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9:30 | 슈퍼비전 | 보라매동 실습생 | - D-DAY 활동 관련 사항 공유 | 경청, 공유 |
9:30~12:00 | 기획단 활동 | 보라매동 기획단 | - D-DAY 활동 진행 대본 작성 - D-DAY 참여자 번호표 제작 | 모임 진행, 경청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3:00~14:00 | 마을 인사 | 보라매동 기획단, 지역 주민 | - 마을 선생님과 함께 달고나 재료 구매 | 경청, 관찰 |
14:00~16:00 | 기획단 활동 | 보라매동 기획단 | - D-DAY 활동 규칙표 제작 | 모임 진행, 경청, 관찰 |
16:30~18:00 | 서류 작업 | 보라매동 실습생 | - 활동 일지 작성 - D-DAY 당일 업무분장표 작성 - 참여 신청서 명단 정리 |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기획단 활동 (09:30~16:00)
: 오전에는 D-DAY 활동 진행 시 필요한 대본을 진행자를 맡은 선우, 은성과 함께 작성하였습니다. 아이들이 집중해서 대본을 써준 덕분에 예상보다 진행 대본 작성을 일찍 마칠 수 있었습니다. D-DAY 활동 참여자들의 팀을 나누고 구별하기 위한 번호표도 만들어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 오후에는 기획단 아이들이 달고나 재료를 구매하였는데 이때, 실습생 선생님들과 기획단 아이들이 달고나를 만들기 위한 재료, 재료의 양 등을 잘 가늠하기 어려워 지역 주민분께 도움을 부탁드려 같이 장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재료 구매 후에는 공유공간으로 돌아와 D-DAY 활동 게임 규칙표, 안전 조심판 등 활동 시 사용할 시각적 자료를 만들었습니다.
어김없이 열리는 종이접기 교실입니다 ~,~ 튤립은 강우가, 하트는 민주가 접어줬어요 우하하
서류 작업 (16:30~18:00)
: 기획단 활동을 마치고 복지관으로 복귀하여 서류 작업 시간과 함께 타 동에서 실습 중인 동료 선생님들과 오늘의 활동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시간 동안 오늘의 활동 일지를 작성하고, D-DAY 당일 업무분장표, 참여 신청서 명단 등 D-DAY 활동에 대해 준비를 하였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복지관에서 도보 약 20분 거리에 마련된 보라매동 공유공간
: 전날 사전 리허설을 하며, D-DAY 당일 메인 진행을 맡은 선우와 은성이와 진행에 관해 이야기하다 보니 이전에도 대본 작성을 했었는데 이번에도 필요하다고 하여 오늘 아침 일찍 대본을 쓰기 위해 모였습니다. 오전 9시 30분이라는 이른 시간에 복지관으로 오기로 했더니 선우가 복지관까지 혼자 오기 어려웠는지 은성이에게 “내일 같이 가자”라고 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이전 복지관에서 활동 후 헤어졌을 때 결이와 주아가 집에 가기 위한 버스를 잘못 탔던 것도 그렇고 버스를 혼자 타고 오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도 그렇고 복지관은 당사자의 근처에 있어야 하는 이유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평소에는 공유공간에서 활동하다가 가끔 복지관으로 스스로 이동해보는 것이 아이들의 ‘마을’이라는 공간을 넓히고 마을을 탐방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당사자에게 공유공간은 이용하기 가깝다는 장점 외에는 복지관 시설을 완전히 이용할 수 없다는 점, 직원들과 빠른 소통이 어렵다는 점과 같은 단점이 많다고 생각하였는데, 아이들에게는 다른 동으로 이동하는 경험, 보호자 없이 대중교통을 타는 용기, ‘집 근처’의 공간을 넓히는 계기 등을 줄 수 있는 것은 복지관이 아닌 공유공간에서 활동하기에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획단 활동 준비 “근데 진행할 때 우리 기획한 이유도 설명하면 좋을 것 같아요.”
: 진행 대본 작성은 선우와 은성이가 제 양옆에서 이야기해주면, 제가 그 말을 노트북에 받아적고, 아이들이 막힐 때면, 우리 활동의 진행 흐름을 다시 한번 이야기해주고 그걸 들은 아이들이 또 이야기를 해주는 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기서도 선우와 은성이의 성격이 드러났는데, 둘이 사전에 이야기한 것도 아닌데 은성이가 전체적인 진행 흐름을 위한 이야기를 하고 제가 그걸 받아적으면 선우는 그걸 보면서 조사 하나, 단어 하나 섬세하게 바꾸며, 추가적으로 더 넣었으면 하는 내용들을 전달해주었습니다.
이때 선우에게 가장 놀랐던 부분은 “근데 진행할 때 우리 기획한 이유도 설명하면 좋을 것 같아요”라면서 프로그램 목적에 대해 넣고 싶다는 이야기를 정확하게 짚었다는 점입니다. “그럼 우리가 이거 왜 기획했지?”하고 물으니 옆에 있던 은성이가 “동네에 있는 다른 사람들이랑 친해지려고요”라고 고민하지 않고 답했습니다. 이렇게 대본에 중요한 내용을 다 넣어준 이미 진행 경험이 있는 선우와 그걸 봐 온 은성이 덕분에 저는 대본 작성할 때 활동 흐름 알려준 것과 말을 노트북에 받아적은 것 외에는 별다른 도움을 준 것도 없었습니다. 이후 아이들이 작성한 대본을 보니 수정하거나 추가할 부분도 거의 없었습니다. 첫 회의 때 제자리에 앉아있는 것도 싫어하던 아이들이었는데 언제 이렇게 믿음직스러워졌는지 모르겠습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2월의 크리스마스’
: 우리 활동은 아이들의 의견에 따라 ‘오징어게임’을 참고하여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이때 꼭 들어갔으면 한 ‘오징어게임’의 게임은 ‘달고나 뽑기’였습니다. 우리의 활동을 위해서는 ‘달고나’가 필수적으로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저와 지환 선생님은 달고나를 만들 줄 모르고, 아이들 9명과 함께 불을 다루는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꼈기에 달고나를 만들 줄 아시는 지역 주민들과 함께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아이들에게는 마을 선생님이 되어주실 지역 주민분들 중 한 분께서 아이들과 함께 달고나 재료를 사기 위해 마트에 와주셨습니다. ‘달고나 만들기’ 활동은 다음 주 월요일이고 오늘은 그저 재료만 사면 돼서 장시간 한곳에 머무는 활동도 아니었는데 선뜻 나와주시고 도움을 주신 것이 정말 감사했습니다. 달고나를 8~90개 만들어야 할 것 같다는 말에 지역 주민께서는 “그럼 설탕 3kg 모자랄 것 같은데 5kg 할까요?”, “식소다는 싸니까 좀 여유 있게 사도 돼”라는 등 거침없이 재료를 얼마만큼 사면 좋을지 말씀해주셨습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일회용 접시 있어요? 달고나 식히려면 접시 필요한데 플라스틱은 녹아. 호일로 되어있는 거”라는 등 우리가 놓치고 있던 부가적으로 필요한 재료도 챙겨주셨습니다. 아이들은 마을 선생님의 옆에서 말씀을 듣고 있다가 필요한 재료를 말해주시니 은성이는 “설탕 칸은 이쪽이었어요, 제가 알아요. 따라오세요!”라며 그 재료를 빠르게 찾아오기도 하였습니다. 이를 보며, 마을 사람들끼리 세대를 넘어 소통할 수 있는 계기는 다양하고 사소한 방법으로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운 하루였습니다.
2) 보완점
- 오늘은 없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아이들과 활동할 때, 아이들이 저에게 서운한 언행을 할 때 어떤 식으로 반응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슈퍼바이저 선생님께서는 이러한 경험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첫댓글 활동의 목적을 넣는 것이 좋겠다 제안한 선우와 그 목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은성이!
‘2월의 크리스마스‘는 아이들이 만들어가고 있다는 게 느껴집니다.
점심시간에 은성이, 선우와 잠깐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은성아, 선생님 기억해?” 물어봤고 한참을 고민하던 은성이는 제가 성현동 실습생이라는 것을 떠올렸습니다. 저희 D-Day에 와서 봤는데 어떻냐고 물어봤는데, 은성이는 “재밌었어요~ 근데 저희 팀이 준비한 게임이 더 재밌을 걸요?? 저희는 50명이나 신청했어요!! 대박이죠?“라고 말했습니다.
처음 은성이와 이렇게 말해보는 거였는데, 보라매동팀 선생님이 함께있지 않았음에도 대화가 끊기지 않았어요.
명지쌤! 은성이와 선우가 엄~청 D-Day를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어요. 아이들의 자신감을 확인하니 저도 너무 기대됩니다 :)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