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산을 내려가며 뒤돌아본다.
▲내려가는 길은 생각보다 길이 좋다.
▲초계정씨묘지로 내려가며 뒤돌아본다. 묘지 아래 넓은 진입로로 내려간다. 잘 꾸며진 초계정공의 묘지가 나오는데 이곳은 초계정씨들이 많이 사는 모양이다
▲ 임도 따라가다 ‘송산서로’ 지화리버스정류장 도로에 내려선다.
▲지화리(芝花里) 고개: 화성시 송산면에 위치한 지화리고개는 정상에 버스정류장이 있고 2차 선 도로가 지나간다. 포구가 있던 곳이었으나 시화방조제 준공으로 내륙지역이 되었고 자연 마을로는 거지, 화량, 방죽머리 등이 있는데 거지는 지화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인근 마을 중 가장 먼저 부락이 형성되었던 곳으로 구한말 때는 거지동으로 불렸으며 화량은 화량진터 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고 방죽머리는 마을 앞에 방죽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거지와 화량의 이름을 따서 지화라는 명칭이 생겼다.
▲지회리고개(송산서로) 2차선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 도로 따라 간다.
▲ '송산서로' 왕복2차선도로에 내려와서 이봉산에서 내려온 능선을 뒤돌아본다.
▲우측도로 서진(주)회사 직전의 파란 철망울타리 옆으로 송학산 오르는 입구이다.
▲절개지에서 우측으로 가면 씅학산 오르는 등로가 잘 정비 되어있다.
▲승학산(乘鶴山.109.7m). 나무 높이 산패가 걸려 있고 큰 흘라후프. 조망 없음. 우측으로 내려간다.
▲승학산(乘鶴山109.7m): 화성시 송산면 지화리에 있는 산으로 이곳의 유래에 대한 자료는 찾을길이 없다. 우리나라에서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지역이건만 문화에 대한 투자는 상당히 인색하다. 전국의 산을 다니다보면 조그마한 지자체에도 지역에 대한 자료가 풍부한데 비해 이곳 화성지역은 이름난 곳만 자료가 풍부하고 이런 곳은 자료가 아주 빈약하다.
▲직진해 내려가 갈림길에서 좌측의 지화리로 이어지는 뚜렷한 등로를 버리고 우측의 희 미한 길로 걸어간다.
▲묘지로 내려가서 선감도 방향을 바라본다.
▲송산면 지화리 매화동, 선감도, 시회지구 간척농지, 대부도 방향을 바라본다.
▲지화리 뒤편으로 대부도와 시화지구 간척농지
▲좌측으로 와룡산과 선감도가 조망. 잠시 길 사납다.
▲ 2차선도로(송산서로)에 내려서 좌측 도로 따라 간다.
▲우측에 화랑교회 버스정류장을 지나고 계속 2차선 도로
따라간다.
▲도로로 내려온 묘지 진입로를 뒤돌아본다.
▲우측 화랑교회를 지나
▲내려 온 승학산을 뒤돌아본다.
▲좌측으로 봉화산 쪽 함경산이 건너다 보이고
▲우측 지화2리 마을회관을 지나
▲지화리를 지나는 송사서로를 따라 오늘의 마지막 산인 와룡산으로 간다.
▲ 2차선도로는 끝나는 지점에서 직진 포장임도로 올라간다.
▲임도 끝 고갯마루에 오르면 포도빝이 나오고 포장임도 버리고 우측 비포장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와룡산으로 올라가며....좌측으로 송산면 칠곡리 구봉산 능선을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