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k and think 두번째 그림은 what happened 보다 what happens in the picture. 혹시 what happened 가 발생산 재난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두 번째 그림은 기사 제목외에 홍수가 났음을 추론할 수 없음. 그리고 어휘 의미를 유추하는 활동이므로 그림 내용이 중요한 단서임. 그러ㅣ what happens in the picture 가 되어야 함.
-어휘 추측 활동은 그림과 기사 제목에서 아는 어휘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활동임.
-think and talk에서 세 기사의 공통점을 찾으라고 하면 재난상황임이 예상답변인데 너무 명확한 질문인 듯. 관련 어휘나 표현 적어보기 등이 본문읽기에 도움이 될 듯. 재난상황 총괄 질문은 처음 그림보기에서 물어보는 것이 나음.
-after you read: movie storyline 형식으로 읽기내용 재구성은 좋음. 다만, 활동 형태가 storyline 인지 알 수 없음. 가능하다면 콘티 형식이 드러나도록 디자인하고 각 텍스트에 알맞은 이미지 스티커를 추가하게 하는 등 내용 이해를 돕거나 확인할 수 있는 장치 추가.
-수업시연할때도 first blank is volunteer 식의 교사발화는 지양, 답맞추기에 불과함. 읽기활동이므로 프로젝터 화면 이용해서 다같이 소리내어 읽되, 빈칸에서 속도늦추고 발음 정확하게 읽어주어야 함.
-step 2 첫번째 예시문은 __after__ 패턴에서 벗어남
-step 3 talk and write 3번째 질문은 문법연습 목적? 사실상 자유롭게 빈칸을 채우기 어려움. 캠페인 구호 만들기가 나을 듯.
-let’s write step 3 에서 heart 남기기 또는 댓글쓰기 활동은 이모티콘 남기기와 댓글쓰기를 분리해야 writing 이 확실하게 추가됨
-포스팅 올리기 전에 내용을 쓸 공간과 댓글 쓸 공간을 (process 중요) 제공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