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별 원가배분의 기준
(활동별 원가배부 기준)
번호 | 제품 또는 공정별 간접원가 배부기준 | 배부관계 | 관련 간접원가 계정 |
1 | 기계가동시간 | 인과관계 | ① 임금 ② 복리후생비 ③ 전력비 ④ 감가상각비 ⑤ 수선비 ⑥ 소모품비 ⑦ 소모공구비 ⑧ 외주가공비 ⑨ 통신비 ⑩ 세금과공과금(종업원 사업소세) ⑪ 보험료(4대 보험료) ⑫ 교육훈련비 ⑬ 도서인쇄비 ⑭ 포장비 ⑮ 기타 |
종업원의 노동시간 |
제품별 및 공정별 생산량 |
공장 종업원 수 (공장장 및 작업반장 제외) |
2 | 공장 및 보조부문의 면적 | 인간관계 | ① 세금과공과금(재산할 사업소세) ② 건물 감가상각비(공장 건물) ③ 지급임차료 ④ 건물 수선비 ⑤ 보험료(건물 화재보험료) ⑥ 건물 관리비 |
3 | 가스 및 전력 사용량 | 수혜관계 | ① 가스수도료 ② 전력비 |
(직접원가 발생 원가배부 기준)
번호 | 제품 또는 공정별 간접원가 배부기준 | 관련 간접원가 계정 |
1 | 직접 재료비 발생기준 | ① 공통 재료비 ② 간접 재료비 ③ 포장비 ④ 외주가공비 |
2 | 직접 노무비 발생기준 | ① 임금 및 급여 ② 복리후생비 ③ 소모품비 ④ 소모공구비 ⑤ 통신비 ⑥ 세금과공과금(종업원할 사업소세) ⑦ 보험료(4대 보험료) ⑧ 교육훈련비 ⑨ 도서인쇄비 |
3 | 직접경비 발생기준 | ① 전력비 및 가스수도료 ② 감가상각비 ③ 수선비등 외 |
4) 제조 간접비와 공통경비의 구분
제조 간접비란 제품 생산의 원가 중 추적이 가능한 원가와 추적이 불가능한 원가로 나누어지는데
이중에서 추적이 불가능한 원가를 제조 간접비라고 한다.
제조 간접비에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제조 직접부문에서 발생하는 간접 원가를 공통원가라
하고 제조 간접부문에서 발생하는 간접 원가를 간접부문 원가라 한다.
구분 | 제조 공통부문 원가(직업부문에 대한 공통원가) | 제조 간접부문 원가 |
제조간접비 | ① 절삭 부문 ② 판금 부문 ③ 도색 부문 ④ 가공 부문 ⑤ 조립 부문 ⑥ 용접 부문 ⑦ 기타 여러 부문 | ① 창고 부문 ② 자재 부문 ③ 생산관리 부문 ④ 구내식당 부문 ⑤ 제품 a/s 부문 ⑥ 기타 여러 관리 부문
|
5) 계정별 원가배분 실무 이론 설명
계정별 원가배분에는 활동별 원가배부 기준과 직접원가 발생에 따른 원가배부 기준이 있다.
가) 활동별 원가배부 기준
단위당 표준조업도와 조업도 단위당 표준 배부율을 통하여 결정 되어 진다.
제품 또는 공정별 간접원가 배부액 = 조업도 단위당 기준 × 간접원가배부율
간접원가 배부율 = 제조 간접원가 발생액 / 기준 조업도
나) 직접원가 발생 원가배부 기준
단위당 직접원가 발생액과 단위당 표준 배부율을 통하여 결정 되어 진다.
제품 또는 공정별 간접원가 배부액 = 직접원가 기준 × 간접원가배부율
간접원가 배부율 = 제조 간접원가 발생액 / 직접원가
문의처 : (주)한국경영회계연구원
(공공기관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제조기업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종합병원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032-240-6335
대표원장 조현석 ☎ 010-2246-3953
#원가관리, #제조기업, #재고자산, #조현석, #원가회계, #제조원가명세서, #원가계산, #원가분석, #원가진단, #원가진단사,
#제품별 원가계산, #공정별 원가계산, #표준원가, #원가컨설팅, #CAMS, #원가관리사, #전산원가사, #공공기관 원가계산,
#제조기업 원가계산, #종합병원 원가계산, #제품별 손익분기점 분석, #안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