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은암산성 (제천시)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錦城面) 포전리(浦前里)와 단양군 적성면(赤城面) 성곡리(城谷里)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의 석축산성으로 지세가 매우 험하고 가파른 가은암산(721m) 남서쪽 봉우리에 있다.
기록상으로는 둘레가 419보, 3,018자[尺]에 이르며, 현재 건물터, 남문과 북문터와 수구(水口)터,
그리고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고 또 샘 세 곳이 있다.
성벽의 규모는 높이 1∼2m, 두께 1.5∼3.2m이며, 성 안의 능선에는 적군과의 전투에서 사용하였
을 것으로 보이는 석전용(石戰用) 냇돌무더기가 두 곳에 남아 있다.
성벽은 정남(正南)을 향하여 축성하였고 성벽이 중간에서 끊겨 있어, 남문터인 것으로 짐작된다.
문터는 석축이 부분적으로 무너져 있으나 성기(城基)가 뚜렷하고 특히 동쪽편에 출입한 석축이 수
직으로 남아 있어 본래의 모습을 짐작하기에는 충분하다. 남문은 정남쪽이 되는 산능선의 잘룩한 부
분을 택하여, 20m 아래로 10여 평의 대지를 고르게 만들고 그 밖으로 남문의 성벽과 좌우의 성루
(城樓)를 쌓았다. 또 북쪽편 산성의 동쪽 끝에서 서쪽을 향해 성벽을 따라 내려가면 남문터와 대칭되
는 중간지점에 북문터가 나오는데, 북문도 남문과 형식이 같다.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북쪽 강 언덕의 험준한 암벽을 이용하여 북서쪽의 작은 계곡을 두른 이 산
성은 고구려가 남한강 상류쪽 단양읍에서 충주시로 올라오는 신라군의 진로를 차단하기 위해 축성
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말에는 단양·제천·청풍 사람들이 왜구를 여기에서 피하였다는 기록이 있
다.
가혜성 (제천시)
<가은산 풍경>
충북 제천시 상천리 가은산에 있으며 천혜의 자연성곽을 포함하여 온 둘레는 약 4.6㎞의 성곽으로
자연성벽을 이용하면서 남-북간에 두 개의 토성을 구축하고, 일명 둥지봉에 가은암산성을 향하여
석축하였다.
성 안에는 피난민이 거주하면서 산전을 개간하고 공동묘지를 조성하면서 투석전에 사용한 강돌이
발견되었다.
성 안에는 식수가 풍족하고 경작할 수 있는 농경지가 있어 장기간 성을 지킬 수 있으며, 성곽의 남
쪽으로는 천하절벽이 형성된 아군의 은둔지이다.
충주댐 수몰전 괴곡나루 건너에는 산중에 토성지가 두 곳 있으며 타원형으로 뻗어 간 산성은 그 규
모에 있어서나 구조에 있어서나 상당히 대규모이고 견실했던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 토성은 김유신 열전에 가혜성(加兮城)이라 한 "둔저성(屯猪城)과 가음산성(可陰山城)이니 1,70
0여 년 전의 신라와 백제의 수 없던 격전지이다." 라고 가혜성을 둔저성과 가음산성으로 나누어 전
해 오고 있으며 성안에 토성과 석축을 실측하면서 삼국기 토기편과 와편을 많이 발견하였다.
고리산성 (옥천군)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와 환평리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환산성이라고도 한다.
산 정상을 둘러쌓은 테뫼식의 산성을 서쪽 산마루 끝에 두고 산능선을 따라 1∼1. 5㎞ 간격으로 5
개의 보루(堡壘)가 있다.
가장 서쪽의 성터는 내외협축(內外夾築)의 성벽이 높이 4m쯤 남아 있고, 북동쪽에 경사가 완만한
비탈을 반달모양으로 에워싸고 문터가 있다. 성 안에는 지름 8m의 커다란 웅덩이가 있으며, 성벽의
둘레는 300m쯤이다.
이것을 중심으로 동북쪽으로 봉우리마다 석축의 보루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모두 테뫼식의 작은
규모로 둘레가 150m 내외이다. 자연할석을 가지런히 쌓아올린 성벽은 거의 수직이며, 가파른 산기
슭을 최대한 이용하고 있다. 성 안에서는 삼국 시대의 토기편과 기와편이 발견되기도 한다.
553년(성왕 31) 백제가 나제동맹으로 한강유역을 되찾은 뒤, 신라 진흥왕이 일방적으로 모든 영토
를 차지한 데 분개하여 신라로 쳐들어갔다가 왕이 전사하였다는 곳이 이곳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성을 《삼국사기》에 기록된 고리산(古利山)으로 비정하고 있다.
백제와 신라의 국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강의 상류지방 전체가 내려다보이는 전략적 요충지
에 해당된다.
공문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두음리에 있던 삼국시대의 산성삼국시대에 신라가 죽령(竹嶺)을 개척한
뒤 적성산성(赤城山城)과 함께 쌓은 것으로 보이는데, 경상북도 풍기, 예천, 문경에서 단양에 이르는
교통로가 만나는 지형 조건이 적성산성과 유사하다.
해발 325m에서 380m의 능선에 축조된 토성(土城)이자 석성(石城)으로서 내성(內城)과 외성(外
城)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성의 둘레는 약 500m, 외성의 둘레는 약 807m로 총 1307m에 이르러 비교적 규모가 큰 편이다.
원형은 찾아볼 수 없고 형태만 남아 있으며, 성곽 주변에서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 조각이 출토되
었다.
관기산성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의 성미산에 있는 석축 산성으로 관기리 산성아라고도 한다.
관산성 (옥천군)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월전리에 있던 삼국시대 신라의 성(城)으로 신라와 백제가 고구려의 남하
정책에 대항하여 동맹관계를 유지하다가 신라가 나제동맹을 깨고 백제의 영토인 한강유역을 점령하
였다.
이것이 산성전투의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 554년(신라 진흥왕 15) 백제는 일본에 원군을 청하
고, 대가야와 연합하여 신라의 관산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이 싸움에서 백제는 크게 패배하여 성왕(聖王)은 전사하였다.
관산성이 양군의 결전장이 된 것은 이 지역이 신라로서는 새로 점령한 한강하류지역을 연결시켜주
는 전략적 요지이기 때문이다.
그뒤 양국관계는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적대관계가 계속되었다. 관산성에서 신라와의 전투에서 백
제 성왕이 죽은 곳으로 전해오고 있다.
구룡산성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덕유리(德留里)의 현암사가 있는 절벽 위에 있는 석축산성이다.
‘구룡산 석성’, ‘구봉산성’이라고도 하며 양성산성(壤城山城)을 향해 북서쪽으로 이어진 능선 외에
는 동서쪽으로 사면에 암반이 노출된 절벽인데, 특히 남쪽은 70~80°의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동쪽 사면의 벽 155m 능선 위의 서벽 129m, 지맥의 남벽 82m로 이루어져 총 둘레 366m의 테뫼
식 산성이다. 성의 평면은 남북으로 비슷한 고도로 뻗은 능선과 그 동쪽 사면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일제시대의 조사 기록 외에는 남아 있는 기록이 없고 성체 또한 완전히 무너져 확인이 어렵다.
그나마 양성산성과 연결된 능선의 북쪽에서 문터가 확인되어 양성산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
된다. 또한 이 부근에서 둘레 6m, 깊이 1.9m의 웅덩이가 발견되어 저수시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된 유물은 삼국시대의 토기 조각이 주를 이룬다.
능선과 사면을 이용하여 지어 건물이 들어설 평지가 없고 우물 터 대신 저수 시설만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일종의 보루성(堡壘城)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국사봉산성대림 (진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장송리에 걸쳐 있는 신라시대 토축 산성
으로 국사봉산성에 대한 고문헌 기록이 없어 산성의 명칭과 유래 및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다만 임진왜란 당시 인근 주민이 국사봉에 둥근 보루를 쌓고 난을 피하였다는 기록이 보일 뿐이다.
국사봉산성의 정상부에서 내려다보면 사방이 조망되는데, 특히 진천의 남서쪽, 즉 천안 방면을 방
어하기 위하여 신라에서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국사봉산성의 남북 길이는 300m, 동서 너비는 100m이고, 둘레는 약 700m이다. 성벽은 이중의 토
단을 이룬 부분과 3단의 토단을 이룬 부분이 있다. 남쪽에 문 터가 있고, 암반을 이용하여 약간의 석
축을 가한 곳도 있다.
국사봉산성은 형태와 위치로 보아 삼국시대 신라의 진천 방어에 중요한 거점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굴산성 (옥천군)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에 있는 성으로 지금의 보은읍 일대인 삼년산군의 영현으로 살매현과 굴현
이 나온다.
살매현은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강 상류 유역인 지금의 충북 괴산군 청천면 일대로 추정되며, 굴현
은 금강 지류인 보청천 중하류 유역인 지금의 충북 옥천군 청성과 청산면 일대로 추측된다.
<삼국사기>의 굴산성 개축 기사로 추정컨대 신라군은 471~486년 사이에 보청천 일대를 완전 장
악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삼국시대에 신라 소지왕 18(486)년에 고구려와 백제의 세력을 막고 한
강 유역의 땅을 차지하려고 쌓은 성이다.
금돌성 (영동군)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과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걸쳐 백화산이 있으며 이 산위에 곰돌성이 있
으나 백화산의 정상과 곰돌성이 상주군에 있어서 상주군의 산성으로 인정한다.
금현성 (진천군)
<진천읍의 풍경>
충청북도 진천군 서쪽 지역에 있던 삼국시대 백제의 성으로 550년(백제 성왕 28년, 고구려 양원
왕 6년)이 백제가 고구려 영토에 있던 도살성(道薩城)을 공격하여 함락시키자 고구려가 이에 대응해
함락시킨 백제의 성이다.
오늘날의 충청북도 진천군 서쪽이라는 설이 있고 세종시 연기군 전동면과 전의면의 경계에 있는
금이성(金伊城)이라는 설도 있다.
이 성의 공격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권26 백제본기 백제 성왕 28년(550) 3월 기사에 자세
히 나오고 있다. 또한 『삼국사기』 권19 고구려본기 양원왕 6년(550)조에도 언급되어 있다.
금현성 (제천시)
<신현리의 풍경>
충북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와 한수면의 덕곡리 및 탑지리의 접경지역에 걸친 북형산(北兄山) 또는
와룡산(臥龍山)에 소재하며 산능선을 에워싼 석축과 토축으로 자연성벽을 포함하여 온 둘레는 약 2.
75㎞에 이른다.
성안에 식수가 풍족하며, 1950년 한국동란 때 최후의 격전지였다.
남산성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향산리에 있는 산성으로 둘레 약 5,144m. 현재 성벽 일부와 우물터·봉수
지(烽燧址) 등이 남아 있다.
이 성은 충주시 남쪽 4㎞ 지점에서 새재[鳥嶺]와 계립령(鷄立嶺)으로 통하는 큰 길을 막아 충주
의 남쪽을 방어하던 요새로서, 달천(達川) 주변의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산봉우리의 서쪽과 강변
으로 트인 계곡을 둘러싸고 있다.
성 안에는 우물터와 봉수대터가 남아 있는데, 높이 9m의 2단석축 위에는 현재 약 100㎡의 평지만
남아 있어 봉수대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이 봉수대는 동쪽으로 상모면 주정산(周井山)과 서쪽의 대
소원면 마산(馬山)을 연결하던 곳이다.
성벽은 대체로 붕괴가 심하며 높이는 지형에 따라 2∼7m에 이른다. 주변에서는 기와와 그릇조각
이 많이 발견되는데, 백제의 연질토기편이 주류를 이루고, 그 밖에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토기
와 자기조각도 나오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이 성은 백제의 옛 성으로 추정되며, 아울러 이 산에 주둔중인 백제군이 남
산 성(南山城)의 신라군과 격전을 치렀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으므로 삼국시대의 성곽연구에 있어
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낭비성 (청주시와 청원군)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 일원의 삼국시대의 성으로 삼국 간에 서로 뺏고 빼앗겨 영속(領屬)이 자주
뒤바뀐 요충지로, 명칭도 상당성, 낭자곡성(娘子谷城) 등 여러 번 바뀌었으며 지금도 낭비성이나 상
당성으로 불리운다.
삼국사기 에는 낭자곡성으로 기록되어, 63년에 백제 다루왕(多婁王)이 당시 신라 영토인 낭자곡성
을 빼앗아 국토를 이곳까지 넓혔고, 629년(진평왕 51)에는 신라의 김유신(金庾信) 등이 고구려 영토
인 낭비성을 침공하여 고구려군 5,000명을 참살하는 대격전 끝에 이곳을 빼앗았다고 기록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낭비성을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시키고, 고려 태조 때부터 청주라는 이름을
썼다.
노고산성 (보은군)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산성리 2구의 잣미부락 뒷산인 잣미산(함림산, 학림산)에 쌓은 산성으로
보청천 상류가 감돌아 흐르는 곳이며 함림산성이라고도 한다.
잣미산은 학림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마을 사람들은 이 산성을 백제의 성이라 부르며 5k
m 떨어진 삼년산성에 주둔한 신라군과 싸웠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서북쪽을 방위한 지세나 성내에서 발견되는 유물로 보아 신라의 축성으로 보아야 하겠다.
청주와 보은 사이의 길목을 내려다 보면서 이곳을 막아 지킬 수 있는 중요한 길목을 지키면서 험준
한 지세를 이용하여 적이 쳐들어오는 것을 차단 분쇄할 수 있는 요충이라 하겠다.
더욱이 성밑을 흐르는 보청천 상류의 물은 보은분지로 흘러가면서 평상시에는 산을 내려가 농사짓
다가 적이 이르면 성에 올라가 지키는 편의가 있었을 것이다.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의 북쪽에 위치하며 위로 잣미산(함림산,학림산)에
단양적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에 있는 신라시대 산성으로 해발 323.7m의 성산(城山, 성재산) 정
상부에 있는 산성이다.
소백산맥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았는데, 동쪽은 죽령천(竹嶺川), 서쪽은 단양
천(丹陽川)이 북쪽으로 남한강에 합류하여 3면이 하천으로 둘러싸인 자연 해자를 이루고 있다. 남동
쪽으로 4.5㎞ 떨어진 곳에는 공문성(貢文城)이 자리하고 있고, 서남쪽으로는 소이산봉수(所伊山烽
燧)가 바라다 보인다.
산성의 주변에는 남한강의 상류 방면과 하류 방면으로 각각 고대 교통로가 나 있으며, 동서쪽으로
는 벌령(伐嶺) 길이 트여 있다. 남한강 수로를 따라 영월과 충주 방면으로 진출이 용이하고, 강 건너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둘레가 1,768척이고 안에는 큰 우물 1개소가 있다”고 하
면서, 원래 성산(城山), 성산성(城山城), 고성(古城) 등으로 불렸다고 기록되었다. 조선보물고적조사
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는 주민들이 민보성(民堡城), 농성(農城)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그러나 1978년에 발견된 단양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국보 제198호)에는 이 산성을 적성(赤
城)이라고 하였다. 비문의 내용에 의하여 이 산성이 법흥왕·진흥왕 때 신라가 죽령(竹嶺)을 넘어 한
강의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고 북쪽으로 세력을 팽창시키는 요충지로 이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성
안에서는 신라 토기와 기와 조각이 주로 확인되었지만 통일신라시대 토기 조각과 고려시대의 토기·
청자 조각도 출토되어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산성은 동서로 긴 타원형으로, 말 안장 모습을 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북서쪽은 경사가 급하고,
남동쪽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성 안은 서고동저(西高東底)·북고남저(北高南底)의 지
형을 하고 있다.
성벽은 깬돌을 안팎을 포개며 엇물린 내외협축(內外夾築)의 방식으로 쌓았다. 북동쪽의 성벽이 잘
남아 있는데, 높이는 3m쯤 되며, 남서쪽·남쪽·동남쪽 성벽에는 성문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산
성의 북쪽에 남한강이 흐르고 강 주변이 가파른 절벽이므로, 자연적인 지리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
하여 축성한 것으로 보인다.
성 안으로 진입하는 출입구는 모두 남쪽벽에 있지만 지표상에서 문터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두 출입구 사이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는 궁형(弓形)으로 성벽이 돌아가고 있으며 동쪽
끝부분과 서쪽 끝부분을 평지로 연결하는 가장 넓은 환도상(還道狀)을 이루고 있다. 북쪽벽은 환도
상의 평탄한 서반부와 동향으로 경사진 동반부로 나누어지지만, 군데군데 성벽이 붕괴된 채 남아 있
다.
단양신라적성비가 발견되어 적성의 성격이나 축성 주체·목적·연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비의 건립 연대는 늦어도 신라 거칠부(居柒夫)의 10군 공략이 이루어지는 진흥왕 12년(55
1) 이전으로 보인다. 따라서 적성은 6세기 중엽 이전에 신라가 남한강 상류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 기지로 활용하고자 쌓은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닌 성으로 평가된다.
대모산성 (진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의 삼국사기(三國史記)》 전투기사에 나오는 모산성으로 추정되
며, 고려시대 초기 진천지방 호족 임희(林曦)가 대대적으로 개축하였다.
100m 정도의 낮은 구릉지에 판축공법으로 축조되었으며 내성, 외성과 자성(子城)으로 갖춘 3중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하지만 지형적으로는 거의 평지성이나 다름없다. 내성은 둘레 416m, 본
성은 둘레 610m, 외성은 둘레 650m로 총 1,676m 길이이며 이곳 주민들은 할미성으로도 불린다.
계곡의 남쪽에 문터로 추정되는 부분이 있는데 너비가 13m이고 길이가 53m이다. 외성 북쪽에도
문터가 있다. 본성의 성벽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였고 외성은 성벽 아래 기초부분은 냇자갈돌로 만들
고 점토가 많이 섞인 흙으로 판축하였다. 성의 외부는 경사가 급한 지형이나 내부는 완만하다. 남벽
의 동쪽 끝에는 배수구가 있어 성안에 있던 연못의 물이 빠져나가는 시설로 보인다.
성 안에서는 선사시대 이래의 석기와 조선시대 자기편이 출토되고 있어 삼국시대 초기부터 사용
되다가 고려 말기에 일시 폐허화되었고 조선시대에는 민가가 들어섰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 밖에서는 최근에 백제시대의 저장구덩과 더욱 오래된 시기에 조성된 움무덤, 신라시대의 돌방
무덤이 발견되었다.
덕주산성 (제천시)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울악산 국립공원 남쪽에 있으며 면적 9,800㎡의 석성이다.
성의 유구는 윗 덕주사를 에워싼 내성內城), 그 바깥의 하성(下城)과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 동문,
북문 등 아ㅍ치형의 성문 3개소는 남아 있다.
남문은경상북도 문경에서 하늘재[寒暄嶺]를 넘어 미륵리에서 발원하여 월악산 남쪽 기슭의 월천
을 막는 차단성 역할을 하는 문이다. 동창에서 문경으로 통하는 도로에 홍예문으로 되어 있고 좌우
를 막는 석축은 내외겹축으로 길이가 100간이다.
축성법은 선단석을 3개씩 쌓아올린 뒤 종석(宗石) 1개와 12개의 기석(基石)을 쓰는 방식을 사용하
였다.
동문은 덕주골 입구에 있는데 좌우를 가로막은 축성법을 사용하였고 문의 홍예 양식은 남문과 비
슷하다.
북문은 송계리 1구 새터말 민가 가운데 있는데, 당초 계곡을 막았을 차단성의 성벽과 수구(水口)는
남아 있지 않으며 내외홍예를 갖춘 성문으로 초루(성 위에 세운 누각)와 여장(女墻:성 위에 활과 조
총을 쏘는 구멍이나 사이를 띄어 쌓은 작은 성벽) 등 대부분의 석재가 유실되었으나 1997년 복원되
었다. 홍예마루돌에는 태극모형이 조각되어 있다.
이 성은 안팎으로 5겹의 성벽이 남아 있는데 그 축조연대가 각각 달라, 성을 축조하는 방법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도당산성 (진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서 서남쪽으로 약1km지점에 위치한 도당산의 정상부에 삼국시대에 쌓
은 석축 산성. 진천읍에서 청주로 가는 국도변 오른쪽도당산중턱에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이룬 김유
신장군의 사당인 길상사가 있는데, 이 사당을 중심을로 그 뒤쪽 해발약 20m의 산정상부를 둘러싸고
축조된 석성이다.
석축의 둘레는 약 824m정도인데, 대부분은 급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지형적 특성상 흔적만 남아있
는 상태이다. 특히 북서족 능선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자연적인 요새지로도 적합한데, 실제로 많
은 부분은 자연적인 지형을 거의 그대로 이요했을 가능성도 엿보인다. 전서에 의하면 이 성은 김유
신장군이 삼국통일을 이룩하기 위해 하루만에 쌓다고도 하고, 당나라 소방군과 함께 주둔하면서 고
구려군을 방어했다고도 한다.
조선시대의 문헌길록에 따르면 1530년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진천현 고적조에 '도당산성은
현의 서쪽 3리에 있으며, 석축으로 둘레는 1,636척이고 성내에는 우물이 2곳에 있다. 지금은 폐지됐
다.'라고하고 있고, 이후의 문헌기록에서도 폐지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이미 조선초기에는 이용
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성내의 우물은 수량이 풍부하여 최근까지도 남아 있었느데, 길상
사 오른쪽의 우물은 길상사 흥무전을 개축할 때 매몰되었다고하며, 왼쪽의 우물은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도살성 (단양군)
충북 단양군 대강면 직티리와 단상면 가산리 접경지역인 도락산(道樂山)에 소재하며 자연성벽을
포함하여 둘레는 약 4㎞ 가운데 북쪽에 가산리 방면 계곡에 800m와 동쪽에 광덕사 입구에 600m의
석축이 남아있다.
지리적으로 소백산맥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전략적인 요충지로 삼국시대 국경지대로 영남과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거나 쳐들어 오는 적군을 막을 수 있는 최적의 성으로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의 금현
성과 연결이 된다.
남쪽으로 대규모 왕궁지에서 문경, 예천, 충주, 청풍, 단양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충지에 있는 성이
다.
도살성(道薩城)은 남쪽으로 벌령(伐嶺) 및 문경시 동로면과 남남서쪽으로 황장산(黃腸山), 북쪽으
로 적성(赤城), 북동쪽으로 공문성(貢文城), 서북서쪽으로모녀치와(毛女峙)와 연계한다.
독락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와 대강면 직티리의 경계를 이루는 도락산(道樂山)의 해발 749m에
서 926m 지점에 걸쳐 둘레 약 4㎞로 축조된 대규모 석성으로 독락성이라고도 하며 산이름을 따서
도락산성이라고도 한다.
삼국시대에 신라가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은 대부분 붕괴되어 산성의 흔적이 남아 있
는 있는 곳은 약 50m에 지나지 않는다
독안산성 (청주시 서원구)
<팔봉산 산길>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부용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팔봉산(八峰山)의 해발 240~281m
의 연산(連山)에 있는 산성으로 복두산성(幞頭山城), 성재산성과 함께 능선으로 이어진다. 세 산성
중 가장 동쪽 끝에 있으며, 유모산의 남동쪽에 있는 두 봉우리 사이의 계곡 상단을 감싸고 있는 석축
산성이다.
평면 형태는 삼각형에 가까운데, 북서쪽으로 뻗은 주맥과 여기에서 북동쪽과 동쪽으로 뻗은 두 줄
기의 능선과 2개의 계곡 상단을 포위하고 있다. 현재 토루처럼 남아 있는 주능선 서쪽의 곡부는 지
세가 매우 험준하며, 나머지 삼면은 석축의 흔적이 남아 있다. 평면 실측을 통해 측정한 성벽의 둘레
는 565~570m이다.
북쪽에 북문, 북동계곡에 동문의 흔적이 있다. 수습된 유물은 토기 조각 2점과 기와 조각 4점이다.
토기 조각은 삼국시대의 것으로 2점 중 1점은 격자무늬를 눌러찍은 회청색 경질토기 조각이다. 기와
조각은 배면에 눌러찍은 선조문(線條文)이 있으며, 삼국~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동대성 (제천시)
<금수산 전경>
충북 제천시 수산면 상천리의 금수산 정상부에서 남측으로 능선에 소재한 성으로 길이는 약 1,650
m이고 용추폭포의 협곡에서 성안을 형성한 포곡식 산성으로 자연성벽의 온둘레는 약 5㎞이다.
동문 주변에 차단성을 축조하고 동문 안의 협곡에는 화전민이 거처한 곳으로 수만명이 함께 주둔
할 수 있기에 동대성이라 불리운다.
성터에서 무쇠 활살촉(길이 60cm, 폭 1cm)을 발견하였으며 문안 차단성에서 삼국시대의 토기 조
각을 많이 볼 수 있다.
동림산성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동림리(東林里)와 장동리, 세종시 전동면 심중리(深中里)에 걸쳐
있는 높이 457m의 산 정상에 있다. 정상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뻗은 주능선과 거기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한 지맥, 그리고 그 사이의 ‘Y’자형 계곡 2개를 포위한 포곡식 산성이다. 둘레는 819.5m이다.
동벽은 청주시와 면해 있는데, 거의 수직에 가까운 경사 때문에 능선 바로 2~5m 아래에 쌓았으며,
나머지 면은 능선에서 15~39m 아래에 쌓았다. 우물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북쪽 능선에서 둘레 5
m, 깊이 14m의 저수고가 역원뿔형으로 패여 있다. 성의 남동쪽에 망대(望臺)가 있다.
출토된 유물은 삼국시대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부터 고려 중기의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까지 다양
한 형태로 나타난다.
동평산성 (옥천군)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에 있는 동평리는 산이 없는 평지에 자리하며 중앙으로 서화천이 흐른다.
자연마을로는 골말(곡촌동), 동산동(동산리), 벌말(평촌동) 등이 있다. 골말은 동북쪽 골짜기에 있
는 마을이고, 동산동은 동평리 동쪽 산 밑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벌말은 동산동 서남쪽 들
가운데에 있는 마을로 지대가 평평하여 평촌동이라고도 한다.
문화유적으로 동평산성과 팽나무가 있다
두타산성 (진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전설에 의하면 신라의 장군 실죽(實竹)이 도서성을 쌓고 백제군을
막았다고 한다. 실죽은 신라 21대 소지왕 때인 486년(소지왕 8)에 이찬으로 장군이 되어, 보은의 삼
년산성(三年山城)과 청산[지금의 옥천]의 굴산성(屈山城)을 고쳐 쌓았으며, 494년(소지왕 16)에는
청천전투에서 고구려군과 맞서 싸운 인물이다.
그는 이 무렵에 두타산성(頭陀山城)을 축성하는 데에도 관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마성산성 (옥천군)
충북 옥천군 군서면 수북리 금강변에 높이가 409m인 마성산이 있으며 북쪽으로 이슬봉과 참나
무골산으로 능선이 이어져있다. 이 산에서는 마성산성의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망월산성 (제천시)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에 해발 336m의 망월산(望月山)에서 북쪽으로 뻗은 해발 237.2m
의 봉우리 정상과 서쪽의 경사면을 에워싼 둘레 약 500m의 석축 산성이다.
옛 기록에는 “이 성이 있는 산을 성황산(城隍山) 혹은 태산(台山)이라고 하고, 옛 성터가 있다.”고
한 것에 해당한다. 충주댐의 건설로 성아래는 호수이나, 본래 남한강의 남안(南岸)에 위치하여 상류
로부터의 길을 막는 위치에 해당하였다.
성의 정상부에는 최근에 정자를 마련하였고, 성밖의 남쪽 기슭에 향교가 있다. 성은 청풍문화재단
지에서 오르며, 최근 성벽의 남벽이 복원되었다.
성벽은 기단이 별도로 없이 석축을 수평고임으로 축조하였고, 성벽의 안쪽으로는 너비 10m 정도
의 내환도(內環道)를 이루고 있다. 문터는 북벽에 있고, 서벽의 가장 낮은 곳에 수구(水口)가 있었다
고 여겨진다. 성내에는 4곳에 평탄한 건물터가 있다.
1994년의 지표조사에 의해, 정상부에서 마형(馬形) 토우(土偶)의 조각과 적갈색 토기편이 출토되
어 정상의 암반은 제단의 성격을 가진 숭배의 대상이고, 이 정상의 바위 주변에 석축을 한 흔적이 확
인되었다. 성안에서는 삼국시대 이래의 그릇조각과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망이산성 (음성군)
충북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및 대사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이천군 율면 산양리의 망이
산성(望夷山城) 또는 마이산성(馬耳山城)이 겹쳐있어서 충청북도가 경기도 산성을 분리해서 충청
도 기념물 지정하였다.
차령산맥의 한 줄기인 망이산(望夷山:472m, 마이산이라고도 함)에 축조된 성으로, 《신증동국여
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등에 망이성 봉수가 기록되어 있다.
산성은 토축식(土築式)인 내성(內城)과 석축식(石築式)인 외성(外城)으로 나누어지는데, 봉수대가
있는 내성을 주성(主城)으로 본다. 산성꼭대기에서 음성군 산성면 양덕리와 멀리는 진천군 일대의
평원이 내려다보이며 남쪽의 산세는 절벽으로 험준하고 북쪽은 낮은 평원이 전개되는 것을 보아, 남
쪽의 적군을 대비하여 쌓았음을 알 수 있다. 주성에는 적을 감시하고 대적하는 군사가 진을 구축하
고, 뒤쪽 낮은 평원에는 주력부대가 주둔하여 많은 군사와 군마가 머물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내성은 백제시대에 망이산 정상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성벽 길이는 약 250m가 확인되었고, 해
발고도 472m 지점에는 동서 22m, 남북 12m의 봉수대 자리가 있고 흔한 원형이 아니라는 길이 1.2
m, 너비 1.2m의 직사각형 모양인봉수대대가 있었다.
외성은 통일신라시대에 망이산 북쪽으로 낮은 평원을 이룬 외곽 산봉들의 능선을 따라 지세를 이
용하여 쌓았으며, 전체 둘레는 약 2,080m이며, 남북 길이 340m, 동서 길이 500m의 직사각형을 이
룬다. 성벽 안쪽에는 전 구간에 일정한 너비의 통행로가 있다. 성벽은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부분이 많지 않으나 남문터에서 서북쪽으로 약 150m 떨어진 부분에 석축의 외벽이 보존되어 있다.
철제 단갑(鐵製單甲), 주조 철부(鑄造鐵斧), 토기류, 와편, 청자편, 백자편 등 청동기 후기부터 백
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에 걸치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중요한 군사시설이 설치되어 있었
음을 짐작하게 한다.
성벽을 돌출시킨 치성(雉城)은 서북·북·동·남·서남쪽 5곳에 있고 출입문은 남·북·서쪽의 문터가 확
인되었다. 원형이 잘 남아 있는 너비 2.4m의 서문터는 높직한 토루(土壘)의 한 곳을 끊어 만든 형태
로 삼국시대 산성의 특징을 보인다.
매곡산성 (보은군)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와 부수리에 걸쳐있는 아미산에 있으며 예부터 지금가지 청주와 보
은을 연결하던 큰 길목인 피반대령은 아주 험하고 높은 지세이다.
조선 세조대왕이 초정,청주를 거쳐 속리산으로 행차하던 길에 넘은 일도 있듯이 자연의 장벽을 넘
어 남북이 교통하던 곳이며 한때 신라와 백제가 대치하던 시기에 경계가 되었던 곳으로서, 미원방면
으로 가는 중시되던 고갯길이었다.
청주쪽에서 험하고 구불구불한 산악지대를 통하는 유일한 관문인 피반대령을 올라서면 회인쪽의
경사가 완만한 낮은 지대로 작은 개울이 흘러내리는데 이 개울을 따라 11km 내려가면 회인에 당도
한다. 이곳 현에서 동쪽.동북쪽 1리에 있는 매곡산에 돌로 쌓은 산성이 있어, 아미산성 또는 매곡산
성이라 불리고 있다.
이미산(187m)에 있는 매곡산성은 둘레 695m, 면적 29,537㎡의 석성이다. 회인천가의 험한절벽
을 이용하여 쌓은 성으로 평면이 반월형(半月形)으로 개울가의 서쪽벽 193m는 70 - 80도의 급경사
를 이용하였고 기타는 대체로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지세가 되어 있다.
문 자리는 남문,암문,동문,북문, 등 4곳이 있고 험준한 서벽에는 문자리를 확인할 수 없다. 동문은
너비 12m로 정문으로 보이며 남문은 8m,암문은 6m로서 산성의 기능이 북쪽의 피반령 방면을 대비
하여 쌓은 것으로 보인다.답사결과 지금은 넝쿨과 잡목에 가리워져 그 흔적을 잘 볼수가 없었다.
이 성은 신라계와 백제계의 연질토기 조각이 발견되어 신라와 백제의 국경의 빈번한 변동으로 주
인이 자주 바뀐 곳으로 추정된다. 산성은 그리 높지 않지만 가파른 경사와 산밑의 회인천은 천연의
해자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산정상에서는 회인면내가 잘 보인다.
미륵산성 (괴산군)
충북 괴산군 청천면 고성리에 위치하고 있는 낙영산(해발 650.1m)과 도명산(해발 685.2m) 사이
의 계곡부를 포용하여 축조한 소위 고로봉형(고로峰形)으로 분류되는 포곡식산성이다.
이 산성은 본성이 있고 서쪽 가장 낮은 지형에 위치하고 있는 문지를 보완하기 위하여 계곡부 남쪽
과 북쪽의 양편에 각기 작은 규모의 외성을 덧붙여 쌓아서 이중(二重)의 성벽을 축조한 특이한 구조
를 하고 있다. 이 성의 전체 둘레는 약 5.1㎞이며, 본성의 인공 석축부분이 약 2.7㎞이고, 2개소의 외
성 길이 약 350m를 합치면 축성부분은 약 3㎞가 되며, 그 외는 천연의 암벽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
다.
이 산성의 축조방법은 일정한 방법에 의하여 축조되지 않고, 대체로 4가지 유형에 의하여 축성한
것으로 본다.
첫째 유형은 간단한 석장(石墻)만을 축조한 것으로 서벽 남쪽구역의 비교적 높은 위치와 동쪽 성벽
의 높은 지역 안부(鞍部)를 지나는 곳에 시공되었다. 내외협축(內外夾築)하여 축조하였으나 성벽의
너비가 좁은 것이 특징이다.
둘째 유형은 성기(城基)를 외측에서 쌓아 올려 내탁(內托)하고, 윗면이 내면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
게 한 것인데, 남벽의 동단(東端)과 2개소의 외성에서 시공되었다.
셋째 유형은 이 산성의 가장 전형적인 축조 방법이라고 하겠는데, 성기를 내외에서 보강하여 수평
을 이루게 하고 그 위에 내외협축한 것으로 이 유형의 일부는 성(城)과 장(牆)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다.
넷째 유형은 외측에 큰 석재를 세우고 내부는 깬돌(割石)로 채운 것으로 동벽의 중간부분인 빈간암
재의 남북으로 쌓은 곳에특징적으로 시공되었다.
체성의 규모는 기저부 폭 9m, 상부 폭 7m, 잔존 최대 높이 4m를 나타내고 있다.
문지(門址)는 서·남·북문의 3개소에서 개구부(開口部) 유구가 확인되었다. 서문지는 산성 내 가장
낮은 지점을 통과하는 계곡의 북측에 위치하며, 그 너비는 약 3.6-3.8m이다. 남문지는 남벽의 서측
에 성목골로 이어지는 계곡부를 이용하여 출입하도록 시설되었으며, 개구부의 너비는 5.3-5.4m이
다. 북문지는 성내 2개의 골짜기에 있는 건물터와 최단거리상에 위치하여 있는데, 개구부의 너비는
약 3.6-3.8m이며, 문구부는 3m의 길이에 2.4-2.6m의 너비를 나타내고 있다. 수문지는 산성 내 가
장 낮은 지점을 통과하는 서문지 부근의 계곡부에 시설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유실이 심하여
확인이 불가능하다.
이 산성 내에서는 8개소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이 산성의 축조시기는 이른바 호족의 시대로 특
징지어진 9-10세기로 추정되고 있다.
백현산성 (보은군)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백현리의 성고개에 축조된 둘레의 작은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대부분 허
물어 졌으나 형체는 뚜렷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의 지리지 등 고문헌의 기록에 나타나지 않아 이 산
성의 유래나 축조시기를 알수 없다.
이산성이 있는 곳은 속리산에서 보은읍을 지나지 않고 내북면 창리의 주성산성동쪽의 기슭을 통하
여 미원방면으로 갈 수 있는 길목으로 산성의 규모는 작으나 좁은 길목을 낀 고개 위에 자리잡고 있
어 그 기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부모산성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의 부모산(父母山:231.7m)에 있는 석축 산성으로 성벽의 윗부분
은 많이 무너졌으나 기저부는 온전히 남아 있다.
산성은 평면이 남서쪽 주봉에서 동서남북으로 분지한 4개의 능선을 둘러싸 역삼각형을 이룬다.
성안의 지세는 정상을 중심으로 서부와 남부가 높고 북쪽과 북동쪽이 낮은 편이어서 이곳 성벽의
안쪽 부분은 경작지가 되어 있으며, 동쪽 계곡의 중간쯤에 전통사찰인 연화사(蓮華寺)가 있다.
문지(門址)는 동서남북 4문이 있었던 듯하나 서문지와 북문지만 남아 있다. 서문은 붕괴된 성벽
의 기저에 너비 6m, 두께 5.2m 규모의 통로로 남아 있으며, 북문은 너비 9m, 두께 6m의 유지가 남
아 있다.
유물로는 산정부에 자연석으로 지름 1m 정도 되게 쌓은 모유정(母乳井)이 있으며 주변의 출토유
물은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편, 기와 등이 발견되는 것으로 봐서 삼국시대의 성일 것이
다.
사향산성 (음성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와 원남면 덕정리 사이의 해발 342.2m의 사향산 정상부에 있는
석축산성으로, 동서로 뻗은 산줄기의 험한 산세를 이용하여 축조되었다. 특히 북쪽면은 급경사를
이루어 실제보다 험준하게 느껴지며 실제 산에 오르기가 매우 힘든 편이다.
산성의 둘레는 약 1㎞이고, 현존하는 성의 높이는 약 1m이다. 성 두께는 1.5m 내외이며 성벽의 경
사면 높이는 2m정도이다.
토축의 성루(城壘)는 높은 산에 위치한 관계로 거의 훼손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로 남아있으나 산
성에 대한 고문헌의 기록 또는 각종 조사 자료와 유적 목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 실태를 파악할 수
는 없지만 음성 서쪽과 북쪽지역의 산악지대 산봉우리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더 많
은 산성이 존재할 것으로 짐작된다.
삼거리토성 (옥천군)
<월정리 풍경>
테뫼형 토성이며 동서로 형성된 능선을 따라 축성하여 동서로 길고 남북으로 짧은 형태이다.
석축을 한 흔적은 전혀 없으며 토성으로서의 윤곽은 뚜렷하다. 이웃 삼양리토성은 내외 협축을 한
토성이나 삼거리토성은 능선의 흙을 깎아내어 토성을 만들었다.
동북 방향은 급경사면이며 남쪽 방향은 다소 완만하고 관산성과 연결되는 서쪽 부분은 매우 완만
한 지형이다.
성의 동쪽으로는 치성으로 보이는 지형이 있으나 민묘가 있어 확인하기 어려우며 서쪽으로는 약 2
0m 바깥에 또 다른 성벽을 쌓아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강화하였다. 성의 내부는 넓고 평탄한 대
지가 있어 병영지로 보이며 성내에서는 약간의 토기편을 발견하였다. 한편 서쪽의 고개부분에서 무
덤으로 보이는 지형구조물이 나란히 있는데 전문가의 확인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삼거리토성은 이웃 관산성과 서산성의 연결부분인 현 검문소 부근의 구릉지를 탐방하던 중 발견하
게 되었으며 옛 옥천의 관문으로 여겨지며 전투용 산성이 아닌 평상시에 협곡이었던 현재의 검문소
자리와 관산성과 삼거리토성 사이의 작은 고개를 지키기 위하여 별도로 축성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다면 성의 위치는 충북 옥천군 군서면 월정리 부근오로 추측이 가능하지만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삼년산성 (보은군)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에 있는 오정산(烏頂山)의 능선을 따라 문지(門址) 4개소, 옹성(甕
城) 7개소, 우물터 5개소와 교란된 수구지(水口址)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이 성은 신라시대 47
0년(자비왕 13)에 축조되었으며, 486년(소지왕 8)에 개축되었다.
그리고 삼국시대는 삼년군(三年郡)·삼년산군(三年山郡)으로 불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으로 불린 듯
하나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 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오항산성(烏項山城)으로, 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산성은 포곡형으로 구들장처럼 납작한 자연석을 이용하여 井자 모양으로, 한 켜는 가로쌓기, 한
켜는 세로쌓기로 축조하여 성벽이 견고하다. 석재는 대개 장방형이다.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축조하였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아 13∼20m에 달하며 거의 수직으로 쌓여 있다.
이처럼 성벽이 높고 크기 때문에 그 하중도 막대하며, 성벽 모퉁이의 하중이 큰 부분에는 기초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4중의 계단식으로 쌓았다.
동쪽과 서쪽의 성벽은 안으로 흙을 다져서 쌓았고, 바깥쪽은 돌로 쌓는 내탁외축(內托外築)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남쪽과 북쪽은 모두 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하는 내외협축(內外夾築)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문지는 동서남북의 네 곳에 있으나 지형상 동문과 서문을 많이 이용한 듯하며, 그 너비는 대개 4.5
m에 달한다. 수구는 지형상 가장 낮은 서쪽 방향으로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동쪽에는 지상에
서 약 1m 되는 성벽부분에 65×45㎝의 5각형 수문이 남아 있다.
한편, 7곳의 옹성은 대개 둘레가 25m, 높이 8.3m로서 지형상 적의 접근이 쉬운 능선과 연결되는
부분에 축조하였다. 또한, 우물터는 아미지(蛾眉池)라는 연못을 비롯하여 5곳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 주위의 암벽에는 옥필(玉筆)·유사암(有似巖)·아미지 등의 글씨가 오목새김되어 있는데
김생(金生)의 필체로 전한다.
1980년 7월 22일 호우로 인하여 서문지 부분이 무너져내리고 유구(遺構)가 드러나 발굴한 결과
성문에 사용했던 신방석(信枋石)과 주춧돌을 찾을 수 있었다.
또 성문은 신라의 상대(上代)와 하대(下代)에 축조되었는데 상대 문지의 문지방석(門地枋石)에 수
레바퀴 자국이 남아 있는 것을 분석한 결과, 중심거리가 1.66m에 달하는 큰 수레가 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1983년의 발굴 결과 삼국시대에서 고려, 조선시대까지의 토기조각과 각종 유물이 출토되어
이 성의 이용 편년을 입증해주고 있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대전·청주·상주·영동으로 연결되는 요지로서, 신라는 이 지역의 확보를 토대로
삼국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뒤 김헌창(金憲昌)의 난 때 거점지로도 이용되었으
며, 918년(태조 1) 왕건(王建)이 이곳을 직접 공격하다가 실패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때도 이용된
기록이 있다.
삼생리산성 (음성군)
<삼생리의 풍경>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의 해발 342.3m 사향산의 산정상부에 삼생리 산성은 삼생리의 해
발 462m의 고지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사향산과 접하고 있다. 이 산성은 구조로 보아 계곡을 둘러싼
포곡식 산성이며, 축조방법은 능선을 따라 비탈진 경사면을 깎아내려 성벽을 만든 산토법으로 축조
하였다. 성벽은 능선을 따라 축조하였는데 일부만 무너지고 그대로 유지되어 비교적 완형을 보이고
있다.
성문은 성벽의 일부를 절단통행로를 낸 개괄식의 성문인데 넓이가 250cm 정도이며 서향으로 입
구가 열린 삼태기형으로 보인다. 성문지 양쪽으로 7m의 서축을 쌓았으며 서축에 이어 성벽을 축조
하였는데 군데군데 자연석이 섞여있다.
산성 정상 부근에는 장방형의 석축이 있는데 그 구조물의 용도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성안 골짜기
에는 풍부한 물이 있어 성안생활에는 어려움이 없었을 것 같다. 산성의 규모는 둘레가 약 1000m 정
도이며 높이 100cm 폭 150cm 경사면 높이 200cm 정도이다.
상당산성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백제시대부터 토성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는 상당산성은 1716
년(숙종 42)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백제시대에 청주목(淸州牧)이 상당현(上黨縣)이라 불렸고, 숙종
때 축성기록에 ‘上黨基址 改石築(상당기지 개석축)’이라는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8부능선에서 시작하여 성안의 골짜기를 포함하고 있는 동서의 등성이를 타고 사행(蛇行)하는 성벽
은 네모나게 다듬은 화강암으로 쌓았으며, 4.2㎞의 유구가 잘 남아 있는 서벽과 동벽의 높이는 약 3
∼4m에 이른다.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으나 성벽 위에 설치하였던 성가퀴[城堞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는 전
혀 남아 있지 않다. 성벽의 안쪽은 돌을 깨뜨려 틈을 메운 뒤 흙을 채우고 다지는 공법을 사용하였
다.
현재 남아 있는 성곽시설로는 남문을 비롯하여 동문과 서문, 3개의 치성(雉城 : 성벽에서 돌출시
켜 쌓은 성벽), 2개의 암문(暗門 : 누각이 없이 적에게 보이지 않게 숨겨 만든 성문), 2곳의 장대(將
臺), 15개의 포루(砲樓)터 외에 성안 주둔병력의 식수를 대기 위한 대소 2곳의 연못이 있다. 정문
인 남문 주변에는 3개의 치성과 장대, 4곳의 포루가 설치되어 있다.
숙종 때의 개축 이후에도 1731년(영조 7) 남문 문루를 세우는 등 대대적인 보수를 했으며, 1802년
(순조 2) 1,176개의 첩(堞)을 시설하여 산성으로서의 완벽한 격식을 갖추게 되었다. 그 뒤 성벽이 퇴
락하고 문루가 모두 없어져 버렸는데, 1971년 석축 부분을 개축하였고,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남
문·서문·동문의 누문을 모두 복원하였다.
일부에서는 이 산성을 삼국시대 김유신(金庾信)장군의 전적지인 낭비성(娘臂城)으로 비정하기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청주상당산성
상리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리의 해발고도 743m 지점에 축조된 삼국시대의 석축(石築) 산성이다.
고구려가 남한강을 건너 북진하는 신라군을 막기 위하여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성곽의 흔적이
약 370m에 걸쳐 남아 있다. 성안의 중앙부에 널찍한 바위와 광장이 있어 군사들의 훈련 및 대기 장
소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성 (옥천읍)
충청북도 옥천읍 성정리, 삼정리, 옥각리의 중간 지점이 있으며 해발 198m에 둘레길이 995m이
고 성의 동남쪽은 높고 경사가 가파라서 성곽의 흔적이 뚜렷하게 파악되었지만, 낮은 북서쪽 방면
은 정확한 성곽의 경계를 짐작할 수가 없다. 다만 성내 평탄지로 추정되는 곳이 많이 있으며 그 넓이
가 상당히 넓어 수천명의 군사가 상주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남쪽 방어를 위해 설계된 것이 확연한데 서산성 아래로 영동 김천방면 뿐만 아니라 보은으로 통하
는 길이 합쳐지는 곳이기에 신라에 대한 방비책으로 세운 삼국시대의 산성이다.
석인리산성 (음성군)
<석인리 풍경>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리에 있는 석축산성으로, 새말마을 북서쪽에 솟은 해발 약 280m, 속
칭 ‘성재’의 산정에 축조되어 있다. 배후에 해발고도가 더 높은 산으로 막혀 북쪽과 동서쪽이 모두
산으로 막혀 있으나 남쪽으로는 넓은 평야가 내려다보이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산성의 축성 시기를 알려주는 문헌 또는 고고학 자료는 없으며 유물도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성
내서 수원을 전혀 찾을 수 없다는 점과 위치상으로 추정해보았을 때, 산성 남쪽의 도로를 지키기 위
하여 일시적으로 이용한 산성이거나, 수정산성·국사봉 산성과 같은 주변의 다른 성들과 연락을 취하
기 위한 연락용의 보루성(堡壘城)으로 추정된다.
산성의 둘레는 약 130m에 불과한 작은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현재 남북으로 약간 긴 타원형을 이
룬 석축의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있는 편이다. 성석(城石)은 주변에서 흔히 채취할 수 있는 잡석들을
이용하였으며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는 하였으나 치석은 거의 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밖에 산성과
관련된 시설은 남아있지 않다
석토성 (단양군)
<적성면의 산>
충북 단양군 적성면 성곡리 가은암산(加隱巖山)의 남한강 상류지역 암릉에 석축한 산성으로 백제
와 신라의 결사항전에서 신라가 대승한 성곽이다.
강 주변에는 절벽을 이루어 평지(平地)가 전혀 없으며 강을 건너면 바로 가은암성(加隱巖城)으로
올라가게 된다.
성안에는 속칭 흔들바위의 거대한 기암(奇巖)은 옛날 성을 쌓고 파수를 보았었다고 전한다.
한강 상, 하류쪽과 건너편이 한눈에 바라보여 일단 유사시 대적(對敵)한다면 1석 2조를 노릴 수 있
는 최적의 요충이다
강 건너 남쪽편의 적군에 대항하면서 한강상류의 단양과 한강하류의 청풍과 충주 방면으로 오는
적군의 진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축성한 석성(石城)이다.
삼국시대의 축성한 남문(南門)과 북문의(北門)의 통용문(通用門)이며, 삼국기에 잘룩한 능선에만
드문드문 축성하는 축성법으로 고대 석전용(石戰用)의 천석(川石)과 삼국기 평와편(平瓦片)을 수습
하였다.
성안에서 토기편과 각 시대의 적갈색, 흑회색, 회색의 기와조각과과 투석전(投石戰)에 사용했던 강
의 돌이이 대거 산재했으나 댐이 들어서면서 수몰되었다.
성열성 (제천시)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위치한 성으로 청풍 성열성 또는 청풍 망월산성(淸風望月山城) 으로 과
거 이름이 여러차례 변천하여 최근에 망월산성(望月山城)이라는 이름으로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성열성은 남북(南北)으로의 최대너비가 140m이고, 동서(東西)로는 150m여서 말각방형(抹角方形)
에 가까운 부정원형(不整圓形)의 평면을 가지고 있다. 성의 총주위(總周圍)는 성벽의 내측면으로서
성내(城內)를 일주(一周)하는 소로(小路)를 기준하여 477m이다.
산정에 둘레가 약 250칸(間)으로 석벽은 거의 붕괴하여 곳곳에 석루(石壘)가 남았을 뿐이다
1994년 지표조사에서 성안에 4개의 건물지, 삼국시대 와편류와 토기편류, 투석전용 강돌, 마형토
우, 미완성 돌도끼의 출토로 읍성의 진영(陣營)으로 확인했다.
이후 성곽의 최고봉에서 제단으로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성곽의 주변 평등사지에서 납석제불보살병립상의 후면에 백제의 산경문(山景紋)이 출토되어 백제
의 성곽으로 고증되었다
수정산성 (음성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원래 토축산성이 있던 곳에 석축으로 보강한 산성으로 총길이 550
m 정도이고, 높이는 높은 곳은 7m가 넘으며 대략 2∼3m 정도의 높이로 성벽의 너비 약 4m이다. 석
축 부분은 약 250m로 서문에서 남쪽으로 남아 있는데 군데군데 무너져 있으며 높이 500∼550cm
이다.
성의 동쪽 부분은 토축하였고 서쪽 성벽은 상태가 양호하다. 그리고 전형적인 치성(雉城)과는 개념
이 다르지만 성벽의 회절부를 돌출시켜 쌓아 치성의 역할을 하게 하였는데 세 부분이 남아 있다.
성벽을 따라 4∼5m 폭의 회곽도(廻郭道)가 조성되어 있다. 석축법은 외부 표면석과 내부의 뒤채움
돌을 옆으로 층을 이루면서 한 단씩 쌓았다. 성의 잔존상태와 축성기법으로 보아 산성의 주된 방어
지역은 서쪽 방면인 것으로 보인다.
성내에는 건물지 1개소가 남아 있다. 축성기법이나 출토유물로 미루어 보아 8∼9세기초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에도 사용되다가 조선시대에 폐성(廢城)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산성(古山城)이라 기술되어 있으며, 대동지지(大東地
志)에는 운성(雪城)이라 칭하였고, 호서승람(湖西勝覽)에는 수정산성(水精山城)이라 하였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문화재지(文化財誌)에 고려시대 축성하고 조선시대에 개축한 성이라고 한다.
신천리토성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성으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군내면 신천리의 한천에
있는 토축으로 주위 약 300간, 높이 6척, 폭 5척이라고 소개되었고 전국유적목록에서는 같은 내용
이 간단히 소개되었다.
문화유적총람에는 음성읍 읍내리 토성지에는 축조 연대는 미상이나 음성역 앞에서 신천리로 넘어
가는 곳에 있는 토축 평지성으로, 주위 약 460m이고, 형태는 장방형으로 북측은 대체로 잘 남아 있
어 높이 2.4m, 두께 1.6m이나 남측과 동측은 완전 붕괴되어 형태조차 찾을 수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전설에 의하면 이 토성은 군량미를 보관하였던 곳이라고 전한다. 토성의 건축 공법은 다져쌓기를
사용하여 5㎝ 두께의 찰흙을 사용하고 사이에 12~22㎝의 간층을 넣은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성일 것이다.
신천리 토성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하지 않은 평지 방형 토성으로서 많은 주목을 받았으나 정
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부 파괴되어 확실한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애곡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의 해발 150m에서 155m에 걸쳐 흙과 돌을 섞어 쌓은 토성(土城)
이다.
삼국시대에 고구려가 강 건너 신라의 적성(赤城)에 대응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산
성의 입지는 북진(北進)하여 영토확장을 꾀하던 신라가 죽령(竹嶺)을 넘어 고구려를 공격할 때 첫
전투지역에 해당된다.
양천산성 (진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안능마을의 해발 350m의 양천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성이
며 산성이 축성된 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산성의 규모는 길이가 약 400m이며 임진왜란 때 양민들이 이곳으로 피신하여 왜병에게 저항하였
다고 한다. 산성지에서는 다수의 토기조각와 기와조각이 발견되었다.
오대산성 (음성군)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와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 사이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산성이다오성
산성 또는 할미성이라고 불리는 토축산성으로, 해발 약 399.7m의 오대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임진왜란 때 민보(民堡)로 축조하여 주변의 마을 사람들이 지켰다는 전설이 남은 것으로 보아 한
때나마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산성은 전형적인 테뫼식 산성으로, 내외의 이중성으로 축조되었다. 내성은 남북으로 긴 정상부를
남쪽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땅을 깎아 평평한 대지를 이룬 후 이 대지의 외곽을 따라 평녀장(平女墻)
과 같은 낮은 토장을 쌓았던 흔적이 남아있다. 그 둘레는 약 120m이다. 외성은 내성의 북서남면에
서 약 3~7m 아래 부분을 깎아 이 흙으로 외곽의 토장을 축조하여 만든 것이다.
그 둘레는 약 200m이다. 내성쪽의 경사면과 토장을 이룬 외성으로 인하여 두 성 사이의 평지는
오늘날의 교통호(交通壕)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오성산성 (음성군)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와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 사이의 오대산 정상에 위치하며 임진왜란
시에 민간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성이 있어서 마을을 지켰다는 전설을 지닌 성이다.
옥녀봉토성 (진천군)
<옥녀봉>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와 이월면 노원리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 토축 산성으로 옥녀봉의
정상에 있다.
『한국지명총람』에 옥녀봉산성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 동암 북쪽 해발 260m의 산 위에
있는 성터로 옛날 군사들이 진을 쳤던 곳으로 전해 온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동암마을의
동북쪽에 위치하며 고도는 해발 456.5m로 많은 차이가 있다.
고문헌 기록에 나타나지 않고 학술 조사도 실시된 바 없어 정확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다만 북쪽에
인접한 장군봉산성과 함께 삼국시대에 진천의 북쪽 지역을 방어하기 위하여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
측된다.
진천군 백곡면과 이월면의 경계를 이루는 무제산[573.7m]으로부터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한
봉우리인 속칭 옥녀봉 정상부를 감싸고 축조된 토성이다. 봉우리의 서쪽 경사면을 깎아 내어 만든
토루(土壘) 형태의 성벽은 많이 유실되어 흔적이 모호한 곳도 있다. 남동-북서 방향의 부분은 말안
장 형태이고 북향으로 굽어서 약 60m까지 이어진다.
전체의 길이는 약 160m이고 너비는 25~35m, 둘레는 약 350m에 불과하나 진천평야를 한눈에 조
감하는 위치가 된다. 북쪽으로 낮아진 곳에는 산상이 평편한 곳으로 경작이 가능한 배후지가 있다.
지표에서는 유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이른 시기의 방어 취락 유적으로 여겨진다.
옥녀봉산성은 토성으로 축조된 데다 2010년 현재 수목이 우거져 있어 일반인들은 토성의 존재를
확인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보루(堡壘) 형태의 작은 산성이어서 문헌 기록에도 전혀 보이
지 않으며, 출토 유물도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옥녀봉산성은 진천군 이월면 지역에서 경기도 안성
지역으로 통하는 옛 교통로를 감시하고 방어하기 위하여 축조된 작은 보루로서, 진천군의 고대 역사
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온달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의 산성으로 고구려 평원왕(平原王)의 사위 온달이 신라군의 침입
때 이 성을 쌓고 싸우다가 전사하였다는 전설이 있는 옛 석성(石城)으로 성산 고성이라고도 한다.
성의 둘레 683m, 동쪽 높이 6m, 남북쪽의 높이 7∼8m, 서쪽의 높이 10m, 성의 두께 3∼4m. 영춘
을 돌아 흐르는 남한강 남안의 산에, 길이 70cm, 너비 40cm, 두께 5cm 크기의 얄팍한 돌로 축성한
성으로, 약 100m 정도가 붕괴된 것 외에는 대체로 현존한다. 동 ·남 ·북 3문(門)과 수구(水口)가 지
금도 남아 있다.
성내에는 우물이 있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매몰되어 물이 조금 나올 정도이며, 곳곳에서 삼국시대
및 고려 때의 토기조각을 볼 수 있다.
외리산성 (부여군)
충청북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 뒷산에 위치하며 성은 표고 30m의 낮은 야산의 정상부에 토축된 테
뫼형 성으로 성의 둘레는 약 200m로 추정된다.
성은 토축성이므로 퇴락이 심하게 이루어져 있어 성벽면의 잔존 상태가 매우 불량하며 성벽은 물
론 성내의 일부까지 전답의 개간이 이루어져 있다. 성 안은 비교적 평탄 지역이며 성 중앙에는 소로
가 개설되면서 깊게 패여 성을 동서로 나눈 상태이다.
용부원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의 해발 489m에서 621m 지점에 걸쳐 축조된 삼국시대의 석축
(石築) 산성이다.
둘레는 약 240m이며, 약 40도의 경사를 이루는 가파른 절벽 위에 축조되어 아래쪽에서는 잘 보이
지 않는데, 적의 공격에 돌을 굴려서 방어하기에 적합한 지형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성안의 중앙부
에 둘레 31m, 높이 3m인 봉수터가 남아 있다.
이성산성 (증평군)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노암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성금강수계인 미호천 최상류 지역의 토성(土
城)으로, 삼국시대의 산성 중 가장 북쪽에 있다. 늦어도 3세기 후반 백제에 의해 축조되어 신라가 한
강유역으로 진출하는 6세기 중반까지 약 200년 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성산성은 남성(南城)과 북성(北城)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성산(二城山, 259m)의 정상부와 정
상부에서 남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높이 242m)에 각각 독립된 형태로 축조되었다.
남성(南城)은 내성과 외성을 갖춘 2중 구조로, 전체 둘레는 1,411m에 이른다. 산의 정상부를 빙 둘
러싸고 7부에서 9부 능선상에 축조된 테뫼식산성과 계곡을 포함하여 가지능선을 연결하는 포곡식
산성이 복합된 형태이다.
북성(北城)은 내성과 외성 그리고 외성에 두 개의 자성(子城)이 딸린 4중 구조로, 전체 둘레는 429
m이다. 산의 정상부를 에워싸고 8부에서 9부 능선상에 2중의 테뫼식산성으로 축조되어 있다.
또 이성산성은 사성산석성 또는 기성산성, 굴산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성산성에서는 발견된 유물은 토기류와 기와류, 석제품 등이다. 토기류의 상당수는 경질무문토기
편과 백제토기편으로 주로 남성에서 출토되었으며, 기와류는 북성의 외성에서 발견된 것으로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옛날에는 모든 문헌을 한자 중심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한자가 서로 비슷하여 이(已)로 이성산성,
사(巳)로 사성산석성, 기(己) 로 기성상이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작성산성 (제천시)
제천시 금성면 포전리와 성내리의 경계인 작성산 정상부와 계곡 상부를 이용하여 쌓은 성으로 둘
레는 약 1100m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의 고적편에 “작성(鵲城)이라 하고 금수산 북
쪽 기슭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성으로 그 안에 석탑이 있다”고 하였으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
鮮寶物古跡調査資料)』에는 “학산성이라 칭하며 산 정상부와 계곡 상부를 두른 둘레 700칸의 석벽
이 거의 대부분 붕괴되고 일부는 천험을 이용한 준험한 암석지”라 기록되어 있다. 또 『문화유적총
람』에는 “작성산이라 칭하여 토석 혼축 성터로 신라계 토기편과 기와편, 고려 시대의 토기편과 자
기편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에까지 사용되어 온 성으로 추측”된다고 하였
다.
작성산성은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축조 시기가 불분명하지만 신라계 유물이 확인되는 것으
로 보아 고대에 축성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남쪽에 인접한 견제산성과의 관련성을 주목해 볼
수 있다.
작성산성은 산의 정상부와 계곡의 상부를 따라 축성되어 형태는 부정형에 가깝다. 경사가 심한 곳
은 자연 암반을 이용하였고, 나머지 부분은 석축과 토축을 병행하였는데,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석축 성벽은 약 2m의 높이로 수평을 맞추어 축조하였다.
약 2m의 높이의 석축 성벽을 이루고 있는데, 대부분 붕괴되었다. 성내에서는 삼국 시대의 토기편
과 고려 시대의 토기, 도기와 기와 조각 등이 발견된다.
장군봉산성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덕리(文德里)와 신대리(新垈里)의 경계를 이루는 능선 끝의 장
군봉 위에 쌓았다. 내성은 돌로 쌓고 외성은 흙과 돌을 이용하여 쌓았으며, 둘레는 308m인 테뫼식
산성이다. 문필봉에서 뻗어 내린 지맥을 이용하여 외부의 적을 차단하기 위한 토루 2개를 쌓았고,
그 능선과 강가의 절벽을 이용하여 내·외성을 쌓았다.
내성은 봉우리의 정상부를 이용하여 돌로 쌓았는데, 둘레는 47m이고 외성보다 높아 장대지가 있
다. 외성은 총둘레 261m 중 62m는 돌로, 193m는 흙으로 쌓았다. 토루의 높이는 높이 1.2m, 폭 3m
이며 기반에 막돌을 박아 쌓았다.
외성 남쪽에는 망대(望臺) 터가 있으며, 망대 옆과 내성 바깥쪽에는 투석용으로 옮겨 놓은 돌무지
가 있다. 성의 북쪽은 사면 중 유일하게 험하지 않은 곳으로 적의 내습이 용이한데, 이에 대비하기
위해 8m 간격으로 길이 12m, 두께 6m의 반원형 토루 2개를 쌓은 흔적이 남아 있다. 우물터와 성터
는 확인할 수 없다.
장미산성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장천리 중앙탑면에 있는 장미산(337.5m)의능선을 따라 쌓은 석성으
로, 충주 시내를 감싸고 흐르는 남한강변의 요충지에 축조되어 남한강이 천연 해자역할을 한다.
성의 크기는 둘레 약 2.9㎞, 너비 약 5∼10m 정도이다. 이 성에 대하여는 동국여지승람과 대동지
지에 기록이 남아 있고 1992년 지표조사 결과 삼국시대의 고구려산성으로 확인되었다.
성 북쪽의 사찰(봉학사)이 있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성벽의 원래 모습이 많이 남아 있다. 서쪽
과 서남쪽의 성벽을 보면 직사각형으로 다듬은 자연석으로 성을 쌓았다. 1992년 성 안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들을 검토한 결과 백제·고구려·신라가 차례로 이 성을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
다.
사방으로 계곡을 이루는 지점에 각각 문(門)과 수구(水口)의 흔적과 연못이 있었던 자리, 건물터가
남아 있다.
지리적으로는 남한강변에 축조된 남쪽의 대림산성(충북기념물 110)과 강 건너편 충주탄금대의 토
성, 충주산성(남산성)과 인접해 있다.
잣재산성 (보은군)
<백현리의 풍경>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백현리의 잣재산성[柏峴山城]은 석축으로 된 옛 산성들이다. 잣백(柏),
고개(峴)으로 잣나무가 있는 고개라는 뜻으로 백현산성이라고도 한다.
저점산성 (옥천군)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계화마을 해발 313m 높이의 뒷산에 있으며 뒷부분은 높고 앞부
분은 낮은 사모봉형의 석축산성이다.
소백산맥 서사면의 산간분지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남천(南川)이 북쪽에서 남류하여 금강에 합류
하는 지점이다. 신라의 소지왕이 개축하였다는 삼국시대의 산성이다.
적산산성 (무주군)
전북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의 절벽으로 이루어진 산 위의 분지를 에워싼 대표적인 방어산성이다.
고려 후기 거란이 침입한 후 최영은 이곳에 산성을 쌓게 하고 창고 짓기를 건의했으며, 조선 세종
때의 체찰사 최윤덕도 반드시 보존할 곳이라고 건의한 바 있다. 고려 때 거란과 왜구의 침입에 이미
산성을 이용하여 인근 여러 고을의 백성이 피난한 사실에서 이 산성은 고려 후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 광해군 2년(1610) 이곳에 조선시대 5개의 역사책보관소 중의 하나인 적상산사고를 설치하
고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족보』를 보관하였다. 실록전, 사각, 선원각, 군기고, 대별관, 호국사
를 세웠고 임진왜란 이후 진을 두어 산성을 수축하고 운영했다.
현재 성벽은 무너져 숲 사이에서 겨우 그 모습을 찾을 수 있고, 사각과 기타의 건물들도 그 터만이
남아 있다.
적성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의 단성면 하방리 성재산에 있는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남쪽, 동남쪽의 3곳에 문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성벽의 절단부가 있다. 북쪽은 남한강과 가파
른 절벽의 자연적인 지리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산성(城山城)은 돌로 쌓았으며, 주위가 1,767척이며, 안에 큰 우물이 있었는
데 지금은 폐하였다는 기록에서 적성산성에 대한 기록이 처음나타난다.
1872년의 지방지도에는 읍내면 중방리 동헌의 왼쪽 산에 '적성(赤城)'을 뚜렷하게 표기하고 있으
며 "둘레가 1,768척이다."라는 설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에는 조산촌면 하진 가까이에 '성
산(城山)'이 표기되어 있다.
적성산성은 성산성이나 산성으로 불리다가 1978년 성내에서 '적성비'가 발견되면서 적성산성으
로 불리게 되었다. 성내에서 발견된 비는 '단양신라적성비(국보 제198호)'로 명명되었다.
이는 신라 시대의 비석으로, 신라가 고구려의 영토인 이곳 적성을 점령한 후에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세워 놓은 것이다.
비석 외에 삼국 시대의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도 발견되고 있으며, 고려 시대의 유물도 있어 대략
고려 후기까지 오늘날의 단양지방을 다스리는 읍성의 구실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축성 방법이 매우
견고하게 되어 있어 신라의 축성 기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주성산성 (보은군)
충북 보은군 내북면 창리에 위치한 주성산을 둘러싼 석성으로 둘레는 634m로 삼국시대의 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주성산성이 위치한 창리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사용하는 말을 관리하던 역참(驛站)과 조선시대
양곡을 저장하던 창고가 설치되어 있어 창(倉)골이 위치해 있었던 마을이다.
보은에서 청주로 향하는 길중에 가장 고개가 원만하여 삼국시대 적들을 방어하기 위해 지리적인
위치해 주성산성이 필요한 군사시설인 듯 했다. 옛 기록에는 주위가 약 340간에 높이는 약 3척에 폭
은 약 5척인데 곳곳이 파괴되어 인근 마을에서는 성재로 불리고 있다.
현재 주성산성은 주성산(360m) 꼭대기에 2개의 봉우리 및 그 능선을 포위하듯 쌓았으며 북서쪽
사면을 이영하여 반달의 형태로 쌓았으며 북사면의 능선이 워난하고 평지도 있으며 성안에는 우물
자리도 있으나 능선이 있는 남쪽은 2개 봉우리와 이어진 능선 바로 아래로 성을 쌓았는데 성벽 바로
밑은 표고차가 90m나 되는 지세가 경사 70~85도의 절벽을 이룬 매우 험준한 절벽이어서 고도가 낮
은 산성이지만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지형을 지니고 있다.
성에 사용한 돌은 편마암으로 지금은 대부분 붕괴되어 흔적만이 남아 있으며 망대나 장대등의 건
물자리로 추정되는 흔적만이 남아있다고 한다. 현재 주성산성은 삼국시대의 성으로 인근 미원면 방
면의 낭성산성과 구녀산성등 청주로 향하는 통로를 차단하거나 연락을 위한 목적으로 신라가 쌓은
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죽령산성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죽령은 경상북도 영주시와 충
청북도 단양군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로서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신라·백제 삼국으로 통하는 통로였
으며, 서로 침공을 막아내는 관문에 해당하였다.
이 산성은 고구려가 해발 700m에서 747m에 걸쳐 축조한 것으로, 그 시기는 449~450년으로 추
정된다.
산성은 태백산맥에서 소백산맥이 갈라지는 분기점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가파르고 험한 산악지대
로 연결된다. 내성(內城0과 외성(外城)으로 구축되었는데, 내성은 석축(石築)으로 둘레 76m이고, 외
성은 토축(土築)으로 둘레 385.5m이다. 약 2m 높이의 석축 전망대가 있으나 대부분 붕괴되었다.
청주양성산성 (청주시)
충북 청원군 문의면 미천리 마을에 있었으나 통합 청주시로 바뀌면서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으로 결
정되어 성 이름도 양성산성에서 청주 양성 산성으로 바뀌었다.
서쪽에 있는 해발 292m의 양성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흙과 돌을 섞어 쌓은 산성이다. 삼국시대 축조된 산성
으로 후삼국시대까지 치열한 격전장소로 군사적·행정적 중심지 역할을 했던 산성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자비마립간 17년(474)에 일모(一牟), 사시(沙尸), 답달(沓達), 광석(廣石) 등
성을 쌓았다는 기록과 고려 태조 8년(925)에 정서대장군 유금필(庾금弼)을 파견하여 후백제의 연산진을 공
격하여 장군 길환(吉奐)을 죽였으며 태조 15년(932)에는 왕이 이 곳에 와서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
고 조선시대 지리지에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돌로 쌓아 만든 성벽은 평면형태가 불규칙하여 빗자루 모양 또는 주걱 모양이다. 높은 위치의 부분이 대체
로 네모꼴이고 낮은 위치의 능선을 길다랗게 감싸고 있으며, 성의 전체 둘레는 약 985m이다. 성벽 안쪽으로
성안을 돌아가는 내환도(內環道)가 있으며, 성벽은 여러 부분에서 각기 상이한 축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상태로 보아 돌로 쌓은 성벽, 곡성(曲城), 문터, 수구(水口), 큰 못, 차단벽, 그리고 크고 작은
건물터가 있다.
삼국시대 축조된 산성으로 그 당시 성곽과 성문터 등이 남아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성안 둥근
연못과 수구가 잘 남아 있어 학술상 중요한 산성이다.
정북동토성 (청주시)
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있는 평지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만든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궁예가 상당산성을 쌓아 도읍을 삼았는데,
견훤이 산성을 빼앗아 정북동 토성으로 짐작되는 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어, 후삼국 쟁란기인 9
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이루어졌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출토된 유물과 성의 위치, 주변 여
건이 초기 성곽시설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 오래 전인 삼국시대의 가능성이 있다.
성의 길이는 675m이고 높이 3.5m, 폭은 8∼13m 정도 된다. 성안에서는 주거지, 기둥구멍, 길, 돌
무더기 등이 확인되었고, 성 밖에서는 성을 둘러싸 보호하는 물길인 해자를 확인했다.
토성의 구조와 출토 유물들로 우리나라 초기의 토성 축조 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토성이
다.
충주산성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직동해발 636m의 금봉산(錦鳳山), 즉 남산(南山) 정상에 위치하여 남산성 또는
금봉산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설에 의하면 삼한시대에 마고선녀(麻姑仙女)가 7일 만에 축성하였다 하여 마고성(麻姑城)이라고
도 한다. 《조선약사(朝鮮略史)》에는 백제 구이신왕 시대에 쌓은 것으로 개로왕 21년(475)에 보수
하여 적을 방어하였다고도 한다. 개로왕이 바로 이 성 북쪽에 있는 안림동에 도읍을 옮기려 하였다
는 설과 일치하고 있음에 주목된다.
고려시대에는 왕을 칭하던 자가 점거하고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이곳은 고려 말 몽골군이 침
입했을 때 물리친 곳으로 추정된다. 고종 40년(1253) 9월 몽골이 침입하여 충주성을 공격하자 충주
창정 최수가 금당협에 매복하여 몽골군을 공격하여 승리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포위당한지 70여
일에 군량이 다하고 사기가 저하되자 방호별감(防護別監) 승장 김윤후(金允侯)가 전군과 관노까지
를 격려하여 사력을 다해 싸워 적을 격퇴하였다.
1254년 9월에는 차라대(車羅大)가 충주산성을 공격하였으나 갑자기 비가 오고 바람이 불뿐 아니
라 성안의 고려인이 열심히 싸우자 물러갔다.이 성은 충주 동쪽의 계명산 영맥과 서쪽의 대림산
성, 북쪽의 탄금대 토성지와 함께 충주를 사방에서 방어하기 위하여 험한 산세를 이용하여 돌로 쌓
은 산성이다. 구조는 외축 내착형이며 산 정상을 이어 쌓은 퇴뫼식 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축성 재료는 석재를 고루 쌓아 전형적인 고식을 보인다.1983년 충주시 조사에 의하면 성 둘레는
1,145m이지만, 중간중간이 무너지고 5개소에 775m의 성곽이 남아 있다.
성안의 넓이는 46,524㎡이고, 성벽의 높이는 7~8m에 이르고 있다. 성안에는 우물자리가 2개소
있는데 현재 물은 나지 않으며 동서의 산능선상에 문지가 있고 동쪽으로 수구가 있다. 성안에서 신
라, 백제계의 토기 조각 및 기와쪽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산국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다. 1977년에 무너진 곳의 일부를 보수하였고 1986년에는 시의 지원으로 충주공업전문대학 박물관
팀이 발굴 조사를 하였다.
추성산성 (증평군)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노암리 증평 추성산성은 4~5세기 백제 토축(土築) 산성으로는 도성 이외
의 지방에 존재하는 최대 규모의 성곽이며, 내성(內城)과 외성(外城)의 중첩구조로 남성(南城)․북성
(北城)이 배치된 구조는 추성산성만이 가지는 특별한 평면구조로서 백제 성곽사 연구에 가치가 높
다.
남성의 남문지(南門址)는 계곡부 중앙에 위치하여 타 지역의 문지와 다른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고
대 수문(水門)에 있어 독특한 양식을 보여주며, 북문지는 바닥을 단단하게 다진 후 그 위에 부정형
석재를 이용하여 측벽과 바닥석을 조성하였다. 또 바닥면은 성내에서 성외방향으로 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바닥석 하부에는 암거식(暗渠式) 배수로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문지구조는 한성백제 단계의
수문의 분화 발전단계를 밝혀 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초기 석재 가공과 관련된 철착(鐵鑿)과 토축 공정의 흔적이 확인되어 초기 석축과 토축 조성방식의
실체를 규명한 고고자료이며, 성벽의 축성방식은 초기단계의 판축기법(版築技法)과 성토다짐이 사
용되어 우리나라 축성사에 있어 다른 유적에서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자료이다.
남성의 성벽 기저부(基底部) 유구에서 출토된 심발형(深鉢形) 토기의 편년을 통해서 적어도 4세기
후반에 재지계(在地系, 토착계) 및 한성백제에 의해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금강
유역권에서 조사된 토성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고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자
료이다.
북성에서는 광구소호(廣口小壺), 평저광구호(平底廣口壺), 원형 압인문 (押印文) 토기, 고배(高杯)
등 가야지역, 충남 서해안 및 영산강 유역의 토기기종으로 판단되는 외래기종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이들 외래기종 토기류는 대체로 4세기 후반의 시기에 집중되고 있으며, 가야와 영산강 유역권과의
국제 정세를 파악할 수 있는 실증자료라 할 수 있다.
또, 성벽 하부의 매납(埋納)유구는 백제 토축산성 중에서 의례행위를 알려주는 희귀한 자료로서 향
후 지속적인 연구 자료 등 백제사 연구에 있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탄금대토성 (충주시)
충북 충주시 칠금동 산 1-1번지 일원의 탄금대 동북쪽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토성이다.
토성이 위치하고 있는 탄금대는 동북쪽에서 흘러오는 남한강과 남한강 최대 지류인 달천이 합류하
는 바로 동쪽으로 대문산 또는 태문산이라 불리는 낮은 구릉이다. 토성은 탄금대의 동북쪽 가장 높
은 지점에서 서향으로 낮아지는 사면을 둘러싼 토루이다. 평면 형태는 동서로 긴 불규칙한 말각장방
형(네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이거나 타원형이다. 전체 둘레는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북쪽 구
간을 포함하여 약 415~420m이며, 인위적인 토루가 축조된 구간은 234m이다.
성안의 평평한 지대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저수시설 1기와 주거지 3기가 확인되었다. 저수시설의
평면 형태는 부정타원형 또는 말각장방형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가장 깊은 바가지 모
양이다. 서쪽 벽 위쪽이 일부 훼손된 상태이나 전체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다. 규모는 500×530cm으
로 중앙부의 깊이는 60cm이다. 벽체는 갈색 점질토 내지 개흙을 이용하여 저수시설의 중심부를 향
하여 사선방향으로 다져졌으며, 바닥면은 짙은 회흑색 개흙을 이용하여 다진 후 그 위쪽 면은 강돌
을 이용하여 얇게 깔았다. 강돌 위에 밝은 회백색 개흙이 침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장기간 물을 저
장하였던 시설로 추정된다. 매몰 층에서 40매의 덩이쇠가 나왔다.
주거지는 광석을 녹이는 제련시설과 제련소에서 생산된 철을 2차 가공했던 공방시설로 추정되고
있다. 인접하고 있는 저수시설의 매몰 층에서 발견된 덩이쇠도 이를 뒷받침한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볼 때 탄금대토성은 4세기 중후반에 탄금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철을 생산하
는 세력에 의해 축조되고 경영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함림산성 (보은군)
<종곡리의 풍경>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학림리 · 종곡리와 산외면 아시리 경계에 있는 함림산(고도:517m)에 있
는 성으로 관련 지명은 『세종실록지리지』에 '함림역(含林驛)'으로 처음 등장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함림산은 고을 북쪽 10리에 있다."와 '함림역(含林驛)'의 기록과 동일
문헌에 "함림산성은 고을 북쪽 10리에 있다고 기록된 것을 보면 같은 산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
며 돌로 쌓은 성으로 둘레가 1천 4백 88척이요, 높이가 6척이며 성안에 큰 못이 있었는데 지금은 반
쯤 무너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함림산에 한림산성 유적이 있으며, 산 아래인 현재의
학림리(윗대바위) 근처에 함림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해모산성 (보은군)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 도락산의 신성복 북쪽에 있으며 광덕사 계곡과 가산리 계곡을 가
로지르는 산성이다. 남아 있는 유적은 있으나 자세한 연구거 없어 축성연대 크기 등을 알 수 없으며
도락산성의 다른 이름이라는 설도 전해 오기도 한다.
호점산성 (보은군)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용곡리에 위치하고 있다. 산성은 사방이 높은 산봉우리이고, 중앙에 넓은
골짜기가 있는 이른바 고로봉형의 석축 산성으로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부정타원형이다. 산성의 둘
레는 2,400~2,500m 정도이다. 문터는 서북문터를 비롯하여 모두 7곳에 문터가 마련되어 있다.
산성의 북쪽에 문의에서 회인으로 통하는 왕재와 염티재가 있다. 이 왕재와 염티재는 금강의 수로
교통을 통하여 공급되는 소금과 생선 등의 물자를 금강의 포구가 위치하고 있었던 문의에서 회인과
보은을 거쳐 경상도 상주 방면으로 이동하는 교통로이다.
산성의 석축성벽 중에는 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기둥 홈이 확인되고 있다. 석축성벽에서 확인되
는 기둥 홈은 성벽의 안쪽 벽면에 적용된 것과 바깥 벽면에 적용된 것이 있으며, 안쪽과 바깥쪽의 양
쪽에 적용된 곳도 남아 있다.
석축벽면에서 기둥 홈이 확인되는 것은 성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기둥을 세우고 성벽을 축조하였
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성벽이 통과하는 지점의 안팎으로 기둥을 세우고 성벽
을 축조한 후 기둥을 제거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 홈은 성벽 축조가 완료된
후 당초에는 작게 쪼갠 돌을 이용하여 기둥 홈을 메웠던 것인데, 이렇게 기둥 홈을 메운 것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와 작은 돌이 모두 빠져 기둥 홈이 그대로 노출된 경우가 동시에 확인되고 있다.
기둥 홈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성벽 자체의 기동 홈 간격은 415~425cm, 기둥의
규모는 직경 15cm 내외의 것을 사용했다. 기둥을 설치하고 석축성벽을 축조하는 방법은 토성의 축
조방법이 석축성벽에 적용된 예로서 호점산성은 그 가장 대표적인 산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
법을 적용한 이유는 단기간에 걸쳐 성벽을 축조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