聞慶市誌 발간계획
1) 현황
(1) 聞慶誌 –점촌시 문경군, 편찬위원회, 1994년, 1620쪽
내용 12편
역사, 지리, 행정, 정치 사회, 산업 경제. 교육,
문화 체육, 종교, 민속, 관광, 인물, 지명유래
집필진 16명
고영조 고재하 권대진 김광수 김시종 김안재 남준근 신동철
신원준 신후식 윤상호 조시원 조원한 최병식 홍재휴 황규욱
(2) 聞慶誌 증보판 – 문경시, 편찬위원회, 2002년, 上882쪽 下977쪽
내용 10편
上卷 - 총설, 역사, 정치, 행정, 산업 경제.
下卷 - 사회 교육, 종교, 문화 관광, 지명유래, 인물
집필진 18명
고영조 고재하 권대진 김광수 김규천 김시종 김안재 신동철 신상국
신원준 신후식 윤상호 정용순 조성원 조원한 최병식 홍재휴 황규욱
2) 필요성
증보판 발간이후 21년으로 자료의 散逸을 막고 집대성 필요
발행된 문경지의 다수 오류로 왜곡된 문경인식 바로잡기
* 문경군이 이웃 군에 할양되고 문경이 없어 졌다는 잘못된 기록.
1 문경지 2 문경지 증보판 3 가은읍지, 4 문경읍지,
5 문경시홈페이지
* 1914년 용궁서면, 함창동면을 편입해 현재의 시계라는 잘못된 기록
1 문경시홈페이지
* 오류가 의외로 다수 발견 됨
3) 계획
국배판, 금박양장, 2500쪽 이상, 상 중 하권 1질,
발간 ; 4500권 (상 하 하 각1500권)
배부 ; 기관단체, 전국 유명도서관, 수록 시민, 출향인사, 중요인사
집필 – 교수 사학자 등 30명 정도 편찬위 구성
집필 및 발간 – 3년
2024년 자료조사(75%) 및 집필 편집(25%)
2025년 집필 편집(50%) 보완조사(25%) 교정(25%)
2026년 보완 집필 편집(25%) 교정 (75%) 공람, 발간 배부
4) 예산 456,000천원
2024년 예산 70,000천원
기획 및 발간 방향 세미나
자료조사 현지조사 ; 2인 1조, 15읍면동, 4회
문헌조사 ; 중앙도서관 등 5곳
집필 300쪽 편집 300쪽 수용비
2025년 예산 140,000천원
집필 2000 편집 2000쪽 교정 2000쪽 5교
보완조사 ; 2명 15읍면동 1회, 수용비
2026년 예산 246,000천원
집필 200쪽, 편집 200쪽, 교정 200쪽 5교,
시사 공람 16개소(시청 및 15개 읍면동)
발간비 4500권 탁송비 500개소 수용비
5 수록할 내용(가 목차)
1 기원전
1 선사시대
구석기 시대 /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2 고조선과 삼한
단군조선 / 위만조선
3 삼한시대
삼한시대의 사회 / 삼한의 신앙 / 부족국가의 관할구역 / 삼한의 묘제
4. 고령가야와 사벌국
1세기
삼국의 성립
2세기
신라가 계립령로 개설 / 삼국시대의 교통
5세기
고구려 광계토왕이 신라를 구원
6세기
삼국의 쟁패 / 행정구역과 행정조직 / 천강사불과 대승사 창건
7세기
신라의 삼국 통일
당교전투 / 행정구역의 개편 / 촌락과 향∙소∙부곡 / 신라의 불교 / 관음리 석조 반가사유상 조성 /화랑도의 활동
8세기
지방제도 개편 / 명칭과 소속 / 행정구역과 조직 /토지 및 조세제도
10세기
후삼국의 쟁패 / 후백제 견훤의 침공 / 왕건이 토천의 길을 열다
고려의 후삼국통일
고려의 지방제도 확립 / 지방제도 / 대읍중심의 군현제도 / 지방향리 / 역참제도와 상주도 / 홍건적의 침입과 공민왕의 파천 / 불교의 흥성 / 고려시대 출토유물 / 행정구역과 조직 / 토지 및 조세제도
12세기
1152년 민광문이 세운 화봉원(華封院) 시를 지은 유희(劉曦
13세기
1292년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후)
1231년(고려 고종 18) 원(元 ; 몽골)의 침입과 계립령로
14세기
1342년 전원발이 쓴 법주사자정국존비(후)
14세기 초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귀주머니(후)
14세기 초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태장계만다라 묵서(후)
1301년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후)
1390 (공양왕 2년) 문경군(聞慶郡)에 감무監務를 두었다(후
고려 군현제의 변화 / 공민왕 파천 /
문경감무 설치
조선 건국
문경현으로 독립
연혁과 명칭 / 지방제도의 정비 / 봉수제와 역원 / 전제와 조세제도/ 행정구역과 조직 / 토지제도와 재정
15세기
1450년 문경 현감이 염초 굽는 폐단을 글로 올리다
1425년 경상도 지리지의 문경현
형승과 영역 / 방리와 호구 및 인구 / 자연환경과 취락 / 기후와 기상재해
1430년 호조에서 공법(貢法)에 대한 의논에 문경현감이 참여했다
1429년 노임(盧任) 현감이 사조하자 세종이 백성들의 무육을 당부
1476년 안동권씨세보가 현존하는 최고본 족보(후)
1406년 불교계 11개 종파 242개 사를 7개종파 88개 명찰로 개편(후)
1437년 가은현 재목산 호계현 장산 신패의 제도를 상정하다(후)
1407년(태종 7) 양산사(현 봉암사)의 불상이 땀을 흘리다(후)
16세기
수계소 정문 (양곡)
16세기 임란 이전 족보 7종(후)
1507년(중종2) 僧科, 兩宗體制, 度僧制의 변화(후)
1539년 가은현의 수정 채취 문제(후)
1511년 조령 이남의 재해로 구언求言하는 전지傳旨(후)
1508년(중종 3년) 삼남 각지와 조령의 도적들을 체포토록 전교(후)
1592년 임진왜란과 문경지방
신길원 현감의 순절 / 왜병의 점령지 주둔과 당교전투 / 신분제도와 직업 / 서원과 향교 그리고 과거 / 조령진의 설진 / 종교와 신앙 / 당쟁과 무신란 / 조선의 산업
17세기
산양 향약서 (양곡)
1682년 근암서원의 속사 미면사의 영속분쟁(후)
1639년(인조 17) 청나라 년호를 쓰지 않은 첩지의 자주성(후)
서원동 계안 서(書院洞稧案序) (양곡)
근암서원사적기(황금산)
부훤당김해공께서 근암(近嵒)에서 후학을 양성하다(양곡)
1687년(숙종 13) 신필정 천거로 후릉참봉에 임명(후)
1654년(효종 5) 홍여하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후)
1660년(현종 1) 신후재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후)
18세기
농청대 문회소 사적기 양곡
산북 도천사道川祠의 유래(1758년~1870년) 황금산
산양향약수계소 황금산
현촌사자각서(縣村四子閣序) 양곡
서원동 계안서(書院洞稧案序) 양곡
영빈서당이설기(김해, 부훤당집, 1750년)황금산
사녕당기(四寧堂記) 양곡
청류정기(青流亭記) 양곡
19세기
1894년 칙령 1호로 法律과 勅令은 모두 國文으로 (후)
문경도호부의 설치
부군제府郡制 실시로 문경도호부가 안동부 소속 문경군(후)
1900년 경부대신 이종건이 5년 동안 문경으로 귀양(후)
동학봉기
1871년 조령의 무기고를 약탈한 무리를 체포 했으나 문경현감 파직(후)
노양영각 자료-산양면 부암리 영양천씨 제공 고성환
경송정기 보완-문경읍 갈평리-이욱 제공(고성환)
근대(1894 갑오경장이후)
정치
1904년 문경군은 법부령 제2호로 경상북도재판소 관할이다(후)
1911년 일본의 수호신되라고 절규한 중추원참의(후)
1914년 문경군은 문경면 상리에 군청을 두고 11면 129개 이동 관할(후)
취락 입지와 풍수지리 / 면별 지명유래
1921년 유만겸 서문의 문경군 선생안(후)
일제의 한반도 강점 / 3∙1운동과 민족항거 / 항일단체의 투쟁 / 8∙15 광복과 미군정 / 광복직후의 정치동향 / 미군정의 주요시책 / 10∙1 폭동사건 / 일제강점기 행정 / 미군정기의 지방세
경제
1924년 12월 25일 조선철도 경북선 점촌역 철도영업(후)
사회
1909년 1월 15일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후)
1928년 신간회 문경지회 설립대회 (후)
문화
1923년 호서남의 교명 변천 (후)
1929년 공립보통학교公立普通學校가 설립 인가됐다(후)
1937년 신필정申弼貞의 훈몽역의訓蒙易義 외후손外後孫이 발간(후)
현대(1948 정부수립이후)
정치
대한민국 정부수립 / 제1공화국 / 6∙25동란과 문경 ……
1951년 전투 청야작전과 피해 사슴동산
동로면 명전이장 보고 사슴동산
4∙19 학생의거 / 내각책임제 개헌 / 지방자치단체 선거 / 5∙16 군사혁명 / 3선개헌과 국민투표 / 10월유신선언과 국민투표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 지방자치제 부활 / 문경군 행정 / 점촌시의 행정 / 소방행정 / 치안행정
경제
농업과 식생 / 임업 / 광업 / 지질과 지형 / 제조업 / 상업 / 도로체계 / 육로교통 / 철도교통 / 통신 / 건설 / 토지구획정리사업 / 점촌시의 택지개발사업 / 경천댐 건설 및 낙동강연안개발사업 / 건축 / 금융
사회
1985년 음력설을 ‘민속의 날’로 정하여 법정 공휴일(후)
종교 개관 / 불교 / 기독교 / 기타종교
문화
1948년 운강(이강년)문집 및 창의일록 발행사항(후)
1951년 문경중학교 교장 화가 손일봉(후)
문화재와 유적
1966년 문경 조령 관문鳥嶺關門 및 부속성벽 사적지정(후) 10
1967년 운강(이강년) 전승 기념비각 경모각(후)
1974년 주흘산 조령관문 일원이 기념물, 1979년 조령로 주변이 국민관광지, 1981년 문경새재도립공원 지정(후)
1980년 신후식이 문경문화유적 1 조령산성을 출판(후)
교육 / 체육 / 문예 / 천연기념물 및 보호수 / 민속 /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