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
2023년 11월 01일(수요일)
신륵사일주문
일주문 기둥 주련(柱聯)
三日修心千載寶 (삼릴수심천재보) 짧은 기간의 마음 수양이라도 천년의 보배요
百年貪欲一朝塵 (백년탐물일조진) 백년의 탐욕은 하루아침의 티끌이로다.
신륵사 일주문
봉미산 신륵사(鳳尾山 神勒寺) 편액
일주문 옆에 공덕비
신륵사 김병기송덕비
판돈령김공병기송덕비(判敦寕金公炳冀頌德碑 )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조선 철종대(1849~1863)의 세도가인 김병기(1818~1875)가 신륵사에 시주하여 법당과 구룡루를 보수한 사실을 기록하였습니다.
건립연대는 1860년(철종 11)입니다.
규모는 총 높이 약 226.5㎝로, 비신 높이 136.5㎝, 폭 63㎝, 두께 14.5㎝이며, 개석(蓋石) 높이 42㎝, 폭 98㎝, 두께 63.5㎝이고, 방부 높이 48㎝, 폭 91㎝, 두께 63㎝입니다.
비신의 뒷면에 음기(陰記)가 13행의 단정한 해서로 새겨져 있으나, 비제(碑題)와 찬서자(撰書者)는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비신 앞면에 큰 해서로 “판돈령김공병기송덕비(判敦寧金公炳冀頌德碑)”라 적혀 있고, 그 옆에 작은 해서로 “간역 오위장 연안김지택(看役 五衛將 延安金智澤)”이라 되어 있습니다.
불이문(不二門)
여주 신륵사는 천왕문과 금강문이 없고 불이문에 금강역사를 그려 넣어 금강문을 대신했습니다. 왼쪽 대문의 밀적금강은 부처님을 호위하는 야차신으로 부처님의 비밀스런 사적을 들으며, 항상 입을 다물고 '훔'소리를 낸다고 하여 '훔금강역사'라고도 합니다. 오른쪽 대문의 나라연금강은 천상계의 역사로 코끼리 백만배의 힘을 갖고 있고, 항상입을 열고 '아'소리를 낸다 하여 '아금강역사'라고도 합니다.
남한강변에 보제루(普濟樓)가 있습니다.
남한강 황포돛대
삼층석탑과 강월헌(江月軒) 정자
달을 감상하는 강가의 정자라는 의미로 달맞이 하기에 좋은 장소인가 봅니다.
강월헌(江月軒) 현판
신륵사 삼층석탑(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바위 위에 있는 신륵사 삼층석탑(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3호)은 화강암을 깍아 만든 삼층탑으로, 신륵사 다층전탑 근처 강변의 암반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불교에서 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무덤 양식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탑을 지탱하고 있는 기단부는 넓적한 한 장의 돌로 만들어져 있고, 그 위에는 사각형의 상대중석(면석)과 갑석을 올려 놓았습니다.
면석(面石)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모서리 기둥)와 탱주(撐柱-가운데 기둥)를 새겼고, 그 위를 덮고 있는 갑석(甲石)에는 연꽃무늬가 아래로 향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고려 말 나옹 화상을 화장한 장소에 이 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그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탑은 조각이 부드럽고 탑신부의 짜임새가 간결하여 고려 후기 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입니다.
감로수조(甘露水槽)
보호수 은행나무
나무나이 :600년, 나무높이 22m, 나무둘레 3m, 3.5m
현판에 구룡루(九龍樓)라고 써 있는 것을 보니 이곳이 9마리의 용이 승천했던 연못이 있었나봅니다.
정면 구룡루(九龍樓) 편액
뒷면 봉미산 신륵사(鳳尾山神勒神) 편액
봉미산 신륵산 편액은 동창 원충희(東滄 元忠喜 1912`1976) 의 글씨로 오세창의 제자입니다.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제226호)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제226호)
이 전탑은 신륵사 경내의 동남편 강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아래로 한강이 보이고 멀리 평야를 마주하고 있는 바위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기단부(基壇部)는 화강암을 이용하여 무질서한 7단의 층단형으로 구축하고, 윗면에는 낮은 탑신받침을 마련하였습니다.
탑신부(塔身部)는 흙벽돌로 6층까지 쌓아 올렸는데, 그 위에 몸돌 하나가올라가 있어 7층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전탑의 북쪽에는 수리할 때 세운 수리비가 전해 오는데, 그 비에 1726년(영조 2)에 고쳐 지었다고 적혀 있어 원래의 모습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신륵사 대장각기비( (神勒寺大藏閣記碑) (보물 제230호)
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는 고려 말 신륵사에 대장각을 만든 후 그 내력을 새긴 것입니다.
목은 이색이 공민왕과 부모의 명복을 빌고자 보제존자 나옹화상의 제자들과 함께 발원하여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을 인쇄하고, 이를 보관하기 위해 이곳에 2층의 대장각을 지었습니다.
비문은 예문관 대제학이었던 이숭인이 짓고, 글씨는 진현관 제학이었던 권주가 썼습니다.
뒷면에는 대장경 인쇄와 대장각 건립에 참여했던 승려와 신도들의 명단이 적혀 있습니다.
심검당(尋劍堂)
조선시대 가람배치는 금당 앞에 누각을 세우고 좌우로 선원과 강원을 배치하는 것이 정형인데, 심검당은 강원에 해당합니다. 심검당은 '지혜의 칼을 찾아 마음속 무명(無明)의 풀을 벤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 곳인데, 현재는 종무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심검당(尋劍堂) 편액은 차우 김찬균(此愚 金瓚均, 1910-?)의 글씨이며 좌측 낙관 위의 한반도 지도와 그 속의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는 김찬균이 쓴 편액의 상징입니다.
극락보전(極樂寶殿)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신륵사 극락보전(極樂寶殿)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시는 법당으로 절안의 중심부에 자리해 있습니다.
극락보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팔작 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사이에도 있는 다포(多包) 형식입니다.
극락보전 주련(柱聯)
阿彌陀佛在何方(아미타불재하방) : 아미타불 계신 곳이 그 어디일까
着得心頭切莫忘(착득심두절막망) : 잊지않고 마음속 깊이 간직하라
念到念窮無念處(염도염궁무념처) :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무념한 곳에 이르면
六門常放紫金光(육문상방자금광) : 온몸에서 항상 자색광명이 나오리라
극락보전(極樂寶殿) 편액
극락보전 정면의 가운데 문 안쪽 바로 위에는 ‘千秋萬歲(천추만세)’라고 쓴 현판이 있는데, 이 현판은 나옹화상의 친필이라 합니다.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보물 제 1791호)
극락보전에는 중앙에 극락정토에 머물며 죽은 이의 영혼을 극락왕생의 길로 인도한다는 아미타불이, 협시로 왼쪽에는관세음보살과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이 봉안 되있습니다. 아미타불의 육계*가 유난히 높고, 이국적인 얼굴, 옷 주름 표현의 독창성 등이 다른 불상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성이 있습니다. 가운데 여래는 앉아 있고, 양 옆의 보살은 서 있는데, 이 것은 중생이 필요로 할 때 당장이라도 달려갈 수 있는 의미를 표현한 것입니다. 본존의 높이는 1.5m, 협시보살상은 2m로 1977년에 개금했다고 합니다.
*육계 : 부처님의 머리 위에 살이나 뼈가 올라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합니다.
아미타여래삼존상은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 오른쪽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운데의 여래는 앉아 있고, 여래 양쪽의 보살은 서 있는데, 유난히 높은 육계(肉髻), 이국적인 얼굴, 옷 주름 표현의 독창성 등의 조형적 특징은 다른 불상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특징입니다.
불상 내부에서 복장 원문이 발견되어 1610년(광해2)에 승려와 일반 백성 백여명이 마음을 모아 삼존상을 만든 것임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인일이라는 새로운 조각승의 이름이 확인되어 17세기 초기 조선 시대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불교 종파에 따라 다른 종파와 차별화하기 위해 탄생한 보살인 듯, 크기는 관음보살과 같으며 원광(圓光)을 지닌 채 온 세상을 폭넓게 비춘다고 합니다. 관음이 관발(冠髮)에 화불(化佛)을 지니고 있는데 반해, 대세지보살은 보배병을 얹고 있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곳 신륵사에는 친절하게도 보살 아래에 설명을 붙여 놓았습니다.
신륵사 다층석탑 (보물 제225호)
신륵사 다층석탑(神勒寺多層石塔)은 백대리석(白大理石)을 재료로 2단의 기단을 쌓고, 그 위로 여러 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려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통일 신라나 고려의 양식과는 전혀 다릅니다.
기단부에서 탑신부까지 전부 돌을 한 장씩 쌓는 방식을 취하였습니다.
탑신부의 각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얇은 한 단이며, 네 귀퉁이에서 가볍게 추켜 올라가 있습니다.
8층 몸돌 위에 지붕돌 하나와 몸돌 일부분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층수가 더 많았을 것으로 보이지만 8층 탑신의 아래까지만 옛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각 부분 아래에 굄을 둔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이 일부 드러나지만, 세부적으로는 그러한 특징을 벗어난 표현도 나타납니다.
삼성각(三聖閣)
삼성각에는 칠성도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가운데에 북극성을 상징하는 치성광여래(칠성여래)를 주불로 모시고, 좌우에 해와 달을 상징하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협시불로 배치했습니다. 중앙에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두고 좌우보처로서 일광보살(日光菩薩) · 월광보살(月光菩薩) 그리고 상단 좌우에 칠여래, 하단 좌우에 칠원성군을 도설하는 구도를 보입니다. 토속신앙과의 교화로 아기를 낳아달라고 빌거나 소원을 기원할 때 자주 찾는 곳이기도 합니다.
삼성각의 가운데 칸에는 칠성탱화(七星幀畫)가 그려져 있습니다.
칠성탱화는 민간 신앙인 칠성을 불교의 호법선신으로 수용하고 이를 의인화하여 묘사한 불화(佛畵)입니다.
조사당( 祖師堂) (보물 제180호)
조사당은 팔작지붕에 다포식 건물로 조선 전기 예종 때 지은 것으로 보이며, 낮은 기단 위에 앞면 1칸·옆면 2칸으로 세웠습니다. 아담하지만 균형미가 있고 오히려 작아 건축 공부에는 그만입니다.
조사당 주련
禪指西天爲骨髓 (선지서천위골수) 선禪은 부처님 태어나신 서천을 잊지 말고 마음속 깊이 새기고
敎設東土作笙簧 (교설동토작생황) 불교의 가르침은 동방의 나라에 넓게 퍼지도록 하라
조사당은 절에서 덕이 높은 승려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건물로 이곳에는 중앙에 지공 화상과 좌우에 무학 대사와 나옹 화상의 영정이 있습니다.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은 신륵사 조사당에 보존되어 있는 세 폭의 초상화로, 지공화상(?~1363), 나옹 화상(1320~1376), 무학대사(1327~1405)의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가운데는 지공 화상, 왼쪽은 무학대사, 오른쪽은 나옹 화상의 영정을 그렸는데, 모두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 좌상입니다.
이 삼화상진영은 신륵사의 중요한 인물인 나옹 화상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주요한 작품입니다. 현재 전국 사찰에 전하는 1000여 점의 진영 가운데 삼 화상을 그린 진영은 매우 드물어 희구한 자료하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여주 신륵사 건륭삼십팔년명 동종(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여주 신륵사 건륭삼십팔년명(乾隆三十八年銘) 동종(銅鍾)은 1773년(영조 49)에 만든 동종으로 높이는 93.6cm이고, 폭은 66.2cm입니다. 용뉴가 쌍룡으로 되어 있고 조선 후기 범종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면서도 원형 범자를 연과과 보살상 사이에 배치하거나 하대의 연화 덩굴무늬를 중간에 배치하는 등 신륵사 범종만의 독특한 특징을 보입니다.
종에 새겨 기록을 통해 종을 만든 사람들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선 후기 범종 형식과는 다른 다양성이 나타나므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습니다.
봉송각 우측에 두개의 사리탑이 있네요.
앞에 있는 원구형석조승탑(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4호)
팔각원당형석조승탑(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5호)
명부전 앞에는 수령 600년(1982년 기준)의 보호수인 향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명부전 (冥府殿)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염라대왕과 시왕(十王)을 모신 법당으로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곳입니다.
지장보살과 염라대왕 그리고 시왕들의 모습입니다.
봉송각(奉送閣)
이곳은 사십구재, 또는 기타의 재를 모신 후 떠나가시는 영가님들을 극락세계에 태어나시도록 마지막 전송하는 전각입니다. 지장보살을 모셨는데 한 손에는 지옥의 문이 열리도록 하는 힘을 지닌 육환장(六環杖)을, 다른 한 손에는 어둠을 밝히는 마니주(摩尼珠)를 들고 있습니다.
관음전(觀音殿)
관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