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月律分野 支藏干 表 | ||||||||||||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初期 | 壬 10 | 癸 9 | 戊 7 | 甲10 | 乙 9 | 戊 7 | 丙 10 | 丁 9 | 戊 7 | 庚 10 | 辛 9 | 戊 7 |
中期 |
| 辛 3 | 丙 7 |
| 癸 3 | 庚 7 | 己 9 | 乙 3 | 壬 7 |
| 丁 3 | 甲 7 |
正氣 | 癸 20 | 己 18 | 甲 16 | 乙 20 | 戊 18 | 丙 16 | 丁 11 | 己 18 | 庚 16 | 辛 20 | 戊 18 | 壬 16 |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 중 천간(天干)을 천원(天元), 지지(地支)를 지원(地元), 지지 속에 감추어진 천간(天干)을 인원(人元)이라 하는데 인원을 지장간(支藏干)이라고도 한다. 고로 지장간(支藏干)이란 지지(地支) 속에 숨어있는 천간(天干)이라는 뜻이다. 예컨대 子중에는 壬水와 癸水가 있고 丑중에는 癸水와 辛金과 己土가 있는 것이 그것이다. 지장간은 용신을 잡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육친을 이해하는데도 긴요하게 쓰이는 것으로 꼭 알아두어야 한다.
1년은 12개월이고 1개월은 30일이며 또 1년은 4계절로 나뉘듯이 1개월도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가 있다. 여기(餘氣)란 전월(前月)의 기(氣)가 아직 남아 있음을 나타내고 중기(中氣)란, 여기(餘氣)와 정기(正氣)의 중간을 나타내며 정기(正氣)란 해당 월(月)의 주인이며 기(氣)가 가장 무르익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지(地支)의 오행과 같은 천간을 사용한다.
연중 12월에 십이지지를 배대(配對)하고 각 월중에 교가(交加)되어 있는 오행을 장간(藏干)으로 표시하면 위의 表와 같다.
하늘에 펼쳐지는 천간의 기운은 순수한 기운으로 우리의 눈으로 직접 보고 확인할 수 있으나 땅은 그 속에 무엇을 감춰놓고 있는지 파헤쳐 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다.
지지는 그 성분이 순수하지가 않고 여러 가지 성분이 모여 만들어진 것인데 이런 현상은 엄밀히 말해 성분이라기 보다 지지의 작용력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지장간은 사주해석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므로 반드시 암기해 두어야 한다.
위의 표에서 보면 지장간은 여기, 중기, 정기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미월(未月)에는 초 9일간은 丁火가 주재(主宰)하고 다음 3일간은 乙木이 주재(主宰)하며 뒤의 18일간은 己土가 주재한다.
입춘절을 지지로 표현할 때에는 인목(寅木)으로 代하는데 입춘절은 12월(소한) 축절(丑節)의 계속이므로 축토의 여기(餘氣)가 인목(寅木)의 입춘절에 잔재(殘在)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월(寅月)의 초기인 여기(餘氣)는 무토(戊土)가 7일간 유(留)하고 인목(寅木)의 본래의 성품은 양목(陽木)이니 본기(本氣)인 정기(正氣) 갑목(甲木)이 16일간을 주관하며 갑목정기(甲木正氣)와 무토여기(戊土餘氣)와의 어간(於間)에 양자를 소통하는 병화(丙火)가 있으니 이것을 중기(中氣)라고 한다. 축토의 정기가 己土이니 寅의 초기가 己土인 것이나 음토인 기토가 양토로 변하여 戊土가 되므로 인목의 여기로 잠재해 있는 것이다.
미토의 예를 보면 그 정기가 기토이고 여기는 오화의 정기인 음화丁이며 중기는 을목이다. 따라서 입춘절에 들어온 後라도 7일이 경과하지 못하였으면 무토가 주관하는 때이므로 무토가 왕기(旺氣)를 띠었다고 보며 후술할 용신을 구할 때에도 무토를 중시한다. 또 입춘일 이후 제8일로부터 14일 사이에 출생하였으면 丙火가 왕한 때이니 차인(此人)의 인원(人元)과 수기(受氣)는 병화로 취용하며 입춘일로부터 15일 이후 16일간은 甲木정기가 왕성하니 갑목을 바야흐로 취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월령의 지지에 암장되어 있는 장간(藏干) (인목(寅木)중에는 戊丙甲이 장간이고 未土중에는 丁乙己가 藏干이다)은 어느 때이든 타지지의 장간보다 수배(數倍) 왕성하며 특히 정기는 그렇다. 장간이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투출된 장간은 특히 왕성하니 우선적으로 취용하게 된다.
지장간은 운명에 중대한 영향력을 해사하는 것이나 역시 격국과 용신의 여하에 따라서 그 취용이 좌우되므로 일정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淵海子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