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대표적인 기도문
❴나무 아미타 불, 나무 관세음 보살❵
▣단어 풀이
◉나무⇨ 귀의, 경례
◉아미타佛⇨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불법을 설한다는
대승 불교의 부처.
◉관세음 보살⇨ 모든 것을 내려다보시는 지배자
★관세음(觀世音)⇨“위대한 존재, 위대한 중생”
▣풀이⇨ “극락세계에 있는
대표적인“아미타 불(부처님)”과
“관세음 보살님”에 귀의 한다“는 의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천수경)❵
▣『천수경』은
입으로 지은 업(죄)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참된 말인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으로 시작되는데
그 말이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이다.
▣“수리(길상존吉祥尊)수리 마하(大)수리
수수리 사바하(성취)”의 본뜻은
“길상존이시여 길상존이시여
지극한 길상존이시여
원만, 성취하소서”가 되는데,
이 내용을 세 번 연거푸 외우면, “입으로 짓는
모든 업을 깨끗하게 씻어낼 수 있다”고 한다.
⋆이 말의 참 뜻을 보면
“수리”는 “길상(吉祥, 좋은 일)”이라는 뜻으로
수리.수리⇨좋은일이 있겠구나,좋은 일이 있겠구나!
마하 수리⇨ 아주 좋은 일이 있겠구나!
수수리⇨ 지극히 좋은 일이 있겠구나!
사바하⇨ 아! 기쁘다!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은 대승불교의 모태가 되는
총 600권 분량의 반야경을 260자로 추린 경전이다
반야경의 앞부분 내용은 금강경이 되고,
뒷부분 내용은 반야심경이 되었다.
▣반야심경의 대표적인 기도문 8자
( “마하반야바라밀다”)의 뜻은
“분별과 집착을 떠난 크고 뛰어난 지혜의 완성”이다
⋆마하⇨ 크다, 반야⇨ 지혜, 바라밀다⇨ 완성
▣“아제 아제 바라아제”⇨반야심경의 마지막구절로
"가자 가자 저 높은 곳으로 가자"란 뜻
❴옴마니반메흠❵⇨
자비를 베푸어서
온세상 번뇌에서 벗어나기를 기원
◉이 여섯 字를
“6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旺眞言)”이라 하는데
우리말로 표현하면
“오! 연꽃 속의 보석이여!”라는 뜻이다.
◉이주문은 관세음보살의『자비』를 뜻하는 것으로
이 주문을 지극정성으로 읊으면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해 번뇌와 죄악이 소멸되고,
온갖 지혜와 공덕을 갖추게 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