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채화의 회화적 특성
수채화가 다른 회화들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회화로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수채화만이 갖고 있는 회화적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수채화의 회화적 특성에 관해 논한다면 한 권의 두꺼운 책으로도 충분치가 않다. 다른 화구와의 비교가 필요하고 수많은 자료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략적이고 중요한 요점만 정리해 보기로 한다.
1) 일획성
수채물감은 매우 예민하여 혼색이 잘못 되거나 채색방법이 잘못되면 어김없이 결과로 나타난다. 단 한 번의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것이 수채화인데 이로 인해 그리는 사람의 순간적인 심리상태까지도 읽어낼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수채화 중에도 투명수채화가 다른 화구에 비해 가장 어렵고 까다롭다는 것도 바로 이런 점에서 영유된 것이다. 투명하고 신선한 맛도 단 한 번의 실수로 생기를 잃는 경우가 많다. 다시 물로 씻어 낸다는 것도 문제가 있고 유화처럼 겹쳐서 다시 그릴 경우 혼탁한 느낌과 이질감을 줄 수 있다. 강도 높은 집중력이 요구되므로 철저한 준비와 계획성도 필요로 한다.
2) 즉흥성과 직관성
다른 화구에 비해 제작 시간이나 표현 기법상에서 빠른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리는 사람의 기분이나 심리상태, 그리고자 하는 대상 등을 통한 느낌이나 감정, 또는 사상을 즉흥적이고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수채화의 특징 중 하나이다.
3) 물에 의한 유기적인 맛
물에 의해 용해된 안료가 물의 흐름을 따라 어우러지면서 이루어내는 표현 또한 수채화만이 갖고 있는 회화적 륵성 중의 하나이다. 유화에서도 기름을 많이 사용하여 비슷한 효과를 낼 수는 있으나 수채화의 그 맛과는 차이가 있다.
4) 시간 조절(Timing)
채색 방법상의 특성인데 채색 후의 겹침이나 번짐의 효과 등을 얻기 위해서는 물기가 마르는 시간대를 잘 파악하여야 한다. 마르는 정도에 따라 표현되어진 결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많은 경험과 예민한 감각을 요구하는 특성 중의 하나이다.
5) 다양한 기법과 표현 능력
수채화의 개념에서 다룰 내용이지만 수채화로도 많은 기법들이 가능하다. 특히 표현기법의 종류는 매우 다양해서 현재 국내외 작가들이 사용하는 기법의 종류를 분석해 보면 50여 가지도 넘는다. 앞으로도 새로운 기법이 계속 연구되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는 행위를 꼭 붓에만 의존하지 않고, 또 여러 가지 다른 재료들을 혼합하여 사용했을 때 그 범위는 확산이 가능한 것이다.
6) 밝고 경쾌하고 투명한 특성
전반적인 특성인데(두터운 마티에르(impasto: 채료를 두껍게 칠하기; 두껍게 칠한 채
(彩料)의 불투명 수채화를 제외한) 특히 투명수채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투명수채화는 말 그대로 투명한 느낌과 맑고 경쾌함을 생명으로 여긴다. 투명하다는 것은 속의 것이 비춰 보인다는 의미를 갖는다. 물감의 안료 층이 얇기 때문에 광선이 색채의 피막을 통과하여 종이에 반사되어 우리 눈에 맑고 경쾌하게 느껴지는 것이 투명수채화이다.
7) 원화 모방이 불가능한 Original의 가치
복사판 그림들이 종종 진품에 대한 희소성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혼란스럽게 만드는 예가 있다. 수채화에서도 비교적 쉽게 모방할 수 있는 종류의 그림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수채화가 갖고 있는 회화적 특성인 일획성이나 즉흥성, 직관성, Timing, 유기적인 물의 맛이나 오묘한 농담과 톤(色調), 칼라의 변화 등을 완벽하게 모방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책의 도면을 촬영해 올렸기에 사진은 원본과 많이 다릅니다.)
(참고도서) 미술신서21- 풍경수채화의 세계/ 전성기/ 도서출판 재원/ 2007
첫댓글 감사합니다. 최상순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