 자는 실면과 가슴이 답답한 것, 중한 자는 정신이상으로 움직이기 좋아하는 것이 변증요점이다.
증후) 심번, 심계, 구고, 심면, 다몽, 이경, 중한즉 어무륜차, 곡소무상, 광조망동, 타인매인, 설태황이, 맥현활유력 열이 나고 숨소리가 거칠고 면부와 눈이 벌겋고 가래는 누렇고 후두에서 가래소리가 들린다.
※담미심규와 담화요심증의 공통점 - 神識異常, 후중담명, 태이맥활
2. 폐 - 화개 상전치관 치절출언 수지상원
肺司呼吸, 主一身之氣(하나는 종기의 생성 - 수곡정미와 청기)
종기는 위로 올라가 폐의 호흡운동을 촉진하며 심맥으로 들어가 혈기를 운행시켜 전신에 분포되고 각각의 장부조직을 온양하여 그의 정상적인 기능활동을 유지시켜 생명활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른하나는 체내에서의 기의 순행을 조절하는 작용)
* 폐가 전신의 기를 주관하는 기능은 주로 폐의 호흡기능에 의해 결정.
肺主 宣發과 肅降
선발의 생리기능 - ① 폐의 기화기능을 통하여 체내에 생성된 폐기를 배출, ② 비로부터 수송분포되어온 진액과 수곡정미를 전신의 피모에까지 분포, ③ 위기를 발산시켜 주리의 개합을 조절하여 신진대사 후에 체내에 생성된 땀을 배출하는 것. 때문에 선발기능이 소실되면 호흡이 순조롭지 못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기침과 천식이 나타나고 땀이 나지 않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숙강의 생리기능 - ① 자연계의 청기를 흡수하여 신으로 내려 보내 호흡을 평온하게 유지 ② 폐에서 흡수된 청기와 비에서 수송분포되어 온 수곡정미를 아래로 분포 ③ 폐와 호흡도내의 이물을 없애서 호흡도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다. ④ 대장의 통강기능과도 유관하기 때문에 폐의 숙강기능이 파괴되면 호흡이 앝으며 기침이 나고 가래와 각혈 등 증상들이 나타나고, 대변의 변비도 생긴다.
水道通調 - 폐의 선발기능과 숙강기능에 의해 수액을 분포, 운행, 배설시키는 것, 즉 수의 운행을 주관한다. 즉 폐는 수지상원
肺朝百脈 - 심을 도와 혈을 운행시킨다. 폐는 백맥을 연결
肺主治節 - 다스리고 조절한다는 뜻이다. 네가지로 표현된다.
호흡주관, 기의 승강출입 운동 조절, 혈액운행 추동조절,
진액의 분포, 운행과 배설을 조절.
* 땀구멍을 기문, 현부, 귀문이라고도 한다.
* 입술과 입술사이 - 비문, 이빨사이 - 호문, 목구멍 - 흡문
식도와 위 - 분문, 위와십이지장 - 유문, 대장 소장사이 - 난문
대장과 직장 - 백문
정리) 폐주호흡 일신지기 선발 숙강 통조수도 폐조백맥 폐주치절
* 폐의 변증
1) 폐기허 - 기침이 나고 무력하고 기가 모자라 숨이 차며 전신기능활 동이 감퇴되는 것이 변증요점이다.
증후) 기침소리무력, 말소리미약, 기단, 천식, 면색창백, 오풍, 자한, 감기에 잘걸림
* 후두는 발음기관으로서 폐기의 보양에 의거되는데 폐기가 왕성하면 말소리가 웅장하고 허약하면 무서워하듯이 낮아진다. 보폐탕
2) 폐음허 - 오랜 기침으로 음을 손상시켰거나 노충(결핵균)이 폐를 침습하였거나 열성병에 의해 진액이 소모되는 것 등에 의해 형성.
증후) 건해무담, 담이 나온다 해도 점성이 높아 잘 뱉어지지 않음, 담중에 피가 섞이기도 함, 구조인건, 구갈, 목 쉰소리가 남, 조열, 도한, 관홍, 수족심열, 실면, 설질은 홍강색을 띠고 설면이 반짝거리며 타액의 분비가 적음, 맥세삭. 백합고금탕
3) 풍한속폐 - 풍한의 침습을 받아 폐기가 억제되는 증후.
증후) 기침이 나며 가래는 묽고 색이 희며 코가 막히며 맑은 콧물이 ...
오한이 약간나고 열이 경하고 땀이 나지 않는다. 맥부긴 부맥은 표증, 긴맥은 한증
풍한표증과 비슷하나 다른점을 가지고 있다.
즉 풍한속폐증은 기침이 주요한 것으로 풍한표증을 겸하나 표증은 일 반적으로 경하며 풍한표증은 오한과 발열이 주요한 증상으로 기침은 있다해도 매우 경하다.
4) 한사객폐 - 한사가 폐를 침범하여 양기가 억제되고 폐기가 상역하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다.
증후)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가래는 묽고 희며 추워하고 사지가 차고 설색은 연하고 설태는 희며 맥은 지완하다.
* 한사객폐증과 풍한속폐증의 공통점은 모두 기침이 나고 가래가 묽고 흰 것이 주요한 증사이다.
한사객폐증은 숨이 차고 추워하며 사지가 차나 열이 없으며 기침이 심하고 병기일이 길다. 맥이 지완
풍한속폐증은 오한과 발열 등 표증이 나타나는 외에 기침은 경하고 병기일은 짧고 병은 비교적 경하다. 맥은 부긴
* 한사객폐증과 飮證의 음사정폐증의 공통점은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가래가 묽고 흰 증상이 나타난다.
한사객폐증 - 가래의 양이 비교적 적다, 급성과정, 실증.
음사정폐증 - 가래가 맑고 물처럼 묽고 거품이 섞인다, 반복적으로 발작한 경력이 있고 매년 가을과 겨울에 중해지는 만성과정이다.
본허표실증이다.
5) 痰濕阻肺 - 담습이 폐에 어체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비의 기가 허약해졌거나 오랜 기침으로 폐가 손상되었거나 한습한 사기의 침습을 받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된다.
증후) 기침이 나고 가래는 많고 걸며 색은 희고 뱉기 수월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심지어는 숨이 차고 가래소리가 들린다. 이진탕
6) 風熱犯肺 - 외감풍열로 인한 폐위증으로서 풍열이 인체를 침범하면 가장 먼저 폐위가 손상을 받는다. 풍열은 양사이므로 진액을 변화시켜 담을 형성시키므로 가래는 진득하고 색이 누렇다. 또한 표증이 있기 때문에 오풍발열하고 인통, 구갈하는 것이다. 풍열이 체표를 침습
증후) 기침소리가 크게 들리고 호흡이 거칠어지며 빨라진다. 담은 진득진득하고 누런색을 띠며 오풍발열, 인통, 구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桑菊飮 마행감석탕
7) 熱邪壅肺 - 열사가 체내의 폐를 옹체기켜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습열의 사기가 코와 입으로 체내에 침입되거나 혹은 풍열이 체내로 들어가 양열로 변하여 폐에 내옹되어 발생된다.
증후) 기침 가래는 진득 누렇고 숨이 차고 숨소리거칠고 고열과 구갈이 생기고 심번, 비익이 너풀거리고 육혈과 각혈이 생기거나 혹은 흉통과 고름같은 피가 섞인 누린 가래를 뱉는 증상이 나타나고 대변이 건조하고 소변은 적고 붉고 혀는 붉고 설태는 누렇고 맥은 활삭하다.
풍열범폐증은 풍열표증을 겸하며 병이 경하고 기일이 짧고 예후가 좋으나 열사옹폐증은 열사가 폐장에 옹체되어 병은 체내에 발생된 것이고 일련의 이열증을 겸하며 병이 중하고 기일이 길다.
8) 조사범폐 - 가을철에 조사가 폐위를 침범하여 나타나는 증후
증후) 가래가 없이 마른 기침을 하거나 가래가 적고 끈끈하며 뱉기 힘들며 입술, 혀, 인후, 코가 건조하거나 혹은 열이 나고 오한이 생기며 혹은 흉통과 각혈이 생긴다. 혀는 붉고 설태는 희거나 누렇고 맥삭.
본 증후를 진단할 때는 조사가 편온한가 편냉한 가를 구분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조사범폐증과 폐음허증을 구별하여야 한다.
3. 비
脾主運化 - 수곡정미의 운화, 수습의 운화
* 수곡정미의 운화 : 비가 위를 도와서 음식물을 소화하며 그로부터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심과 폐의 협조하에 삼초와 경맥을 통하여 영양물질을 전신에 운송함으로써 장부와 조직을 기른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
* 수습의 운화 : 비가 수분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가 필요로 하는 수액을 그곳으로 운수하여 자양하고 유윤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각 조직과 기관에서 이용되어진 후에 나오는 불필요한 수액은 신을 거쳐 방광으로 보내어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수습이 체내에 과도하게 머물러있지 못아도록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만약 이 기능이 실조되면 기본적으로 담을 형성하게 된다.
정리) 脾主運化, 脾主通血, 生血, 脾主升淸, 脾主肌肉, 四末
*脾病의 辨證
1) 비기허 - 비기가 부족하고 운화기능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음식의 실조, 지나친 피로 및 급성, 만성질환으로 인한 비기의 손상 등의 원인에 의하여 일어난다.
증후) 면색위황, 사지권태, 식욕부진, 식후완복창만, 부종, 변당혹희변, 신체소수, 설담(설색이 연함), 태백, 맥허완무력. 사군자탕
2)비양허 - 비양이 쇠약하여 체내에서 음한이 내성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비기허가 발전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너무 찬 음식을 먹거나 혹은 신양허로써 화가 토를 산생시키지 못하는데 기인한다.
증후) 완복창만이 냉통, 희온희안, 지냉권태, 하리청곡, 전신부종, 백대하(양이 많고 묽다), 설질담(설색은 연함), 설태백활, 맥은 침지무력.
이중탕
3) 중기하함 - 비기허가 발전되었거나 비양의 승거가 핍력하여 나타나는 것으로서 기허증후와 기함증후(비기허증상과 내장의 하수)가 같이 나타나는 것이다.
증후) 완복추창, 聲低氣短, 탈홍, 자궁하수, 소변백탁, 구설, 소수핍력,
설담태백, 맥완무력 보중익기탕, 황기건중탕
4) 비불통혈 - 비기가 허약하고 혈액을 통솔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증후
증후) 변혈, 요혈, 피하출혈 혹은 붕루 정맥루 심계 등에 비기허 증상.
설담태백 맥세약 귀비탕
5) 한습곤비 - 비기가 원래부터 허하여 수습을 운화하지 못하거나 중양이 억제되어 비가 운화기능을 상실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다. 평위산
증후) 위완만민, 납식감소, 완복綿綿작통, 대변당설, 頭身重, 부종, 면색은 황하거나 피부가 연기에 씌운 것처럼 누렇고 어두컴컴하며 황달이 나타나는 수도 있다. 설담 설태후이,맥유완 유맥-허증,습증 완맥-습증,비허.
6) 습열온비 - 습열이 중초에 온결되어 나타나는 증후이고 습열인 외사에 침습되었거나 너무 기름진 음식을 먹어 체내에 습열이 형성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비위의 습열과 담즙이 상결하여 기부로 외일함으로써 면목이 발황하고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
증후) 완복창민, 불사음식, 오심, 면목발황(귤껍질 같이 선명), 뇨황而적, 身痒發熱, 口乾苦, 홍설, 황이태, 유삭맥 인진오령산
4. 간
肝主疏泄 - 정서조절, 소화흡수촉진, 혈의 순행을 추동, 수액대사촉진 ① 정서조절 : 간의 소설기능은 기의운행과 혈액에 대하여 중요한 조절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서변화는 심신운동의 반영이지만 간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간이 소설기능이 정상적이고 기의 운행이 순조로와야만 기혈이 평화되어 마음이 편안하게 된다. 이런변화는 소설기능이 모자랄 때와 지나칠 때로 나타난다.
② 소화흡수촉진 : 비위승강작용은 반드시 간의 소설기능의 작용하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담과도 관계가 있는데 담즙은 간의 餘氣가 모여 형성된 것으로 간의 소설작용하에서 장도에 배설되어 소화를 도운다. 만일 간기가 울결되면 담즙의 분비와 배설에 영향을 주므로 비위의 소화와 흡수를 방해하여 옆구리가 아프고 입이 쓰고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심지어는 황달이 나타난다.
③ 혈의 순행을 추동 : 간의 소설기능이 정상적이고 기의 운행이 순조로와야 혈의 순행이 순조롭게 된다. 소설기능이 파괴되면 기기가 울결되어 혈액순환도 장애를 받아 어혈이 형성된다. 여자들은 월경에 이상생김.
④ 수액대사를 촉진 : 기의 운행을 조절하여 삼초를 조절시켜 수도를 소통시키므로 수액대사의 평형을 유지한다. 만일 간의 소설기능이 파괴되면 기의 운행이 순조롭지 못하게 되어 수액의 수송분포와 대사의 장애가 초래되어 담, 수 등 병리산물이 생겨 담핵, 수종, 부종 등 병증이 나타난다.
肝藏血 - 혈액을 저장, 혈량을 조절. 간기의 상승과 외설이 너무 지나치거나 혈의 저장기능이 감퇴되면 출혈이 나타나고, 간기의 소설기능이 모자라면 간기가 울결되어 어혈이 생긴다.
정리) 간장혈, 간주소설, 간주근, 간개규어목, 其華在爪
* 肝病의 辨證
1) 간기울결 - 간기울결증은 간의 소설기능이 파괴되고 기의 순행이 울체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정서가 울결되거나 갑자기 정신자극을 받았거나 갑자기 기타 병사에 침습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시호소간산
증후) 협부,少복부창통혹 은통, 흉민, 선태식, 유방창통, 월경불순, 매핵기, 설태박백, 맥현. ※ 간경은 뇌수와 관계있다. 뇌수술받은 사람중에 우뇌수술자 왼쪽엄지발가락 이상, 좌뇌수술자 오른쪽엄지발가락 이상.
2) 간화상염(간경실화) - 간경의 기와 화가 상역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정서가 상쾌하지 못하여 간기가 울결되고 화가 형성되거나 혹은 열사가 체내를 침범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용담사간탕
증후) 두통, 현훈, 이명, 이롱, 조급이노, 면홍목적, 흉협작통, 구고구건, 심한즉 객혈, 토혈, 뉵혈, 뇨황, 변비, 실면, 다몽, 설홍태황, 맥현삭
※ 간화상염의 변증요점은 간맥이 순행하는 부위인 머리, 눈, 귀, 협부 등에 화가 심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이다.
3) 간혈허 - 간장의 혈액이 허손되어 나타나고, 또는 비와 신이 허손되어 혈의 형성근원이 부족해지거나 만성소모성 질환에 의해 간혈이 지나치게 소모되는 것에 의해 간혈허증이 형성된다.
증후) 면색무화, 현훈, 야매다몽, 이명, 조갑불영, 肌肉瞤動, 지체마목 혹 근맥구급, 시력감퇴, 야맹증, 월경량소 혹 폐경, 설담 맥세약. 보간탕가미
※ 간혈허증의 변증요즘은 힘줄, 손발톱, 눈, 피부가 혈이 영양을 잃게 되는 증상과 전신이 혈허한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4) 간음허 - 간장의 음액이 허손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며 보통 정서가 유쾌하지 못하여 기가 울결되고 화가 산생되거나 혹은 간병, 온열병 후기에 간음을 손상시켜 간음허가 형성된다.
증후) 간혈허증외에 음허내열증도 나타난다. 즉 저열, 관홍, 도한, 심번불면, 반복되는 조열, 한출, 설홍, 맥세삭. 일관전
※ 간음허증과 간화상염증은 모두 열증으로 표현되나 전자는 허열증이고 후자는 실화증이고 간양상항증은 신음허로 인한 간양상항이므로 구별 필요.
5) 간양상항 - 水가 木을 영양하지 못하여 간양이 제멋대로 항진되어 나타나는 증후이고 간과 신의 음허로 인해 간양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거나 혹은 성이 나거나 걱정되어 체내에 기가 울체되고 화가 생겨 음액을 소모시킴으로써 음이 양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에 의하여 간양상항증이 형성된다.
증후) 현훈, 이명, 두목창통, 면목홍, 조급이노, 심계, 건망, 실면, 다몽, 요슬산연, 머리는 무겁고 다리는 가벼워 잘 걷지 못한다. 설홍, 맥현, 혹 맥현세삭.
※ 간양이 위로 항진되고 신음이 아래로 허손되어 머리가 무겁고 발이 가벼워 바로 걷지 못한다. 기국지황환, 진간식풍탕
6) 간풍내동 - 풍은 내풍과 외풍으로 나뉘어지는데 일반적으로 간풍이라고 하면 내풍을 가리키는 말이다. 간풍은 추축, 진전, 마목 등을 주증으로 삼는다. 간풍내동에는 네가지로 나눈다.
6-1) 간양화풍 - 간양화풍증은 간양의 상약이 억제되지 못하여 풍을 내동하는 증후이다. 보통 장지적인 간과 신의 음허로써 간양이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갑자기 상역되어 나타나게 된다.
증후) 眩暈欲仆(어지러워 자빠질 것 같다), 두통여철(머리가 흔들리고), 肢麻震顫, 수족윤동, 언어불리, 보행불은, 卒然昏仆, 설강불어, 구안와사, 반신불수
후중담명. 진간식풍탕
※ 간양화풍증은 일반적으로 평소부터 간양상항증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간풍내동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에 의하여 진단할 수 있다.
6-2) 열극생풍 - 열사가 왕성하여 간풍을 일으키는 증후이다. 보통 사열이 심해 간경을 침습하여 일어나게 된다.
증후) 고열, 번갈, 躁擾不安, 추축, 사지구급, 항강, 각궁반장, 눈은 위로 응시되고 입을 열지 못하는 경련증상이 나타난다. 설질홍 혹은 홍강(심홍색) 맥현삭. ※ 열극생풍증은 고열과 간풍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변증요점이다.
羚羊鉤藤湯
6-3) 음허동풍 - 음액이 허손되어 간풍을 일으키는 증후이다. 보통 열사의 침습을 받아 발병된다.
증후) 간음허증에 풍증 대정풍주
6-4) 혈어생풍 - 혈이 허해 근맥을 영양하지 못하여 풍이 발생되는 증후이다.
급성 혹은 만성 대량출혈 혹은 오랜 병으로 인한 혈허증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증후) 간혈허증에 풍증 사물탕, 보간탕
7) 한체간맥 - 한사가 간맥에 응체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한사의 침습을 받아 발병된다.
증후) 少腹脹痛, 견인고환창대하추 음낭냉축, 설태 백활, 맥침현, 지맥
※ 고환이 아랫배를 잡아당기며 드리우는 듯이 뻐근하게 아파오고 선선한 것이다. 난간전, 천태오약산
8) 간담습열 - 습열이 간과 담에 옹체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습열의 사기에 침습되었거나 혹은 기름진 것을 평소에 과식하여 습열을 형성시키거나 혹은 비위의 운화기능이 소실되어 체내에 습이 내생하고 몰려 열을 산생시키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간담습열증이 나타나게 된다.
증후) 흉협만민동통(옆구리가 덴 것처럼 따갑고 뻐근하게 아파오고 혹은 뜬뜬한 것이 생기는 것), 고환홍종열통, 여자 대하황색성취, 음부소양증, 황달, 구고, 소변이 적고 붉으며 홍설, 황이태, 현삭맥 용담사간탕
※ 간담습열증의 변증요점은 오른쪽 옆구리가 뻐근하게 아프고 식욕이 떨어지고 소변이 노랗고 홍설, 황이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5. 腎
藏精, 生長과 發育을 主管 - 정기는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물질이며 인체의 생장발육과 각종 활동의 물질적 기초이다. 신이 저장하는 정은 선천의 정과 후천의 정 두가지를 포괄한다.
① 생식을 주관한다 : 생식기능을 주관하는 천계가 생성되어 성기능이 성숙되어 생식능력을 갖게된다.
② 생장과 발육을 주관한다 : 신정은 인체의 생장과 발육을 결정하고 생장과 발육의 근본이다. 신의 정기의 작용은 신음과 신양 두 가지를 포괄한다. 신음과 신양은 각 장부 음양의 근본이므로 신의 음양이 실조되었을 때에는 기타 장부의 음양실조를 초래하며 반대로 기타 장부의 음양실조가 오래가면 신의 정기를 소모시키므로 신의 음양실조가 초래된다.
腎主水 - 생리정황하에서 진액의 대사는 위의 섭취, 비의 운화, 폐의 선발과 숙강, 신의 증발과 기화기능에 의하여 삼초를 통해 전신에 수송되어 대사후의 진액은 땀과 오줌으로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중 신의 기화기능은 사실상 모든 진액의 신진대사를 영도하는 것이고 대소변에도 영향을 미친다.
腎主納氣 - 폐와 더불어 호흡에 관계한다. 신은 흡, 폐는 호
정리) 腎藏精, 腎主水, 腎主納氣, 腎主骨, 生髓, 通於腦, 腎開竅於耳, 司二陰
* 腎病의 辨證
1) 신양허 - 형한지냉, 면색창백, 빈뇨, 뇨소부종, 두혼, 정신부진, 요슬산연, 남자양위, 여자 자궁허한으로 불임, 오경설사, 부종, 기침, 천식,설담태백, 맥침지, 양척맥무력 금궤신기환
※ 전신기능저하와 한증을 겸한 것이 신양허증의 변증요점이다.
2) 신음허 - 오랜병으로 신이 손상되었거나 품부가 부족하거나 방실이 과도하거나 溫燥한 약을 과도하게 써서 음액을 손상시켜 형성된다.
증후) 두혼안화, 이명, 실면건망, 요슬산연, 족근 또는 경골(촛대뼈)의 동통, 유정, 구건, 무월경, 신체소수, 조열, 도한, 오심번열, 구갈, 관홍, 대변건, 소변황, 설홍소태혹무태, 맥세삭 육미지황환
3) 신정부족 - 신의 정이 허손되어 나타는 증후이다. 이증후는 품부부족으로 선천발육이 좋지 못하거나 혹은 후천적인 보양이 실조되거나 혹은 방실이 과도하거나 혹은 오랜 병이 신을 손상시키는 등의 원인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어린이 생장발육 늦고 천문의 폐쇄가 늦어지고 남자는 정액이 적어 생식기능이 하강되고 여자는 월경이 없어져 임신되지 못하고 성기능이 약화된다. 성인에게서는 조쇠현상이 생기며 머리가 빠지고 이가 흔들리고 이명, 이롱 이 생기며 정신상태가 똑똑하지 못하고 건망증이 생기며 동작이 영활하지 못하며 다리에 맥이 없다.
4) 신기불고 - 신기의 허손으로 고섭기능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증후임.
증후) 요슬산연, 청력감퇴, 면색이 희고, 설담태백, 맥세약, 활정, 조루, 대하청냉, 頻尿而 淸長, 뇨후여력부진, 소변불금, 夜間尿多. 금쇄고정환
5) 신불납기 - 신기가 허쇠되고 원기를 받아들이지 못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이 증후는 보통 오랜 기침과 폐허로 인해 신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지나친 피로로 신기를 손상시켜 형성된다.
증후) 단기, 천식, 호다흡소, 聲低, 氣怯, 활동을 하면 천식이 심해지고 땀이 남, 증세가 오래되면 몸이 수척해지고 정신 피곤해지며 기침을 할 때 소변이 나오기도 함. 허리와 무릎이 나른하고 시큰거린다. 설질과 설태 맥은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된다.
※기침이 오래 지속되고 숨을 내쉬기 수월한 들이쉬기가 바쁘며 숨이 차며 움직이면 심해지며 폐와 신의 기허증상이 나타나는 것들이 신불납기증의 변증요점이다. 인삼합개산
6) 신허수범 - 신양허쇠로 방광의 기화작용이 불리하고, 신허로 비양에 의한 수액의 운화작용이 실조된 즉 배설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여 뇨소하게 되어 수액이 기부로 넘쳐난즉 요이하의 부종이 심해진다.
증후) 요이하 부종심함 손가락을 대면 함몰할 정도이고 그외 신양허증상도 나타남. 진무탕 (온양이수)
六腑의 生理 및 辨證論治
1. 담낭 - 中淸之腑, 기항의부
담즙 저장,배설 - 간의 정기가 변화되어 형성된 담즙은 간의 소설기능에 의하여 소장으로 흘러 음식물에 대한 소화촉진시키므로 비와 위의 운화기능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膽主決斷 - 담이 결단을 주관한다는 것은 담이 정신, 의식과 사유활동중에서 사물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가리킨다.
* 담병의 변증
膽鬱痰擾 - 담의 소설기능이 파괴되고 담열이 체내를 요란시켜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정서가 유쾌하지 못하여 소설기능이 실조되어 담이 생기고 화로 변화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증후) 심계, 실면, 번열, 구고, 오심, 구토, 흉협만, 현훈, 목현, 이명, 황이태, 현활맥
※담울담요증의 변증요점은 실면이 생기고 쉽게 놀라 가슴이 두근거리고 혹은 현훈증과 이명이 생기고 황이태가 생기는 것이다.
황이태와 현활맥은 담열이 옹체된 표현
2. 위 - 대창, 수곡의 해
胃主受納, 胃主腐熟 위주강탁(通降)-위에서 소화시켜 찌꺼기를 대변으로 내보는 것 까지 위의 강탁작용에 의한다. 위기는 얼굴과 혀에서...
* 위병의 변증
1) 위음허 - 위병이 오래가거나 혹은 열병후기에 음액이 회복되지 않았거나 혹은 평상시에 매운 음식을 좋아하거나 혹은 제마음대로 되지 못하여 기가 어체되고 화가 생겨 위음을 소모하는 등의 원인에 의한다.
증후) 위완은통, 음식불사, 구건인조, 오심구토, 대변건조, 심번미열, 설홍소태, 맥세삭 사삼맥문동탕
2) 식체위완 - 음식이 위완에 정체되고 소화되지 않아서 나타나는 증후증후) 완복창만, 거안, 애부식취, 애기반산, 구토, 대변당설혹비결, 설태후이, 활맥 보화환, 지실도체환
3) 위한 - 음한이 위에 응결되고 어체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복부를 차게하거나 생 것과 찬 것을 과식하거나 지나치게 피로하여 중초를 손상시키며 한사의 침습이 겹친 것들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위완이 냉통하되 경한 즉 면면히 아프고 중한 즉 구급극통하며 빈번하게 발작함, 수족불온하되 한기를 당하면 심해지고 열기를 당하면 부드러워짐, 청수토출, 희열음, 희안, 설태백활 맥침지 혹 침현
※ 위한증의 변증요점은 위완부의 동통과 한증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고 어제부위가 푸르면 위한증이다. 良附丸
4) 위열 - 위에 화열이 왕성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음식이나 열사가 체내를 침범하는 것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증후) 위완작열통, 번갈다음혹갈, 심중조잡(가슴앓이), 욕냉음, 소곡선기, 치은종통, 구취탐산, 변비뇨적, 설홍태황, 활삭맥 청위산
3. 소장 - 수성화물, 분별청탁
수성화물 : 受盛은 접수하고 물건을 담는 다는 뜻이며 化物은 변화, 소화, 화생한다는 뜻이다. 수성기능은 두 가지로 표혀되는데 하나는 위에서 초보적으로 소화된 음식물을 접수하는데 받아 담는 용기의 작용이고 하나는 초보적으로 소화된 음식물이 소장에서 일정한 시간을 머물러 진일보 소화하고 흡수하는 것이다.
분별청탁 : 분청기능은 음식물에서의 영양부분을 흡수하고 비의 승청과 散精의 기능에 의하여 심과 폐로 수송되고 전신에 분포되어 영양을 공급하는 것을 가리키고 별탁기능은 아래의 두 개 방면으로 체현되는데 하나는 대변으로 하나는 수분을 신의 기화기능을 통하여 오줌으로 배설하는 것이다.
* 소장병의 변증
소장실열 - 체내의 소장에 열이 심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보통 심열이 소장으로 전달되어 형성된다.
증후) 가슴이 답답하고 구갈이 생기며 입과 혀에 부스럼이 생기며 소변이 붉고 소변볼 때 순조롭지 못하고 덴 것처럼 아파하며 심지어는 뇨혈이 생기며 혀는 붉고 설태는 노랗고 맥삭 도적산
4. 대장 - 대장의 주요한 기능은 찌꺼기를 수송하고 대변을 배설하는 것이다.
* 대장병의 변증
1) 대장습열 - 대장습열증은 습열이 대장을 침범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습열의 외사를 받았거나 식사에 절제가 없는 것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장염의 증세)
증후) 농혈, 점액을 하리 (회수는 많으나 양은 적음) 이급후중, 복통, 적백색이 혼합된 흐늘흐늘한 대변, 누런색을 띤 물과 같은 설사, 항문작열감, 오한 혹 발열, 소변이 적고 설태황이, 맥 활삭 혹 유삭
작약탕, 백두옹탕
2) 대장액괴 - 진액의 부족으로 대장을 습윤시키지 못하는 증후이다.
평소 음이 모자라거나 병으로 음이 손상되었거나 열성병 후 진액이 회복되지 못하였거나 부인의 산후출혈이 너무 많은 등의 원인에 의한다.
증후) 변비 설홍, 맥세삽
3) 장허활사 - 대장의 양기가 허쇠되어 고섭하지 못하는 증후이다. 보통 설사등이 오래 낫지 않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양장탕
5. 방광 - 뇨액저장, 소변을 배설
* 방광병의 변증
1) 방광습열 - 습열이 방광에 온결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습열에 침습되었거나 식사에 절제가 없고 습열이 내생하여 방광을 침습한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빈뇨, 뇨급, 뇨통, 소변임리 혹은 소변중단, 노색혼탁, 농혈 또는 사석이 나옴, 설태황이, 맥삭 팔정산
6. 삼초
원기를 통행시킨다. - 삼초는 기가 승강출입 하는 통로이고 기화하고 운행하는 장소이므로 전신의 기를 주관하고 전신의 기의 운행과 기화기능을 관리한다.
수곡을 운행시킨다. - 수곡운행과 진액(수액)대사는 반드시 삼초를 통과해야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소화, 흡수, 수송, 배설에 관계)
※ 황제내경 소문편의 오장육부의 표현
心者君主之官 神明出焉. 肺者相傳之官 治節出焉. 肝者將軍之官 謀慮出焉. 膽者中正之官 決斷出焉. 膻中者臣使之官 喜樂出焉 脾胃者倉廩之官 五味出焉. 大腸者傳道之官 變化出焉. 小腸者受盛之官 化物出焉 腎者作强之官 伎巧出焉. 三焦者決凟之官 水道出焉. 膀胱者 州都之官 津液藏焉 氣化則能出
장부겸증
1. 心腎不交 - 실면이 주요한 증상으로서 심화가 항진되고 신수가 허약해진 증상을 겸하고 있다. 교태환, 황련아교탕
증후) 심계, 불면, 흉만, 두훈, 이명, 건망증, 오심번열, 구갈, 설홍, 맥세삭, 혹은 허리아래가 시큰시큰하고 차며 무직한 증상이 생긴다.
2. 心脾兩虛 - 심혈이 부족하고 비기가 허약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이증후는 보통 오랜병에 의한 실조 혹은 지나친 피로와 걱정 혹은 만성출혈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심계, 실면, 다몽, 이경, 건망, 사지권태, 식욕부진, 완복창만, 대변부실, 면색위황, 설질담,맥세약, 혹은 뉵혈, 월경색담량다, 붕루 혹은 경소, 경폐 귀비탕
3. 心肝血虛 - 심과 간의 혈이 모자라 나타나는 증후이다. 오랜병으로 체질이 약해지거나 지나치게 걱정하여 음혈이 소모된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심계, 실면, 다몽, 이경, 현훈, 양목건삽혹은 내추, 시물모호, 협륵은통, 지체마목, 근맥구련, 저열도한, 여자월경삽소, 설색은 연하고 설태백, 세삭맥 산조인탕합 당귀보혈탕
4. 心腎陽虛 - 심과 신의 양기가 허쇠되고 체내에 음한이 성해 나타나는 증후이다.
증후) 심계기단, 두목현훈, 근척육순, 전신부종, 형한지냉, 소변불리, 면색창백, 순갑청자, 견배산연, 복통하리, 설질담혹청자암색, 설태백활, 맥침혹침미세 사역탕, 삼부탕, 진무탕
5. 心肺氣虛 - 심과 폐의 기허에 의해 일어나는 증후이다. 이 증후는 보통 오래 지속되는 기침으로 인해 심과 폐의 기가 손상되거나 혹은 품부의 부족과 고령에 의한 체질의 허약 등 원인에 의하여 형성된다.
증후)심계, 기단, 구해천식, 痰淸稀, 胸悶鬱閉, 자한핍력, 動則尤甚, 면색창백, 언어음성미약, 易感冒, 설질담, 맥세약 혹은 결대맥 보원탕
6. 脾肺氣虛 - 비와 폐의 기가 허하여 나타나는 증후이다. 오랜기침에 의한 폐허가 비에 미치거나 혹은 음식부절과 지나친 피로로 인해 비를 손상시키고 정미한 물질을 폐에 수송시키지 못하는 것등에 의해 형성.
증후) 久咳不已, 단기핍력, 담다청희, 사지권태, 식욕부진, 완복창만, 대변부실, 심할경우에는 발과 얼굴에 부종이 발생, 설담태백, 맥세약
삼영백출산
7. 脾腎陽虛 - 비와 신의 병으로 양기를 손상시켰거나 혹은 오랜 설사 혹은 수습에 오랫동안 침습되어 심양허쇠로 비양을 온양시키지 못하거나 혹은 비양이 오랫동안 허쇠되어 신양을 돕지 못하므로 결국에는 비신의 양기가 함께 허쇠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증후) 형한지냉, 면색창백, 요슬 또는 소복의 냉통, 하리청곡, 오경설사, 안면과 사지의 부종, 소변불리, 심히면 수종창만, 설질담 혀는 붓고 백활태와 침세맥이 나타난다. 사신환
8. 肺腎陰虛 - 오랜기침에 의해 폐음이 손상되고 폐허가 신을 침범하거나 혹은 신음이 허약하거나 혹은 과도한 방실에 의해 신허가 폐를 침범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해수무담하거나 약간의 담은 있으되 끈적끈적함, 담중대혈, 구조인건, 요슬산연, 골증조열, 도한관홍, 남자유정, 여자월경부조, 설홍소태혹무태, 맥세삭, 혹은 목쉰소리가 나며 경골(촛대뼈)통과 족근통
맥미지황탕
9. 肝腎陰虛 - 오랜병에 시달렸거나 방실에 절제가 없거나 정서에 의한 내상 등의 원인에 의하여 형성된다.
증후) 면색초췌, 양관연홍, 미열도한, 두현, 목건, 이명, 지체마목, 시물모호, 구순지갑창백, 요슬산통혹위연, 인후건통, 심번불매, 대변난삽, 남자유정, 여자월경부조, 설홍무태, 맥세삭 일관전, 기국지황환
10. 肝脾不調 - 간의 소설기능과 비의 운하기능이 파괴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이 증후는 보통 정서가 유쾌하지 못하거나 성을 내어 간이 울체되거나 혹은 음식에 절제가 없거나 과도한 피로로 비가 손상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소요산, 시호소간산
증후) 이노, 흉협과 완복이 창통, 납매, 장명변당, 설태백이, 맥현유력
※ 간비주조증의 주요한 표현은 흉협부가 뻐근하고 답답하며 부위가 이동하면서 아파하고 성을 잘내며 배가붓고 설사가 생기는 것이다.
※ 木橫侮土 - 간의 소설기능이 실조되어 기의 순행이 순조롭지 못하게 되면 비의 운화기능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을 목횡모토라 한다.
※ 토옹모목 - 비의 운화기능이 실조되어 기가 중초에 울체되고 습이 체내에 몰리므로 간기의 소설기능을 파괴하여 脾證이 간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것을 토옹모목이라고 부른다.
11. 간위불화 - 간의 소설기능과 위의 하강기능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증후이다. 이 증후는 보통 정서상의 원인으로 기가 울체되고 화가 산생되거나 혹은 한사가 체내로 간과 위를 침습한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위완부와 옆구리가 뻐근하고 답답하게 아프며 트림과 딸국질이생기고 신물을 토하며 번조해하고 성을 잘 내며 설홍, 박황태, 현맥 혹은 대삭맥 좌금환
※ 간위불화증은 두 가지 부류의 증상을 나타낸다.
1) 간이 울체되고 화가 생겨 위를 침범한 증상으로서 완협부가 뻐근하게 아프고 신물을 토하고 답답하며 설홍과 황이태 등이 나타나는 것.
2) 한사가 체내의 간과 위를 침범한 증상으로서 두통이 있고 맑은 침을 토하고 설색이 연하고 백활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두통도 한을 만나면 심해지고 열을 만나면 경해진다.
12. 肝火犯肺 - 간경의 氣火가 상역하여 폐를 침범한 증후이다. 이 증후는 보통 정서로 인해 간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간경의 열사가 상역하여 폐를 침범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증후) 흉협부가 덴 것 처럼 아프고 초조해하고 성을 잘내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붉고 번열이 나며 입이 쓰고 발작성 기침이 나며 가래는 걸고 적으며 누렇고 심지어 각혈이 생기며 설홍, 박황태, 현삭맥
사백산가미
기항의 부 (奇恒之六腑)
腦, 髓, 骨, 脈, 膽, 女子胞
형태상에서는 부와 비슷하나 기능사에서는 정기를 저장하므로 장과 비슷하다. 장도 아니고 부도 아니므로 “기항의 부”라고 한다. 이는 담만이 6부에 소속되어 표리, 락속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외에 다른 것들은 표리의 관계도 5행의 배속관계도 없으며 5장6부와는 같지 않은 것임.
1. 腦 - 수해, 정신지부, 원신지부
1) 정신사유를 주관한다 - 실증과 허증이 있다. - 오장 오지와 관계
2) 감각기능을 주관한다.
※ 신은 정을 저장하고 정은 수를 생성하고 수는 뇌에 모이므로 뇌와 신의 관계는 더욱 밀접한 것이다. 만일 신정이 충만하여 수해를 보양하면 뇌의 발육이 건전하게 되므로 정력이 충분하고 귀가 맑고 눈이 밝고 사유가 영민하고 동작이 영활하게 된다. 물론 다른 4장과도 관계가 있다.
2. 髓 - 골수,척수,뇌수
1) 뇌해를 보양한다 - 선천의 정과 후천의 정이 수를 생성시켜 뇌수를 보양
2) 골격을 자양한다 - 신정이 충족하면 골수도 충족해 골격을 자양.
3) 혈액을 변화 생성시킨다 - 골수는 조혈기관으로서 혈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정과 수는 혈을 생성시키는 원천이다.
3. 骨
1) 골수를 저장한다 - 뼈는 수부
2) 형체를 지지한다.
3) 운동을 주관한다.
4. 맥 - 기혈을 운행시키는 통로이다. 고로 혈맥이라고도 한다.
1) 기혈을 운행시키는 통로이다.
2)전신의 기능여하를 반영한다.
5. 여자포(자궁)
1) 월경을 주관한다 - 천계의 작용밑에 충맥이 왕성, 임맥이 통하여 월경이 오기 시작한다.
2) 태아를 발육시킨다. ※ 여자포의 생리기능은 신, 심, 간, 비와 충임맥 과 관계깊다 ※ 남성의 생육기관은 신이 주관, 충임맥과 關係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