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상의 난해시 '진단 0 : 1'…물리학으로 재해석
박철홍2023. 1. 19. 10:55
주기적으로 연결·반복되는 시 공간에 관한 작품으로 풀이
지스트 연구팀 "당대 유럽의 예술운동보다 혁신적 시도"
'건축무한육면각체 - 진단 0 : 1'의 일본어 원문(왼쪽)과 동일작의 한국어 번역문.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천재 시인 이상(1910~1937년)의 연작시 '건축무한육면각체' 작품 중 하나인 난해시 '진단 0 : 1'을 물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논문이 이상문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에 게재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초교육학부 이수정 교수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UC 머세드) 물리학 박사과정생 오상현(GIST 졸업생) 씨는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이상의 시 '진단 0 : 1'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공간에 관한 시임을 규명하고 이를 해설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21년 이상의 대표적 난해시인 '삼차각설계도'와 '건축무한육면각체'를 4차원 기하학·물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진단 0 : 1'은 가운뎃점(·)이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11행 11열의 숫자 표와 '진단 0 : 1'이라는 표현 등이 등장하는 짧은 시이다.
기존 해석으로는 행이 바뀔 때마다 10분의1씩 곱해지는 등비수열이라거나, 대각선을 사이에 둔 대립에 관한 묘사라는 관점 등이 있었으나, 연구팀은 물리학적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숫자 표의 숫자를 시공간 좌표로 보고, 마치 종이를 말아서 양 끝이 이어진 원통형으로 만들듯 시공간의 경계를 연결하고 반복시키는 진술이라고 해석했다.
주기경계조건을 표현한 그림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진단 0 : 1'은 '건축무한육면각체'의 시공간적 배경을 설정하는 시라고 봤다.
시공간의 연결과 반복이라는 주제(주기경계조건 모티프)는 반복·무한·공포·권태·자아분열 등 이상 문학에 등장하는 다른 모티프와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상의 다른 작품인 '삼차각설계도 - 선에관한각서6'을 토대로 숫자 표에 등장하는 수열 '1234567890'이 무한히 반복되는 수열의 순환마디이자,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공간 좌표를 암시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발상을 '주기경계조건 모티프'로 명명하고, '진단 0 : 1'의 숫자 표를 이어 붙였다.
숫자 표의 상반부를 왼쪽과 아래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켜 포개어 붙임으로써 보이는 숫자 배열의 불연속성을 해결했다.
즉 시에서 '0 : 1'은 이러한 '이동시켜 포개어 붙이기'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숫자 표의 상반부를 이동시켜 포개어 붙일 때 그 가운데 부분에 주목하면, 0과 1, 그리고 가운뎃점(·)이 다음과 같이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적절한 주기로 확장된 숫자표(왼쪽)과 색깔표.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러한 분석으로 넓게 해석할 경우 '진단 0 : 1'은 시공간(또는 세상과 사회)에 대한 진찰을 통해 그것이 병적으로 반복되고 있다는 통찰적 판단이라는 것이다.
시인 이상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전신인 경성고등공업학교의 건축과 출신이다.
그가 높은 수준의 이공계 지식을 바탕으로 작품활동 시기(1930년대)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정립된 주기경계조건에 대해 직접 배웠거나, 연관된 개념에서부터 주기경계조건 모티프에 대한 기초적인 발상을 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수정 교수와 오상현 씨는 "주기성 시공간을 문학의 소재이자 배경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상의 문학적 독창성과 전위성에 대한 이해를 끌어올렸다"며 "이는 차원주의(Dimensionism) 등 당대 유럽의 예술운동 사조보다 혁신적인 문학적 시도"라고 밝혔다.
이어 "주기경계조건 모티프는 이상의 작품을 해석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이자 패러다임으로 기능하게 될 것"이라 설명했다.
논문은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논문 시리즈의 첫 번째 출판물로, 시리즈의 후속 논문에서는 '삼차각설계도', '건축무한육면각체', '오감도' 등에 드러난 주기경계조건 모티프와 그 해석에 관해 다룰 계획이다.
연구팀의 연구는 이상문학회가 발행하는 '이상리뷰' 18호에 2022년 12월 30일 자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1 - 「건축무한육면각체 - 진단 0:1」의 파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숫자표와 색깔표의 그림적 표현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GIST 이수정 교수(왼쪽)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세드 물리학 박사과정 오상현 씨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ttps://blog.naver.com/quantum-edu/222693268094
https://blog.naver.com/jkhan012/222522409200
경성고공 출신 조선(건축)인 주요 전력
| 1910.09.23. 출생 1926. 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 1929. 조선총독부내무국 건축과에 기수진출, 이후 관방 회계에서 영선계로 전근. 1930. 조선과건축(朝鮮と建築) 표지도안 현상모집 1,3등 당선 1932. 상기 잡지 2월 선외 가작 4선 입선. 같은해 7월 건축무한육면각체 발표 후 잠적. 1937년 . 조선총독부 퇴직 후 일본 동경에서 행려병자로 사망 |
김해경 (金海卿) < 1910~19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