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저 동예 | 성립 | 옥저 | 함경도의 동해안 (함흥평야 일대) → 낭림산맥에 가로 막혀 선진문물 수용 늦음 |
동예 | 강원도 북부 동해안 (원산만 부근) → 낭림산맥에 가로 막혀 선진문물 수용 늦음 |
정치 | * 왕이 없었음 → 군장이 다스림 → 고구려의 영향권 아래 있다가, 고구려에 흡수됨 * 읍락(邑落)을 ‘읍군, 삼로’라는 군장이 다스림 * 군장 = 읍군, 삼로 |
경제 풍속 | 옥저 | * 언어와 풍습이 고구려와 비슷. * 땅이 기름져 농사가 잘됨 = 토지 비옥(肥沃) * 고구려의 지배 받음. * 해산물 풍부. 삼베, 소금, 어물 등의 특산물을 고구려에 바침. * 민며느리제도(豫婦制. 예부제) - 결혼 풍습 * 골장제 (세골장 = 가족 공동 무덤) - 장례 풍습. |
동예 | * 언어와 풍습이 고구려와 비슷. * 땅이 기름져 농가가 잘됨 = 토지 비옥(肥沃) * 책화(責禍) : 씨족마다 생활권 구분 책임(責任)을 물어서 화(禍)를 준다는 뜻으로 다른 부족의 생활권을 침범하면 배상하는 제도이다. * 족외혼(族外婚) : 같은 씨족끼리 결혼하지 않음 * 단궁, 과하마(조랑말), 마포(삼베), 반어피(바다표범가죽) 고구려에 바침. * 방직(紡織)기술 발달 : 삼베, 명주(명주를 가공하면 비단이 된다) * 무천(舞天 = 추수감사제) |
공통 | * 왕이 없었음, 군장이 읍락 지배, 선진문물 수용이 늦음. * 고구려의 영향권 아래 있었음, 고구려에 특산물을 바침 * 고구려에 흡수됨 * 완전한 초기국가(연맹왕국) 단계에 이르지 못함 → 옥저와 동예는 한(漢)과 고구려의 압력과 산맥(낭림산맥)이 가로막혀 대륙의 금속문화 유입(流入)이 늦어 완전한 초기 국가로 발전하지 못하고 고구려에 멸망함. |
삼한 | 성립 형성 | * 북쪽에서 고조선이 발전하고 있을 무렵 한강이남에서는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한 진국(辰國)이 기원전 2세기경 목지국(익산)을 중심으로 형성됨. * 기원전 1세기 전후하여 철기문화의 수용 및 고조선 멸망 후 그 유민(遺民)의 유입 등으로 소국(小國)형성 → 소국들이 지역적으로 뭉쳐져 (연맹왕국) 마한(목지국 → 백제국), 진한(사로국), 변한(구야국)의 삼한 형성. * 마한 : 천안, 익산, 나주 중심으로 54개의 소국이 연맹 = 목지국, 백제국 * 진한 : 대구,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12개의 소국이 연맹 = 사로국(신라) * 변한 : 김해, 마산 지역을 중심으로 12개의 소국이 연맹 = 구야국(가야) |
정치 제도 | * 제(祭) ․ 정(政) 분리 사회 (소도) * 정치적 군장 : 신지, 견지, 읍차, 부례 (대군장) (소군장) * 제사장 : 천군(天君) = 소도의 우두머리 * 농경 및 종교의식에 관련된 것은 제사장인, <천군>이 주도함 * <소도>는 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못하는 종교적 신성지역이었다. |
경제 | * 저수지 축조(의림지, 공검지, 대제지 등) → 벼농사 발달, 철제농기구 사용 * 변한의 철 생산 → 낙랑과 일본으로 철을 수출함, 철을 화폐로도 사용함 * 김해(金海) : 쇠 금, 바다 해. = 김해는 철 수출의 중심지였다. |
풍습 | 농사 | * 5월 수릿날(단오, 파종, 풍년 기원) * 10월 계절제(상달, 수확, 추수 감사) |
사회 | * <두레> 조직, 공동 작업(협동노동) * 초가지붕의 반 움집 또는 귀틀집(통나무를 井모양 쌓음)에 거주 |
발전 | 백제(백제국), 신라(사로국), 가야(구야국)로 성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