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八一. [良方]三層茴香丸
治腎與膀胱俱虛 邪氣搏結不散 遂成寒疝 臍腹疼痛 陰丸偏大 膚囊壅腫 有妨行步 或瘙癢不止 時出黃水 浸成瘡瘍 或長怪肉 或外腎腫脹 冷硬如石 日以漸大 須溫導陽氣 漸退寒邪 補虛消疝 煖養腎經. 凡一應小腸氣寒疝之疾 久新不過三料.
第一料: 舶上茴香 用鹽半兩 同炒焦黃 和鹽秤用一兩 連下共重四兩 川楝子 炮 去核 沙蔘 洗 木香 各一兩
上爲細末 米糊丸 桐子大. 每服二三十丸 空心溫酒或鹽湯下 日三服. 小病一料可安 病深者 一料纔盡 便可用第二料.
第二料: 如前方加蓽撥 一兩 檳榔 五錢
上六味 共重五兩半 依前糊丸 服如前. 若未愈 再服第三料.
第三料: 如前方加白茯苓 佳者 四兩 附子 炮 去皮臍 或五錢 或一兩
上八味 共重十兩 丸服如前 漸加至三四十丸. 凡小腸氣頻發及三十年者 或大如栲栳者 皆可消散 神效.
181. [양방]삼층회향환([良方]三層茴香丸)
신(腎) 방광(膀胱)이 모두 허(虛)하여 사기(邪氣)가 박결(搏結)하여 불산(不散)하므로 된 한산(寒疝)으로 제복(臍腹)이 동통(疼痛)하고 음환(陰丸)이 편대(偏大)하고 부낭(膚囊)이 옹종(壅腫)하며 행보(行步)에 방해(:妨)가 되고 혹 소양(瘙癢)이 부지(不止)하고 시(時)로 황수(黃水)가 출(出)하며 침(浸)하여 창양(瘡瘍)이 되고 혹 괴육(怪肉)이 장(長)하거나 외신(外腎)이 종창(腫脹)하고 석(石)과 같이 냉경(冷硬)하며 날로 점차 대(大)하게 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반드시 양기(陽氣)를 온도(溫導)하여 한사(寒邪)를 점차 퇴(退)하여야 하니 보허(補虛) 소산(消疝)하고 신경(腎經)을 난양(煖養)하여야 하느니라. 소장기(小腸氣) 한산(寒疝)의 질(疾)의 구신(久新)에도 하나 같이 응하지만 삼료(三料)에 지나지 않느니라.
제일료(第一料): 박상회향(舶上茴香)(염(鹽) 반량(半兩)과 같이 초(炒)하여 초황(焦黃)하고 염(鹽)과 화(和)하여 칭(秤)하여 1량(兩)을 사용하니 하(下)와 연(連)하여 모두 중(重)이 4량(兩)이 되게 하느니라.) 천련자(川楝子)(포(炮)하고 핵(核)을 거(去)) 사삼(沙蔘)(세(洗)) 목향(木香) 各 1량(兩)
세(細)하게 가루 내고 미호(米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20~3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온주(溫酒)나 염탕(鹽湯)으로 하(下)하니 하루에 3번 복용하느니라. 소(小)한 병(病)이면 일료(一料)로 안(安)할 수 있느니라. 병(病)이 심(深)하면 일료(一料)가 다하면 곧 제(第) 이료(二料)를 사용할 수 있느니라.
제이료(第二料): 앞의 방(方)에 필발(蓽撥) 1량(兩) 빈랑(檳榔) 5전(錢)을 가하느니라.
6미(味)를 모두 중(重)이 5량반(兩半)이 되게 하고 앞과 같이 호(糊)로 환(丸)을 만드니 복용도 앞과 같으니라. 낫지 않으면 다시 제삼료(第三料)를 복용하느니라.
제삼료(第三料): 앞의 방(方)에 백복령(白茯苓)(좋은 것) 4량(兩) 부자(附子)(포(炮)하고 피제(皮臍)를 거(去)) 5전(錢)이나 1량(兩)을 가하느니라.
8미(味)를 모두 중(重)이 10량(兩)이 되게 하고 환(丸)으로 만들어 복용하니 앞과 같으니라. 점차 가하여 30~40환(丸)이 되게 하느니라. 소장기(小腸氣)가 자주 발(發)하여 30년(年)에 이르거나 크기가 고로(栲栳: 바구니)만 하여도 모두 소산(消散)하니 신효(神效)하느니라.
一八二. 奪命丹
治遠年近日小腸疝氣 偏墜搐痛 臍下脹痛 以致悶亂 及外腎腫硬 日漸滋長 陰間濕癢等證.
吳茱萸(揀淨 一斤 分四分用 酒 醋 鹽湯 童便各浸一宿 焙乾) 澤瀉(淨片) 二兩(酒浸一宿)
上爲末 酒糊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食前鹽酒或鹽湯下.
182. 탈명단(奪命丹)
원년(遠年) 근일(近日)의 소장산기(小腸疝氣)로 편추(偏墜) 축통(搐痛)하고 제하(臍下)가 창통(脹痛)하여 민란(悶亂)하거나 및 외신(外腎)이 종경(腫硬)하고 날로 점점 자장(滋長)하며 음간(陰間)이 습양(濕癢)하는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오수유(吳茱萸)(정(淨)한 것을 간(揀)) 1근(斤)(4등분으로 나누어 사용하니, 각기 주(酒) 초(醋) 염탕(鹽湯) 동변(童便)에 각 침(浸)하여 일숙(一宿)하고 배건(焙乾)) 택사(澤瀉)(정(淨)하게 편(片)) 2량(兩)(주(酒)에 침(浸)하고 일숙(一宿))
가루 내고 주호(酒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니 식전(食前)에 염주(鹽酒)나 염탕(鹽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一八三. [良方]奪命丹
方在婦人六四.
治瘀血入胞 脹滿難下.
183. [양방]탈명단([良方]奪命丹)
방(方)은 부인(婦人) 64번에 있느니라.
어혈(瘀血)이 포(胞)에 들어가 창만(脹滿) 난하(難下)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一八四. [萬氏]奪命丹
方在痘疹八二.
治痘瘡倒陷 解毒發痘.
184. [만씨]탈명단([萬氏]奪命丹)
방(方)은 두진(痘疹) 82번에 있느니라.
두창(痘瘡)의 도함(倒陷)을 치료(治)하니 해독(解毒) 발두(發痘)하느니라.
一八五. [外科]奪命丹
方在外科七七.
治疔瘡發背 惡毒惡證 有奪命之功.
185. [외과]탈명단([外科]奪命丹)
방(方)은 외과(外科) 77번에 있느니라.
정창(疔瘡) 발배(發背)의 악독(惡毒) 악증(惡證)을 치료(治)하니 탈명(奪命)하는 공(功)이 있느니라.
一八六. [局方]二氣丹
治虛寒積冷 小便不禁 老人虛人尺脈微弱患此者.
硫黃(製 硏細) 肉桂 各二錢半 乾薑(炮) 硃砂(硏爲衣) 各二錢 附子(製) 半兩
上以麵糊丸 桐子大. 每服二十丸 空心鹽湯下.
186. [국방]이기단([局方]二氣丹)
허한(虛寒) 적냉(積冷)으로 소변(小便)이 불금(不禁)하는 것을 치료(治)하니 노인(老人) 허인(虛人)의 척맥(尺脈)이 미약(微弱)하면서 이를 앓는 경우이니라.
유황(硫黃)(제(製)하고 세(洗)하게 연(硏)) 육계(肉桂) 각 2전반(錢半) 건강(乾薑)(포(炮)) 주사(硃砂)(연(硏)하여 옷을 입히느니라.) 각 2전(錢) 부자(附子)(제(製)) 반량(半兩)
면호(麵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2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염탕(鹽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一八七. [局方]半硫丸
治高年冷秘虛秘 及痃癖冷氣. [簡易]曰: 此潤劑也.
半夏(湯泡七次 焙乾爲末) 硫黃(明淨者 硏極細 用柳木槌子殺過)
上等分 以生薑汁打糊丸 桐子大. 每服五七十丸 用無灰酒或生薑湯任下.
187. [국방]반류환([局方]半硫丸)
고년(高年)의 냉비(冷秘) 허비(虛秘) 및 현벽(痃癖) 냉기(冷氣)를 치료(治)하느니라.
간이([簡易])에서는 이르기를 "이는 윤제(潤劑)이다." 하였느니라.
반하(半夏)(탕(湯)에 포(泡)하기를 7차(次)하고 배건(焙乾)하여 가루 내느니라.) 유황(硫黃)(명정(明淨)한 것을 극세(極細)하게 연(硏)하고 유목(柳木)의 방망이로 살(殺)을 과(過))
등분(等分)하고 생강즙(生薑汁)으로 타(打)한 호(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70환(丸)을 복용하니 무회주(無灰酒)나 생강탕(生薑湯)으로 임하(任下)하느니라.
一八八. 養正丹
治上盛下虛眩運 此藥升降陰陽 及咳逆翻胃 霍亂吐瀉 中風涎潮 不省人事 傷寒陰盛 脣靑自汗.
硫黃(爲末) 黑錫(鎔淨) 水銀 硃砂(硏) 各一兩
上將錫鎔化 入硫末 漸入漸攪爲末 再入水銀同擂. 如硬 再於火上微煅 又擂勻放冷 硏極細末 糯米糊丸 綠豆大. 每服三十丸 空心鹽湯下.
188. 양정단(養正丹)
상성(上盛) 하허(下虛)의 현운(眩運)을 치료(治)하니 이 약(藥)은 음양(陰陽)을 승강(升降)하느니라. 해역(咳逆) 번위(翻胃), 곽란(霍亂)의 토사(吐瀉), 중풍(中風)의 연조(涎潮) 불성인사(不省人事), 상한(傷寒)의 음성(陰盛)으로 순청(脣靑) 자한(自汗)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유황(硫黃)(말(末)) 흑석(黑錫)(정(淨)하게 용(鎔)) 수은(水銀) 주사(硃砂)(연(硏)) 각 1량(兩)
흑석(黑錫)을 용화(鎔化)하고 유황(硫黃) 가루를 점차 넣어 점차 젓고는 가루로 만들고 다시 수은(水銀)을 넣고 같이 갈아주니, 경(硬)하면 다시 화(火) 상에서 미(微)하게 단(煅)하고 또 고루 갈고, 냉(冷)하게 방(放)하느니라. 극세(極細)하게 연(硏)하여 가루 내고 나미(糯米)의 호(糊)로 환(丸)을 녹두(綠豆)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염탕(鹽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一八九. [局方]黑錫丹
治痰氣壅塞 上盛下虛 腎水虧竭 心火炎盛 或一應下虛陰寒 眞頭痛等證 及婦人血海久冷無子 赤白帶下.
黑錫(去滓) 二兩(炒末) 硫黃 二兩 肉桂 五錢 附子(炮) 木香 沈香 舶茴香 故紙 陽起石(水飛) 葫蘆巴(酒浸炒) 肉豆蔲(麵裹煨) 金鈴子(蒸 去皮核) 各一兩
上用新鐵銚將錫化開 下硫黃末 提起 以木杵擂極細 放地上退火毒 同餘藥硏一日 至黑光色爲度 酒糊丸 桐子大 陰乾入布袋內擦令光瑩 每服四十丸 空心薑鹽湯下 女人艾棗湯下.
189. [국방]흑석단([局方]黑錫丹)
담기(痰氣)의 옹색(壅塞)으로 상성(上盛) 하허(下虛)하고 신수(腎水)가 휴갈(虧竭)하며 심화(心火)가 염성(炎盛)하며 혹 일응(一應)하는 하허(下虛) 음한(陰寒)으로 인한 진두통(眞頭痛) 등의 증(證) 및 부인(婦人)의 혈해(血海)의 구냉(久冷)으로 무자(無子) 적백대하(赤白帶下)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흑석(黑錫)(재(滓)를 거(去)) 2량(兩)(초(炒)하고 말(末)) 유황(硫黃) 2량(兩) 육계(肉桂) 5전(錢) 부자(附子)(포(炮)) 목향(木香) 침향(沈香) 박회향(舶茴香) 파고지(破故紙) 양기석(陽起石)(수(水)에 비(飛)) 호로파(胡蘆巴)(주(酒)에 침(浸)하여 초(炒)) 육두구(肉豆蔲)(면(麵)에 싸고 외(煨)) 금령자(金鈴子)(증(蒸)하여 피핵(皮核)을 거(去)) 각 1량(兩)
신철요(新鐵銚)에 흑석(黑錫)을 화개(化開)하고 유황(硫黃) 가루를 하(下)하느니라. 제기(提氣)하여 나무 방망이로 극세(極細)하게 갈고는 지상(地上)에 방(放)하여 화독(火毒)을 퇴(退)하고 나머지 약(藥)과 같이 연(硏)하기를 1일하니 흑광(黑光)의 색(色)이 될 때까지 하느니라. 주호(酒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니 음건(陰乾)하고 포대(布帶)에 넣고 비벼서 광형(光瑩)이 나도록 하느니라. 매 4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강염탕(薑鹽湯)으로 하(下)하고 여인(女人)은 애조탕(艾棗湯)으로 하(下)하느니라.
百九十. [局方]紅丸子
和脾胃 消宿食 去膨脹 治大人小兒脾胃之證 極有神效.
京三稜(浸軟切片) 蓬朮(煨) 靑皮 橘紅 各五斤 乾薑(炮) 胡椒 各三斤
上爲末 用醋糊丸 桐子大 礬紅爲衣. 每服三十丸 食後薑湯送下. 小兒臨時加減與服丸 治飮食所傷 中脘痞滿 服之應手而愈. 妊婦惡阻嘔吐 全不納食 百藥不治者 惟此最妙 可佐二陳湯服之. 但人疑其墮胎 必不信服 每易名用之 時有神效 但恐妊婦偶爾損動 未免歸咎此藥 是當酌而防之.
190. [국방]홍환자([局方]紅丸子)
비위(脾胃)를 화(和)하고 숙식(宿食)을 소(消)하며 팽창(膨脹)을 거(去)하느니라. 대인(大人) 소아(小兒)의 비위(脾胃)의 증(證)을 치료(治)하니 극(極)하게 신효(神效)하느니라.
경삼릉(京三稜)(침(浸)하여 연(軟)하면 편(片)으로 절(切)) 봉출(蓬朮)(외(煨)) 청피(靑皮) 귤홍(橘紅) 각 5근(斤) 건강(乾薑)(포(炮)) 호초(胡椒) 각 3근(斤)
가루 내고 초호(醋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들고 반홍(礬紅)으로 옷을 입히느니라. 매 30환(丸)을 복용하니 식후(食後)에 강탕(薑湯)으로 송하(送下)하느니라.
소아(小兒)는 임시(臨時)에 가감(加減)하여 환(丸)을 지어 복용하느니라. 음식(飮食)의 상(傷)으로 중완(中脘)이 비만(痞滿)하는 것을 치료(治)하니 복용하면 응수(應手)하여 낫느니라.
임부(妊婦)가 오조(惡阻) 구토(嘔吐)하여 전(全)으로 납식(納食)하지 못하며 백약(百藥)이 불치(不治)하면 오직 이가 가장 묘(妙)하니, 이진탕(二陳湯)을 좌(佐)하여 복용하느니라. 다만 사람이 그 타태(墮胎)를 의(疑)하여 반드시 그 복용을 불신(不信)하니 매 이름을 바꾸어 사용하니, 시(時)로 신효(神效)하느니라. 다만 임부(妊婦)가 우연히 손동(損動)하면 이 약(藥)의 허물(:咎)로 돌리는 것을 면(免)하지 못하니, 당연히 참작(酌)하여 방(防)하여야 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