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ddle grip (패들 그립) 평편한 퍼터를 잡기 위한 그립. 탁구를 하듯 평편한 그린 위에서 홀을 향해 무난한 퍼팅을 쳐내기 위해 이 그립을 사용한다.
Palm grip (내추럴 그립) 샤프트를 손바닥으로 쥐는 것과 같이 양손의 손바닥으로 쥐게 되는 그립. 내추럴 그립이라고도 한다.
Par (파 또는 기준 타수) 티를 출발하여 홀을 마치기까지의 정해진 기준 타수를 말한다. 이때 그린위에서의 퍼팅은 2번으로 기준하였다. 보통 3, 4, 5타를 기준 타수로 정하고 있으며 여성 골퍼의 경우 6타의 홀까지 있다. 홀당 남녀별 정확한 거리 및 기준 타수를 보면 다음과 같다. 파3: ( 남)~250야드 ( 여)~210야드, 파4: ( 남) 251~471야드 ( 여) 211~400야드, 파5: ( 남) 471야드 이상, ( 여) 401~575야드, 파6: ( 여)576야드 이상
Par break (파 브레이크) 버디 이상의 스코어를 내는 것.
Partner (파트너 또는 짝) 포어섬 경기에서 한편이 되는 경기자. 현재는 동반 경기자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Pass (앞서 보내다) 앞선 경기자들의 그룹이 뒤에 오는 경기자들을 먼저 통과시키는 것. 가령 볼이 벙커 등 장애 지역에 들어가서 잘 나오지 않아 시간이 걸리거나 앞 그룹과의 간격이 1홀 이상 차이가 날 때는 뒷 그룹을 먼저 패스시키는 것이 에티켓으로 되어 있다.
Peg (펙 또는 나무 티) 나무 티가 처음 선을 보였을 때 그것을 부르던 이름이다. 나무 티가 개발된 1920년대 이전 까지만 해도 골퍼들은 젖은 모래나 진흙 등을 사용하여 티 모양으로 만들어 놓고 티 샷을 했었다.
Penalty (페널티) 벌타 또는 벌칙. 규칙에 의하여 부과된다.
Penalty stroke (페널티 스트로크) 규칙위반에 대하여 타수로 벌을 주는 것.
Peoria method (페오리아 메서더) 핸디가 없는 사람이 경기 참가시 경기위원이 경기전 극비리에 18홀 중 임의의 6홀을 정하여 두고 경기 후 이를 토대로 핸디캡을 산출한다. 즉 해당 6홀의 합계를 산출하여 3배 한 수에서 72를 빼고 다시 0.8를 곱한 수가 핸디캡이 된다.
Peoria system (페오리아 시스템) 1라운드의 홀부터 파의 합계가 24가 되도록 숨기기 홀의 6개홀을 선정한다. 라운드를 끝낸 후 숨긴 홀인 6개 홀의 타수 합계를 3으로 곱한 숫자에서 그 코스의 파를 빼고 8를 곱한 것을 핸디캡으로 산출한다.
Pick and shovel (픽 앤 셔블) 웅덩이에 들어간 볼을 쳐 올려서 위기를 탈출시키는 타법.
Pick up (픽 업) 볼을 주어 올리는 것.
Pin (핀) 홀을 표시하기 위해 꽂혀지는 깃대 또는 핀.
Ping (핑) 넓은 클럽페이스를 가져 효과적인 퍼팅을 할 수 있으며 널리 이용되고 있다.
Pipe (파이프) 아이언 클럽의 목이나 호젤의 별칭.
Pistol grip (피스톨 그립) 권총을 잡듯이 퍼터의 윗부분을 잡는 그립 방법을 말한다.
Pitch (피치) 그린 근처에서 또는 그린으로부터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지점으로부터 볼을 공중에 띄워 그린으로 쳐 보내는 것으로 어프로치 샷의 일종.
Pitch and run (피치 앤 런) 볼이 낙하 후에 구르도록 치는 타법으로 어프로치 샷의 일종.
Pitch shot (피치 샷) 타면의 각도가 큰 숏 아이언으로 볼을 높이 날려서 그린이나 핀을 겨낭하는 것. 연못 넘기기, 벙커 넘기기에 잘 이용되는 샷이다.
Pitching iron (피칭 아이언) 8번 아이언의 옛 명칭. 로프터 또는 피칭 니브릭이라고도 한다.
Pitching wedge (피칭 웨지) 피치 샷 용으로 만들어진 웨지로 로프트가 많고 무게도 가장 무겁다.
Pivot (피봇) 허리의 회전 및 허리를 비트는 허리틀기.
Place (플레이스) 볼을 들어 다시 제자리에 놓는 것.
Plain back (플레인 백) 아이언의 뒷면에다 아무런 장식도 하지 않은 것.
Plam grip (팜 그립) 샤프트를 손바닥으로 쥐는 그립.
Plateau (플레튜) 그린의 모양이 사발을 엎어 놓은 것처럼 가운데가 불룩하게 솟은 것.
Plateau green (플레튜 그린) 포대그린. 포대그린을 겨냥할 때는 부드러운 피치 샷으로 볼을 떠 올리든가 런닝으로 튀어 오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지는 그린 주변의 상황에 따른다.
Play off (플레이 오프) 연장전. 성적이 동점일 때 몇 홀 또는 18개 홀을 연장해서 승부를 내는 방법.
Play through (플레이 스루) 앞선 그룹의 골퍼들이 뒷팀을 먼저 보내기 위해 그라운드의한쪽으로 비켜주는 것.
Playing the odd (플레잉 더 오드) 상대보다 먼저 자신이 경기를 한 후에 상대로 하여금 샷을 하게 하는 행위.
Plugged lie (플러그드 라이) 그린운드의 디보트 자국에 박힌 볼.
Plumb bob (플럼 봅) 퍼터의 샤프트를 그라운드에 수직으로 세워들고 퍼팅선을 측정하는 행위.
Plus player (플러스 플레이어) 핸디캡이 0보다 높은 플레이어.
Plus player (플레이어 나 핸디캡 0이상의 플레이어) 핸디캡이 0보다 위인 경기자를 말하며 플러스 1이라든가 플러스 2의 플레이라고도 한다.
Poing tourney (포인트 터니) 득점경기. 파1점, 버디2점, 이글3점 등으로 각기 몇 점으로 정하고 그 합계 점수가 많은 자가 이기는 경기.
Pot bunker (팟 벙커) 작고 독처펌 생긴 벙커.
Power golf (파워 골프) 잘 날리는 장타자의 골프를 말함.
Practice tee (프랙티스 티) 골퍼들이 백에 있는 모든 클럽을 가지고 샷 연습을 할 수 있는 연습 그라운드.
Pressure (프레저) 승부를 결판내는 중요한 순간에 심리적으로 받게 되는 압박감.
Private competition (프라이비트 컴피티션) 친구들끼리 모인 사적인 경기.
Pro (프로 골퍼) 직업적으로 돈을 벌기 위해 골프를 치거나 가르치는 골퍼를 말한다. 이때 골프를 치는 쪽을 투어 프로라고 하고 가르치는 쪽을 레슨 프로라고 한다. 반대말은 아마추어.
Professional (프로페셔널) 골프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 남녀 모두가 협회에서 인정한 프로테스트에 합격한 사람을 정회원으로 가입한다. 그 외에 레슨부 회원, 준회원도 있다.
Pronation (프로네이션) 임팩트 후 왼손이 제쳐지는 것. 잘못된 왼손의 내전은 좌측으로 꺾어 나가는 샷이나 더 심한 훅 볼이 난다.
Protest (프로테스트) 프로로서 기량을 인정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테스트.
Provisional ball (프로비저널 볼) 볼이 분실되었거나 OB, 워터 해저드에 들어갔다고 생각될 때 플레이어가 그 위치에서 대신 치는 볼.
Public course (퍼블릭 코스) 컨트리 클럽이나 골프 코스처럼 회원제가 아니고 일반 대중에게도 개방된 코스. 골프 대중화에 있어서 가장 필연적으로 따라야 할 시설이기도 하다. 87년 현재 국내에는 마사회에서 운영하는 퍼블릭의 코스를 제외하고는 전무한 상태여서 이것의 신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Pull (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스윙을 하여 그 결과 볼이 왼쪽으로 날아가는 샷.
Pull angle (풀 앵글) 타면의 앵글을 말함.
Punch (펀치) 주먹으로 치다, 힘을 말함. 손목을 잘 써서 치는 것을 펀치 샷이라고 한다. 약간 우측으로 보낸 볼을 누르듯이 위로부터 골프채로 쳐 내리고 폴로우 스루를 없애는 샷. 쳐날린 볼은 낮게 튀어나가고 땅에 떨어진 다음에 바로 멎는다. 아이언의 컨트롤 샷 때 잘 이용된다.
Push (푸시) 목표를 향해 볼을 밀어치는 것. 왼쪽 손목은 이용하지 않은 채 낮게 클럽을 가져다 대면서 백 스윙을 먹이게 되는 샷.
Push shot (푸시 샷) 다운 블로우로 볼을 낮게 뜨게 치는 방법. 아이언에 의한 타법의 일종으로 역풍에 효과가 있다.
Putt (퍼트) 그린 위에서 볼을 홀로 향해서 굴려치는 플레이.
Putter (퍼터) 퍼트용의 아이언 클럽 그린 위에서 직접 핀을 쏘는 클럽으로 T.D.L형의 3종이 있다. L형 퍼트는 클럽헤드의 모양이 L형인 것이고, D형은 주먹형, T형은 페이스의 방향을 정하기 쉽게 만든 것.
Putting (퍼팅) 그린 위에서 볼을 홀에 넣기 위해 퍼터로 스트로크를 하는 것.
Putting line (퍼팅 라인) 그린 위의 볼과 홀을 직선으로 이은 선으로 퍼팅시 공격선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