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샴푸· 바디워시· 주방세제· 세탁세제는 사용 용도가 다르듯이 세제 제조 방법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종류도 서
로 다르고 매우 다양하다.
세제류의 목적은 세척작용을 높여 주는데 있으며 세척작용을 높이기 위해서 계면활성을 촉진(표면장력 감소)
시켜야 한다.
계면활성을 촉진시키려면 물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계면을 활성시켜주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야한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제류를 만든다고 하는 표현은 매우 잘못된 말이다.
- 계면활성제 이온성과 특징
이온성 | 계면활성제 | 특 징 | 용 도 |
비이온 계면활성제 |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루릴 글루코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 세정력 약함. 피부에 저자극 | 바디워시· 샴푸 등 다 양하게 사용 |
음이온 계면활성제 |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 세정력과 거품이 풍부하며 일반적으로 세정제 조성물로 많이 사용됨 | 주방세제· 바디워시· 샴푸 등 다양하게 사용 |
양이온 계면활성제 | 알킬피리디늄염 제사암모늄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 살균 소독 효과 | 섬유유연제·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살균제 등에 사용 |
양쪽성 계면 활성제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 양이온기와 음이온기를 동시에 갖고 있음 | 샴푸· 저자극 주방세제· 저자극 세제류 |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미치는 자극과 세정력
피부자극
양이온 〉 음이온 〉 양쪽성이온 〉 비 이온
세정력
음이온 〉 양쪽성이온 〉 양이온 〉 비 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제류를 제조 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야 때나 이물질· 오염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학을 해 주는 물질이 계면활성
제이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를 잘못 선택하여 세제류를 만들어서 사용하게 되면 피부 면역을 약화시켜서 아토피 등을 유발시
키거나 세포의 변형을 일으키는 등 발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체뿐 아니라 주방세제 및 생활환경 등에 사용하기위해서 제형을 구성하는 계면활성제는 석유계 합성 화합물을 배
제하고 안전한 계면활성제를 원료로 선택하여 제조하는 게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자연 친화적인 계면활성제는 EWG 그린 등급(1~2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정확하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
지만 보편적으로 이를 지표로 참고하여 사용되고 있다.
EWG 등급 이란?
EWG는 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줄임말이며 미국 워싱턴에 있는 비영리 환경단체에서 1992년 인류의 건강
과 환경을 위해서 만들어진 단체이다.
이 단체에서는 제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객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EWG 등급 이라하며 1~10단계로 나누었는데 이를
EWG 등급이라 한다.
1~2등급은 안전 등급으로 초록색을 나타내고 3~6등급은 유해성분이 보통으로 있다하여 노란색을 나타낸다.
7~10등급은 유해성이 높은 위험성분을 나타내며 적색으로 표현하고 있다.
EWG 1~2등급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포타슘코코에이
트(Potassium cocoate)· 라우릴글루코사이드 (Lauryl Glucoside) ·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등
EWG 3~6등급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소듐자일렌설포네이트 (Sodium
Xylenesulfonate)· 아민옥사이드(amine oxide)·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등
EWG 7~10등급
직쇄알킬벤젠술폰산(LAS)· 알킬벤젠 술폰산나트륨(ABS) 등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DLS
SLS· SLES의 대체제로 사용됨.
팜유 등에서 유래된 식물성 지방산을 합성하여 얻은 성분
거품 형성과 세정력이 좋아서 비누 및 다양한 세제류 제조에 사용됨.
젤 타입 세제류를 만들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이소듐 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양쪽성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디소디움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코코넛오일의 지방산에서 유래된 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자극을 완화시켜 줌.
바디워시· 샴푸· 폼 클렌저 등에 다양하게 사용됨.
데실글루코사이드 (Decyl Glucoside)
비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코나코파· APG
피부에 자극을 주는 계면활성제를 대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분.
기포력 우수함· 세정력 약함.
옥수수전분· 사탕· 무 등에서 추출한 글루코스 성분과 팜커넬오일· 코코넛오일에서 추출한 데실 알코올 반응으로
얻어진 성분이며 피부에 자극이 적고 작은 거품이 많다.
음이온 계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매우 좋으며 여성 청결제· 유아용물비누· 샴푸· 바디워시 등에 다양하
게 사용된다.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lide)
양이온 계면활성제
동의어: DDAC
세탁력 약함.
섬유 유연제· 대전 방지제· 살균제 등에 사용됨
라우라미도 프로필 베타인 (Lauramido propyl Betaine)
양쪽성 계면활성제
EWG 2 등급
동의어: LPB
코코넛오일에서 추출한 성분이며 샴푸나 바디워시 등 다양한 제형에 사용됨.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미타인L 을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알러지
유발성분이 있어서 대체품으로 라우라미도 프로필 베타인을 사용한다.
코코베타인 설명
코코베타인은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 아미도 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도 프로필베타인 3종류로 분류하는데 라우
라미도 프로필베타인(LPB)이 비교적 안전하다.
고농도에서는 피부를 자극할 수 있는 잠재적인 요인이 있기 때문에 CIR 전문가 패널은 오랜시간 동안 피부에
화장품 성분이 남아 있는 경우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 3% 초과해서 사용하면 안 된다고 권고한다.
대표적인 코코베타인 3종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 (Cocamidopropyl Betaine) CAPB / 4등급. 양성이온 -아미도 프로필베타인(Amidopropyl Betaine) / 4등급. 양성이온 -라우라미도 프로필베타인 (Lauramidopropyl Betaine) LPB / 2등급. 양성이온 |
라우라민옥사이드 (Lauramine Oxide) 친수제
EWG 1~2 등급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거품촉진 및 착향제· 모발 컨디셔닝제 등에 사용됨.
바디워시· 주방세제· 세탁세제 등에 사용하면 좋음.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Lauryl Glucoside)
비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기포성 약함· 세정력 우수함.
피부에 자극이 있는 설페이트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대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분이며 코코넛오일 등 라우릴
알코올과 옥수수· 감자전분 등에서 추출한 글루코오스의 축합반응으로 생산된 원료이며 피부에 자극이 적고 데
실 글루코사이드 보다 점도가 높으며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등의 계면활성제와 섞어서 사용하면 풍성한 거품과 세정
력이 높다.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Sodium laureth sulf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3~6 등급
동의어: SLES· LES
기포성과 세정력 우수함
미색투명 액상이며 원료 값이 저렴함.
피부에 자극적인 계면활성제로 알려져 있다.
샴푸· 바디워시· 주방세제· 세탁세제 등 폭넓게 사용됨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SLS
샴푸· 주방세제 등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며 일부 사람에게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지만
주로 사용 후에 씻어 내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성분이며 세계보건기구 (WHO)· 국제 암연구기관 (IARC)· 미국 환
경보호청 (EPA) 및 유럽 연합 (EU)과 같은 여러 국제기구의 어떤 기관도 SLES와 SLS는 발암 물질로 분류하지 않
고 있다.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LES)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설명
수년 동안 인터넷 등을 통해서 SLES와 SLS 성분은 암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라고 정확하지 않고 근거 없는 거짓 주장
을 게시하는 잘못된 인터넷 루머가 많이 있었는데 SLES와 SLS 모두 화장품 제조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
SLES와 SLS는 일부 사람에게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지만 주로 사용 후에 씻어 내는 화장품이나 세제류에 사용될
경우 세계보건기구 (WHO)· 국제 암연구기관 (IARC)· 미국 환경보호청 (EPA) 및 유럽 연합 (EU)과 같은 여러 국제기구
의 어떤 기관도 SLES와 SLS는 발암 물질로 분류하지 않고 있다.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SLES) &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LS)
식품의약 안전처의 화장품 위해평가(2018년 6월)에서 인체 위해 발생 우려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국외 독성연구
기관인 IARC· EPA에서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지 않다.
미국 화장품 원료 안전성 평가위원회(CIR)는 사용 후 씻어내는 화장품 사용은 안전하나,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화장품
은 자극성 우려로 1% 농도를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CIR. 1983)
특히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는 sulfated ethoxylated alcohols의 염으로써 자극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했을 때 자극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평가했으며 (CIR. 2010) 발암성에 대한 자료는 불충분하다고 평가했다(CIR. 2005).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는 국내· 유럽· 일본 및 미국 등에서 사용금지나 사용한도 원료로 관리
하고 있지 않다
대한 화장품 협회에서도 이 두 성분의 발암성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증거나 정황상의 증거는 없다고 밝히고 있으며 201
0년 미국 화장품원료검토위원회 (CIR) 전문가 패널도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의 성분으로서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소듐 라우로일 메칠 이세치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코코넛에서 유래된 성분.
기포성과 세정력 우수함
샴푸· 바디워시· 폼 클렌저 등 세제류에 사용됨.
소듐 메칠 코코일 타우레이트(Sodium methyl cocoyl taur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코코넛에서 유래된 성분.
피부 보습에 좋으며 풍부한 거품과 부드러운 세정성분
다른 계면활성제와 섞어서 사용하면 호환이 잘됨
샴푸· 바디워시· 폼 클렌저 등 세제류에 사용됨.
소듐자일렌설포네이트 (Sodium Xylenesulfonate)
친수제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미색투명 액상이며 세정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피부에 자극적인 계면활성제 라 하여 원료의 선택을 기피하고 있다.
샴푸· 치약 등 여러 종류의 세제류에 사용됨.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점도를 나타낼 때 잔탄검(Xanthan Gum)과 혼합이 안 됨.
코코넛 등에서 유래된 성분
순하고 자극이 적은 성분이며 샴푸· 바디워시· 폼 클렌저 등에 사용됨.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Sodium Cocoyl Alani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코코넛 등에서 유래된 성분
조밀하고 부드러운 거품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다.
샴푸· 바디워시· 핸드워시 등에 사용된다.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애플워시
사과에서 유래된 계면활성제이며 별도로 거품 형성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풍성한 거품이 나고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어
서 여성 청결제· 유아용물비누· 샴푸· 바디워시 등에 사용됨.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SCI· 엘판84
코코넛에서 유래된 순하고 부드러운 약산성 성분.
풍부한 거품· 우수한 세정력.
피부에 저자극· 부드럽고 순한 세제류에 사용됨.
젤 타입 세제류를 만들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민옥사이드(amine oxide)
양쪽성 계면활성제
EWG 3 등급
풍부한 거품과 세정력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3 등급
라우레스 설페이트의 소듐염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Ammonium Lauryl Sulf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3 등급
라우릴 설페이트의 암모늄염
알킬벤젠 술폰산나트륨 (Alkyl Benzene Sulfone Natrium)
음이온 계면활성제
동의어: ABS
가격이 저렴하고 세척력이 우수하나 분해가 일어나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켜서 1980년경 사용 금지되었다.
직쇄알킬벤젠술폰산(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동의어: LAS
주방세제· 세탁세제· 식기세척제 등 산업용 세제에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음이온 계면활성제.
LAS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등유· 벤젠· 술폰산 등의 석유 파생물이며 친환경세제류를 제조할 때 사용하지 않는다.
LAS는 ABS사용이 금지 되자 분해가 잘되는 직쇄상의 알킬벤젠술폰산염을 사용하여 대량 제조가 되었으며 LAS 음
이온 계면활성제 한 가지만으로도 세정력이 강하기 때문에 중성세제로 제품화 되어서 광범위하게 제조 유통되고 있다.
코카민 옥사이드(Cocamine Oxide)
친수제
EWG 1~2 등급
우수한 거품형성
모발 컨디셔닝제 등에 사용.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Cocamidopropyl Betaine)
양쪽성 계면활성제
EWG 3~6 등급
거품 형성· 정전기방지· 모발컨디셔닝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um Cocoyl Glycinat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동의어: PCG
코코넛오일 등에서 유래된 성분
풍부한 거품· 저자극 세정력· 보습
헹굼성이 우수하여 잔여물이 남지 않음
아기세정용품 및 민감성 피부용· 모발 컨디셔닝제에 좋음
코코 글루코사이드 (Coco-Glucoside)
음이온 계면활성제
EWG 1~2 등급
코코넛오일과 과일당 성분에서 유래된 성분.
거품과 세정력 우수함.
서로 다른 물질을 활성화 시키는 특징이 있어서 물과 기름이 잘 섞임.
포타슘 코코에이트 (Potassium cocoate)
순비누
EWG 1~2 등급
코코넛오일을 수산화칼륨으로 반응시켜서 만든 계면활성제
순 비누분 많음.
주방세제· 세탁세제· 샴푸 등에 사용됨.
천연비누 인터넷 강좌
회원님 여러분 안녕하세요?
솝엔터테인먼트에서 7월 20일 이후 7월 30일 이전에 투명 비누베이스, 속성 cp비누 제조, 유화수 제조,
천연 주방세제, 천연 세탁세제 제조 강의를 인터넷 영상을 통해서 강의합니다.
교육을 희망하시는 분께서는 수강 신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솝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