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화장계 원문보기 글쓴이: 밝음
국새 [國璽]
1.국새 2.인장의 역사 3.국세와 옥세
1.국새: 국새라고 합니다. 국새란 한나라에서 나라의 외교 문서나 법령에 서명을 할 때 대통령이나 임금이 사용하는 인장으로서 개인의 도장과 같은 역활을 한다.
국새(國璽)[―쌔][명사]
1.임금의 인장(印章). 국보(國寶). 어새(御璽). 옥새(玉璽).
2.한 나라의 표상으로서의 인장. (준말)새(璽).
3.국사(國事)에 사용되는 관인(官印).
국가를 상징하는 인장(印章)의 명칭은 새(璽), 보(寶), 어보(御寶), 어새(御璽), 옥새(玉璽), 국새(國璽)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어져 왔다. 새(璽), 보(寶)는 인장(印章)의 뜻을 지니고 있으며, 어보(御寶), 어새(御璽)는 왕실의 인장을 의미하는 말이다. 옥새(玉璽)는 재질이 옥으로 만들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현대적 의미에서 국가를 상징하는 인장의 이름으로는 국새(國璽)라고 표기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임금이나 임금이 지정하는 관원이 나라의 중요한 문서에 국가의 표상(表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예왕(穢王)이 예왕지인(穢王之印)이라는 국새를 사용한 것이 시초이다.
고려시대에는 요(遼)·금(金) 등이 임금에게 금인(金印)을 보내 왔고, 원(元)나라에서는 '부마국왕선명정동행중서성(駙馬國王宣命征東行中書省)'의 도장을 보내 왔으며, 1370년(공민왕 19)에는 명(明)나라에서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라는 도장을 보내 왔다.
조선시대에 와서 세종은 '체천목민영창후사(體天牧民永昌後嗣)'를, 성종은 '시명지보(施命之寶)'를 각각 만들어 썼다. 영조 때에는 국새의 종류가 많아졌는데, 대보(大寶)·시명지보·이덕보(以德寶)·유서지보(諭書之寶)·과거지보(科擧之寶)·선사지기(宣賜之記)·동문지보(同文之寶)·규장지보(奎章之寶)·준철지보(濬哲之寶)·준명지보(濬明之寶)·홈문지보(欽文之寶)·명덕지보(命德之寶)·광운지보(廣運之寶) 등을 사용하였다. 고종 때에는 그 이전의 국새를 모두 폐지하고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대조선대군주지보(大朝鮮大君主之寶)·대한국새(大韓國璽)·황제지새(皇帝之璽)·황제지보(皇帝之寶)·칙명지보(勅命之寶)·제고지보(制誥之寶)·시명지보·대원수보(大元帥寶)·원수지보(元帥之寶) 등을 만들어 썼다.
정부가 수립된 후 1949년 5월 5일 대통령령(令) 제83호로 새로운 국새를 마련하였고, 현재는 1970년 3월에 고친 국새 규정에 따라 사방 2치(약 6.6cm)의 정사각형에 한글 전서(篆書)로 '대한민국'이라고 가로로 새겨 총무처에서 관리하고 있다.
(출처 : '국가 인장에 대해 알려고 합니다.' - 네이버 지식iN)
2.인장의 역사
고대 인장은 신성한 영물( 靈物 )이었다. 주술적( 呪術的 )인 혹은 호부( 護符 )로서의 인장이 인류최고의 도시문명을 일으켰던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에서, 기원전 400년경에 이르러 이미 사용된 흔적을 보여 주고 있다.즉, 돌이나 조개껍질 따위를 이용해서 문자나 문양( 紋樣 )을 인각( 印刻 )한 스템프식 인장이나 원통형의 인장이 당시의 상류계급이었던 슈멜인에게 장신구( 裝身具 )의 구실을 함과 동시에 호신( 護身 )의 부적으로 사용하였다.고대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황금충( 黃金蟲 ) 형상을 본딴 스카라브( scarab ) 라는 석인( 石印 )이 있었는데 그것에는 회문자( 繪文字 ) 또는 왕명, 인명, 때로는 제신( 諸神 )이나 성수( 聖獸 )의 모습을 음각( 陰刻 ) 하였던 것이다. 이집트에서는 황금충을 "케베리"라고 호칭하여 창조( 創造 )의 신( 神 ) 태양의 신으로 숭배했던 것이므로, 스카라브는 귀신을 쫒는 호부로서 인체에 간직되었으며, 인재( 印材 )로는 주로 활석질( 滑石質 )을 사용하였으며, 金,銀으로 된 것은 흉장( 胸章 )이나 지환( 指還 )으로도 사용하는 풍습이 그리스나 로마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다.기원전 1600년경 에게 문명의 중심지였던 지중해의 크레타(島)에서는 상형문자( 象形文字,crete문자 )를 새긴 인장이 사용되었다.이것을 사용하면 모유(母乳)를 나게 한다는 신심( 信心 )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전하는바, 당시의 사람들이 인장을 생명과 성장의 근원인 어머니의 젖 줄기에 비겨 생각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중국에는 기원전 1000년경 후반, 전국시대에서 진한시대에 걸쳐 성행했던 인장에 금수( 禽獸 )나 인물을 새긴 스키타이식의 초생인( 肖生印 )이 많았으며 이는 이란계 유목민족의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상상할 수 있으며 특히 신상( 神象 )을 조각한 것에서 주술적 종교적 성격을 보게 되는 것이다. 한인( 漢印 )으로는 고어인( 古語印 )의 일종인 "황신월장( 黃神越章 )이라는 인장을 보게 되는데, 이것을 사람이 山中에서 착용하면 호환( 虎患 )이나 악우리나라의 인장역사는 일찍이 환인이 그 아들 환웅에게 천하를 다스리고 인간세상을 구하게 함에 있어 천부인 ( 天符印 )세 개를 주어 보냈다는 고려시대 일연의 저서 삼국유사의 단군고사에 나타나는 천부인 삼방( 天符印三方 )이 최초의 설이며 인장에 대한 영적숭앙(靈的崇仰 )의 기록으로는 삼국사기에 국왕이 바뀔 때마다 왕이 명당에 앉아 국새( 國璽 )를 손수 전했다는 기록이 있으니 이는 곧, 국새가 왕권의 상징이었을 뿐 아니라, 사직( 社稷 )의 안태( 安泰 )를 빌었다는 기원적(祈願的인 의미가 깃들어 있는 것이다.이것으로 미루어 신라시대에 이미 국새를 사용하였음을 알겠으며 고려조( 高麗朝 )에 들어서는 고려사의 백관지( 百官誌 )의 기록에 보면, 인부랑( 印符郞 )이라는 관직을 두어 궁정의 인장을 관장하였음을 알 수 있고, 당대( 當代 )에는 이미, 개인들도 인장을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극히 숭상하였음을 볼 수 있다. 즉 개인의 인장에도 용'봉( 龍'鳳 )을 아로새겼다든가, 청자( 靑磁 )를 구어 인형(印形 )을 만들었다든가 하는 것은 인장에 대한 예술적인 감정( 感情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요,이는 마치 불상예술( 佛像藝術 )이 불교의 깊은 신앙의 표상이듯이 이같은 인장예술도 인장이 인간에게 주는 영적( 靈的 )감정의 표현이었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같은 감정은 ?새의 이조시대까지 면면히 이어져 현존하는 국새( 國璽 )와 보인( 寶印 )이 1000개를 넘는 것을 볼 때에,이는 인장이라는 것이 단순한 필요성 이상의 기원적( 祈願的 )인 존재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장의 역사는 유구한 것이며 우리의 일상생활속에 필수품인 동시에 소중한 우리문화의 유산인 것이다. 우리의 전통과 문화가 점점 사라져가고 그 가치가 날로 쇠퇴해가는 작금에 인장이라는 소중하고 고귀한 문화적 가치와 전통을 보전계승 발전하고자 뜻있는 인장인 들이 각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신( 惡神 )의 화(禍)를 면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3.국세와 옥세
국새와 옥새는 같은 것일까?
요즘은 국새라는 용어가 일반화됐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아직도 옥새라는 용어가 친숙한 감이 있다. 옥새는 기본적으로 '옥으로 만든 임금이 쓰는 도장' 이라는 '재질'에 관련된 이름이다. 옛날에는 옥새보다 '어보' 라는 말이 많이 쓰였다.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옥새를 전시하고 있는 덕수궁 안 궁중유물 전시관에는 '어보'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어보는 일반적으로 옥새, 즉 임금의 인장을 말하나 왕비, 왕세자,빈 등의 인장도 포함된다. 어보는 옥으로 만든 것은 옥새, 금으로 만든 것은 금보라고 하였다, 옥새는 국새로 많이 대용하였으며 조선 영조 대에 가장 많은 어보를 새겨 용도에 따라 사용했다. 문서의 내용에 따라 각각 다른 어보가 사용됐다. 즉 옥새는 '어보'와 비슷한 넓은 의미로 쓰였다. 반면 최근 대표성을 갖고 쓰이고 있는 '국새'는 나라를 대표하는 인장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옥새가 왕을 중심으로 한 왕조시대에 중심으로 쓰였던 용어라면 국새는 현시대에 적절한 용어로 보인다.
국새가 처음 만들어진 때는 언제일까?
후한서와 사기에는 문헌상으로 국새에 관한 얘기가 처음 등장한다.
진시황이 화씨벽(초나라 화씨가 봉황새가 깃든 돌에서 캐낸 옥)을 입수해 그것으로 도장을 만든데서 유래했다. 임금이 사용하는 도장을 '옥새'라고 부르게 된 연유다. 재질이 옥으로 된 까닭이었던 것. 진시황은 승상 이사를 시켜 이 도장에 '수명어천기수영창(受命於天其壽永昌:하늘에서 명을 받았으니 그 수명이 영원히 번창하라는 뜻)'이라는 글을 새겼다. 진시황과 관련해서는 이런 전설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한번은 진시황이 지방을 순찰하다 동정호에서 심한 풍랑을 만나 옥새를 호수에 던지니 물결이 잔잔해졌다. 8년 후 진시황이 화음 지방을 지날 때 한 노인이 길을 막고 서서 '용왕님께서 돌려드리는 것입니다.' 라고 말하여 옥새를 주고 사라졌다"는 것. 진나라가 망하고 한나라가 서자 진시황의 손자 자영은 옥새를 한 고조에게 바쳤다. 한고조가 이 옥새를 차고 다니자 이를 '전국의 옥새'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옥새는 황제의 상징이 됐다.
우리나라 국새
국사에 사용하는 관인. 임금이나 임금이 지정하는 관원이 나라의 중요한 문서에 국가의 표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왕(穢王)이 예왕지인(穢王之印)이란 국새를 사용한 것이 시초이다. 그 후 고려 때는 요(遼)·금(金) 등이 임금에게 금인(金印)을 하사, 원나라에서는 부마국왕선명정동행중서성(駙馬國王宣命征東行中書省)의 도장을 보내 왔으며, 1370년(공민왕 19)에는 명나라에서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라는 도장을 보내 왔다. 이조에 와서는 '위화도회군'이라는 쿠데타를 통해 성립한 조선왕조는 명나라에 옥새를 내려줄 것을 요청했다. 옥새를 하사받아 일종의 정통성을 인정받고자 했던 것. 이때부터 조선왕조의 옥새는 중국으로부터 하사받는게 관행이 됐다. 조선 왕조는 이 옥새를 중국과의 외교문서 등에 사용하고 국내 문서 등에 사용됐던 옥새는 조선왕조가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당시 옥새에 영물은(인장의 꼭지에 조각된 상징물)거북이다. 중국이 변방의 제후들에게 내리던 상징물에 들어있는 영물이 거북이다. 세종조에 들어와 한때 "우리 옥새를 만들자"는 얘기가 있기도 했었다.
조선왕조가 나름대로 만들어(옥새는 중국에서 내려준 것 외에도 용도에 따라 여러 중류가 제작돼 사용됐다.) 사용했던 옥새에 들어있는 거북이 모양을 찬찬히 살펴보면 재미있는 현상도 눈에 띈다. 중국과의 관계에 따라 거북이가 머리를 치켜드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 중국의 세력이 약화되고 조선왕조가 주체성을 강조하는 시대일수록 거북의 머리가 올라갔다. 세종은 체천목민영창후사(體天牧民永昌後嗣), 성종은 시명지보(施命之寶)를 각각 만들어 썼다.
영조 때는 국새의 종류가 많이 생겨 대보(大寶:사대문서에 사용)·시명지보(교서·교지에 사용)·이덕보(以德寶:통신 문서에 사용)·유서지보(諭書之寶:유서에 사용)·과거지보(科擧之寶:시권에 사용)·선사지기(宣賜之記:서적 반포에 사용)·동문지보(同文之寶:서적 반포에 사용)·규장지보(奎章之寶:교지에 사용)·준명지보(濬明之寶:춘방·교지에 사용)·흠문지보(欽文之寶)·명덕지보(命德之寶)·광운지보(廣運之寶) 등을 사용하였으며, 고종은 그 전의 국새를 전부 폐지하고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대조선대군주지보(大朝鮮大君主之寶)·대군주보(大君主寶) 등을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옥새의) 거북이만보면 신물난다"며 상징물을 용으로 바꿨다. 대한국새(大韓國璽)·칙명지보(勅命之寶)·제고지보(制誥之寶)·대원수보(大元帥寶) 등을 만들어 썼다.
국새의 관리기관
국가의 인장(印章) 제조에 대한 통제기록으로는 고려 18대 의종(毅宗)(1146∼1170) 때 "인부랑(印符郞)"이란 인부(印符)를 두었다는 기록과 조선시대 초기에 상서사(尙瑞司)가 설치되어 새보(璽寶)·부패(符牌)·절월(節鉞)을 전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에는 총무처에서 관장하여 왔으며, 정부조직 개편으로 98년 2월 28일부터는 행정자치부 의정국 의정과에서 국새와 함께 대통령직인, 국무총리직인을 관리하고 있다.
추진배경
국새는 예로부터 국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그 나라의 사회적 배경·요구·사상에 바탕을 두고 제작되었다. 따라서 국새는 그 나라의 시대성과 국력, 문화를 반영한 상징물이었다.그러나 지금 사용하고 있는 국새는 1962년 말에 제작되어 37년간 중요 외교문서, 훈·포장증, 임명장 등에 매년 16,000여회 이상 사용되어 인면(印面)이 손상되었다.그뿐만 아니라 인문(印文)의 서체는 한자 전서체(篆書體)를 모방하여 한글의 독창성을 상실하였다는 학계의 지적을 받아 왔으며, 국새 손잡이(印紐)의 거북이 형태 조각은 과거 중국의 천자가 열후(例候)들에게 하사하던 국새의 형태로서, 역사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의 잔재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또한, 국새의 재질은 옥(玉) 또는 금(金)으로 제작되던 과거의 전통을 무시하고 은(銀)으로 제작하여 국새의 품격을 낮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게다가 그 제작경위 또한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 등 그 동안 국새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정부는 199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50주년을 맞아 민족의 자긍심을 회복하고, 국가의 보물이자 예술품으로 후손에게 길이 남겨줄 수 있는 민족문화유산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통과 현대적 감각을 조화시켜, 대망의 2000년에 대한민국이 세계의 중심이 되기를 바라는 국민적 여망을 담아 새 국새를 제작하게 된 것이다.
1897년 광무개혁때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을 열면서 기존의 옥새는 모두 폐기 되었고, 새로이 황제를 상징하는 용으로 장식한 옥새를 약 60여개정도 만들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모두 빼앗겼습니다.
독립후 맥아더 장군에 의해 3개는 돌려받았구요. 어쨓든 이 3개의 옥새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출처 : '도장은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 네이버 지식iN)
황제국의 옥새
조선 왕조에서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변경한 고종은 그때까지 조선 왕조에서 사용하던 국새와 옥새를 전부 폐지했다. 국새의 명칭도 대한국새(大韓國璽), 황제지보(皇帝之寶), 황제지새(皇帝之璽) 등을 새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명실상부한 황제국을 천하에 공표하였다. 황제지새(皇帝之璽)는 신하들의 포상에, 제고지보(制誥之寶)는 당상관 이상의 고급관리의 임명장에, 칙명지보(勅命之寶)는 통신조서(通信詔書)에, 원수지보(元帥之寶)는 밀서(密書)에 사용했다. 국군통수에 대원수보(大元帥寶)등을 사용하였다. 그밖에 시명지보(施明之寶)는 공신 교서 등에 사용되었다. 보물 제1174호 청흥군 이중로 정사공신교서(靑興君 李重老 靖社功臣敎書) 등에 시명지보가 찍혀있는 것으로 볼 때 이런 추정이 가능하다.
대한국새는 후에 고종황제가 을사조약이 무효였음을 대외에 공포한 국서(國書)와 친서에도 찍혔다. 서울대 교육학과 김기석 교수에 따르면 고종황제는 을사조약 문서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을사조약의 무효를 공식선언했으며 이후 퇴위 때까지 줄기차게 일본의 주권침해를 공개규탄해온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