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01호 : 仁同장씨 先世 紅白牌 : 영주군 # 502,604.
제502호 : 張末孫 영정 : 영주군, 조선15세기.
제503호 : 명량대첩비 : 진도대교부근, 이충무공유적보존회.
제504호 : 영광 신천리 삼층석탑 : 고려, 3.5m
제505호 : 담양읍 石幢竿 : 고려헌종, 15m.
제506호 : 담양읍 오층석탑 : 고려, 7m.
제507호 : 無爲寺 선각대사 遍光塔碑 : 강진군 # 국보13.
제508호 : 예산 삽교 석조보살입상 : 고려
제509호 : 구례군 논곡리 삼층석탑
제510호 : 칠곡 箕城洞 삼층석탑
제511호 : 청원 桂山里 오층석탑 : 신라
제512호 : 丹湖寺 철불좌상 : 충주 단호사, 고려.
제513호 : 영천 선원동 철불좌상 : 고려
제514호 : 은해사 운부암 청동보살좌상 : 영천 은해사, 높이 1m.
제515호 : 淑愼翁主家 垈賜給成文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태종1년.
제516호 : 대구 戊戌銘(무술명) 塢作碑 : 경북대, 신라.
제517호 : 영천 菁提碑(청제비) : 신라
제518호 :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 신라 最古의 청석탑.
제519호 : 관용사 석조여래좌상 : 창녕, 관용사.
제520호 : 술정리 서삼층석탑 : 창녕, 통일신라
제521호 : 崇烈堂 : 영천, 조선후기
제522호 : 陶山書院圖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영조 33년,
제523호 : 석보상절(7책) : 대한교과서(주), 조선
1)권6,9,13,19:국립중앙도서관
2)권23,24:동국대학교 3)권11:심재완
제524호 : 正德癸酉司馬榜目 : 옥산서원,조선중종.
제525호 : 三國史記(50권) : 옥산서원, 조선중종(1512년 간행본), #723.
제526호 : 海東名蹟(상권 20매,하권23매) : 월성안강,조선중종
제527호 : 檀園 風俗圖帖(25폭) : 국립중앙박물관, 1795년(51세)작품으로 김홍도의
조선후기 풍속화를 대표하는 명품 [서당][씨름]등 각 27*22cm.
# 국보 139호,보물782.
제528호 : 청풍 寒碧樓 : 청풍문화재단지. 고려 충숙왕때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하면서
세운 관아의 부속건물. 시인묵객이 예찬하던 유서깊은 누각.
제529호 : 금골산 오층석탑 : 진도군 둔전리, 고려하대.
제530호 : 가섭암지 마애삼존불상 : 거창군, 고려.
제531호 : 龍門寺 正智國師 부도 및 탑 : 경기양평, 태조7년(1398)
제532호 : 寧國寺 부도 : 충북 금산, 고려 10세기.
제533호 : 寧國寺 삼층석탑 : 上同
제534호 : 寧國寺 원각국사비 : 上同
제535호 : 寧國寺 망탑봉 삼층석탑 : 上同
제536호 :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 고려초의 대표적 장륙불상(1장6척)
제537호 : 아산 읍내리 당간지주 : 410cm
제538호 : 홍성 동문동 당간지주 : 고려중기. 480cm.
제539호 : 龍淵寺 石造戒壇 : 달성군 옥포면, 광해군(1613)
제540호 : 洪川 掛石里(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 : 홍천군청, 고려, 3m.
제541호 : 洪川 物傑里 석조여래좌상 : 통일신라, 높이 1.1m.
제542호 : 洪川 物傑里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상동, 1.8m
제543호 : 洪川 物傑里 불대좌 : 상동, 93.5cm.
제544호 : 洪川 物傑里 불대좌 및 광배 :
제545호 : 洪川 物傑里 삼층석탑 : 상동, 4m.
제546호 : 청풍 석조여래입상 : 청풍문화재단지, 신라말 10세기.
제547호 : 예산 김정희 종가유물일괄 : 예산 신암면, 서울 등. 조선후기, 4種.
제548호 : 退陶先生 筆法 一冊 附 退溪先生遺帖 : 국립대구박물관.
제549호 : 안동 權柱 종가문서 : 안동 풍천면, 조선중종4년.
제550호 : 周易淺見錄 : 서울 이겸노, 조선세종.
제551호 : 詩用鄕樂譜 : 서울 이겸노, 조선성종.
제552호 : 資治通鑑鋼目 : 서울 강태영, 조선세종 20년.
제553호 : 예안 이씨 종가 : 안동군 풍산읍, 조선초.
제554호 : 太古停 : 달성군, 조선성종 10년.
제555호 : 平底 舟形土器(주형토기) : 호암박물관, 가야시대(5-6세기), 길이27.9cm.
제556호 : 신발토기 : 호암박물관, 가야시대(5-6세기), 길이23.5cm.
제557호 : 金製 太環耳飾(굵은고리 귀걸이) : 호암박물관,
가야시대(5-6세기), 길이9cm.
제558호 : 청자상감운학모란국화문매병 : 호암미술관, 고려12세기, 높이31.2cm.
제559호 : 칠기바리(有紋漆盂.유문칠우) :호암미술관
낙랑시대, 1-2세기. 傳 평양 석암리 출토. 칠을 입힌 그릇에 화려한 채화와 청동제 손잡이
가 있으며, 낙랑의 지배층이 사용한 漢代의 작품.
제560호 : 진솔선예백장銅印 :호암미술관
원삼국시대(3세기), 영일군 출토, "진솔선예백장"이라는 전서체 글자 음각.
제561호 : 금영 측우기 : 경희궁
제562호 : 환성사 대웅전 : 경산군,조선초.
제563호 : 흥국사 虹橋(홍교) : 여천시 흥국사, 조선 인조17년, #578.
제564호 : 영산 萬年橋 : 창녕군 영산면
제565호 :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평택 봉림사.
제566호 : 西坰 영정(71세상) : 괴산 유해익, 17세기.
제567호 : 萬奇寺 철조여래좌상 : 평택 만기사.고려
제568호 : 윤봉길의사 유품일괄 : 충남 덕산 충의사. 13종68점.
제569호 : 안중근의사 유묵(옥중 휘호 20점 일괄) : 성북구 정능동, # 1084,1150.
569-21호 : 안중근의사 遺墨 : 2000.2.15지정
569-22호 : 안중근의사유묵 : 안중근의사숭모회, 2000.2.15
569-23호 : 안중근의사유묵 : 안중근의사숭모회, 2000.2.15
569-24호 : 天與不受反受其殃耳 : 2000.2.15
안중근의사가 여순감옥에서 휘호한 것 중 하나로 ㉿天與不受反受其殃耳㉿(천여불수
반수기앙이 : 만일 하늘이 준 것을 받지 아니하면 도리어 그 벌을 받게된다.)
9자를 행서체로 중앙에 縱書하고 좌하에 수장인(手掌印)이 찍혀있다.
(가로 31.7cm 세로 135 cm) 1910.2 순국직전 일본인 나카무라에게 써 줌.
569-25 : 안중근의사 유묵(안중근의사숭모회)
제570-1호 : 傳 고령출토 일괄유물 : 호암미술관, 가야시대(5-6세기).
은제 고리자루 큰칼(銀製 環頭大刀) 일괄 외
제570-2호 : 금동 말띠 꾸미개 각종(金銅雲珠 各種) 가야시대(5-6세기)
제571호 : 左水營 대첩비 [및 墮淚碑(타루비)] : 여수, 조선.
광해군7년(1615) 이충무공이 노량,한산,옥포 등의 해전에서 세운 공적기념비.
타루비는 98.12 보물 제1288호로 분리지정(월간문화재 제174호)
제572호 : 송광사 고려문서(2점)
제573호 : 詩淺見錄 및 書淺見錄 : 서울 이겸노, 고려 공민왕 1년.
제574호 : 海西 暗行日記 : 서울 박인회, 조선 숙종.
제575호 : 대승사 목탱각(木刻幀)(1개) 附 관계문서(4매) : 문경 대승사, 조선19세기.
제576호 : 청동 봉업사 정우5년명 금고 : 연세대학교. 고려(1217)
제577호 : 정통5년명 분청사기상감어문반(盤) : 종로구 남궁연, 조선 세종22년.
제578호 : 흥국사 대웅전 後佛幀 : # 563.
제579호 : 괴산 외사리 석조부도 : 간송미술관.
제580호 : 傳 문경 오층석탑 : 간송미술관.
제581호 : 月城 骨窟 마애여래좌상 : 월성 양북, 통일신라초기.
제582호 : 宣祖2年刊 월인석보판목(31판) : 甲寺, 조선선조. # 256.
제583호 : 全州客舍 : 전주.
제584호 : 尹文孝 公神道碑 : 구례.
제585호 : 퇴우(退尤) 二先生 眞蹟 : 서울 이영재, 조선.
제586호 : 李彦迪 手筆稿本一括(13冊) : 안강 옥산서원.
제587호 : 筆岩書院 文書一括 : 장성 황룡면,
필암서원은 사적 제242호로 김인후(1510-1560)가 주도함.
제588호 : 姜民瞻(강민첨) 영정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제589호 : 강현 영정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경종1년.
제590호 : 姜世晃 영정(2폭) : 국립중앙박물관, 1)강세황 자필본
2)李明基 필본.
제591호 : 석씨원류 응화사적책판 : 동국대학교.
제592호 : 許穆 手稿本(3종 12책) : 서울 허정.
제593호 : 이상좌 佛畵帖 : 서울 허정, 조선.
제594호 : 최덕지 영정 및 油紙草本 : 영암(진주최씨 문중), 조선 문종2년.
제595호 : 초충도수병(草 圖繡屛) : 동아대박물관.
제596호 : 결 번 (궁궐도는 국보 249호로 흡수)
제597호 : 隆起文 土器 : 동아대박물관, 신라.
제598호 : 馬頭飾 角杯 : 동아대박물관, 삼국시대.
제599호 : 雙字 勝字 銃筒(총통) : 동아대박물관, 조선(1583).
제600호 : 광주 藥師庵 석조여래좌상 : 광주 증심사, # 131.
제601호 : (동화사) 달성 도학동 석조부도 : #243.
제602호 : 李珥 手筆 擊蒙要訣 : 강릉시 죽헌동, 선조(1577) 이이 저술.
제603호 : 정덕계유 문무잡과 방목(榜目) : 강릉시 홍제동, 중종(1513)제작.
제604호 : 적기공신 張末孫 상훈교서 : 영주군 장수면.
제605호 : 고령 양전동 岩刻畵 : 선사시대.
제606호 : 직지사 대웅전 앞 삼층석탑
제607호 : 직지사 비로전 앞 삼층석탑
제608호 : 위봉사 보광명전 : 전북 완주, 백제 무왕5년.
제609호 : 화천동 삼층석탑 : 영양읍, 신라.
제610호 : 현일동 삼층석탑 : 영양읍, 신라.
제611호 :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 고양군, 고려우왕 11년.
제612호 : 영월 흥령사 證曉대사 보인탑비 : 영월 法興寺
고려혜종(944),화강석, 4.06m.
제613호 : 보한재 영정 : 청원군 고령신씨문중.
제614호 : 泗川 埋香碑(매향비) : 경남사천, 조선초.
제615호 : 강화 하첩면 석조여래입상
제616호 : 영천 향교대성전 : 조선세종 15년.
제617호 : 경주 천마총 金製 나비형(蝶形) 금관장식(冠飾) :
천마총,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제618호 : 경주 천마총 金製 조익형(鳥翼形) 冠飾 : 천마총,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제619호 : 경주 천마총 목걸이(頸飾) : 천마총,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길이63cm.
제620호 : 경주 천마총 유리잔(琉璃杯) :천마총,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제621호 : 경주 천마총 金銅製 鳳凰環頭大刀 :천마총,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제622호 : 경주 천마총 靑銅製 초두( 焦斗) :천마총,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제623호 : 金製釧, 指環 (98호 북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24호 : 琉璃製台 附 杯 (98호 북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25호 : 銀製冠飾 (98호 북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26호 : 金製高杯 (98호 북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27호 : 銀製盞(잔) (98호 북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28호 : 銀製盞 銀製盒 金製盒 (98호 북분) : 국립경주박물관, 盒은 유개식기.
제629호 : 金製과대, 腰佩(요패) (98호 남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30호 : 金製 조익형(鳥翼形) 冠飾 (98호 남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31호 : 銀冠 (98호 남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32호 : 銀製脛甲 (98호 남분) : 국립경주박물관
제633호 : 경주 미추왕릉 금제수식 : 국립경주박물관
제634호 : 경주 미추왕릉 상감 유리옥 附 경식 : 국립경주박물관
제635호 : 경주 미추왕릉 금제장식보검 :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길이36cm.
제636호 : 경주 미추왕릉 瑞獸形 토기 : 국립경주박물관, 5-6세기, 높이14cm.
제637호 : 車輪飾 토기 : 국립진주박물관
제638호 : 기사계첩(耆社契帖) : 이화여대, 조선경종
1719년 숙종때 있던 계회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
제639호 : 기사계첩(耆社契帖) : 천안.
제640호 : 人天眼目 : 서울 이겸노.
제641호 : 禪宗永嘉集(영가집) : 서울 이겸노, 고려 우왕7년 .
제642호 : 城石片 : 이화여대, 고구려 평양성 축성시 刻字한 城石의 하나.
제643호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호암미술관,
삼국시대(신라 7세기). 높이 11.5cm.
제644호 : 청화백자 송죽인물문호(壺)
제645호 : 백자철회 운룡문호 : 이화여대, 조선시대.
제646호 : 청자상감 상약국명 합(盒) : 한독약품박물관.
제647호 : 가정을유명 天字銃筒(총통) : 육군박물관, 1555년 梁內了同제작, 임난시 사용.
국내 最古 현자총통 (#885 참고)
제648호 : 만력을묘명 승자총통 : 국립중앙박물관
제649호 : 戊寅銘 석불상 부 대좌 : 연기군 연화사, 통일신라(678).
제650호 : 七尊石佛像 : 연기군 연화사, 통일신라.
제651호 : 익산 연안이씨 宗中문적(일괄) : 연안이씨 충간공 종중, 조선초, 이승원(1428-1491)
제652호 : 병와遺稿(일괄) : 영천 이수창.
제653호 : 刺繡四季盆景圖 : 서울자수박물관.
제654호 : 刺繡袈裟(자수가사) : 서울자수박물관.
제655호 : 성주노석동 마애불상군 : 칠곡군, 통일신라.
제656호 :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륭탑 앞 사자석등 : 국보 제197참조. #658.
제657호 : 三川寺址 마애여래입상 : 서울은평구, 고려초.
제658호 :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륭탑비 : 국보 제197참조. #656
제659호 : 백자청화매죽문병 : 서울 김형익, 조선초.
제660호 : 최의량 壬亂捷報書目(첩보서목) : 광주 최윤도, 선조31년.
제661호 : 상주 石刻 天人像 : 경북 상주, 통일신라.
제662호 : 화암사 雨花樓 : 전북완주 화암사, 조선초.
제663호 : 화암사 극락전 : 전북완주 화암사, 조선초.
제664호 : 安心寺 대웅전 : 청원군 안심사, 조선인조4년.
제665호 : 狼山 마애삼존불 : 경주, 통일신라.
제666호 : 慶州 三陵溪 石佛坐像
제667호 : 한천사 철조여래좌상 : 예천군 한천사, 통일신라후기.
제668호 : 權應銖 將軍 遺物(일괄) : 영천 권오현, 조선선조.
제669호 : 鄭起龍 將軍 遺物(일괄) : 상주시
제670호 : 直旨寺 대웅전 삼존불정화(幀畵) :
제671호 : 郭忘憂堂 遺物(일괄) : 의령군 충익사 기념관, 홍의장군 곽재우 장검 등 유물.
제672호 : 金德遠 墓 出土 衣服(일괄) : 서울 김재호, 조선숙종.
제673호 : 현풍 석빙고 : 달성군, 조선18세기.
제674호 : 有金寺 삼층석탑 : 울진군 유금사
제675호 : 영천 화남동 삼층석탑 : 군위군, 고려
제676호 : 영천 화남동 석불좌상 : 군위군, 고려
제677호 : 長淵寺址 삼층석탑 : 경북
제678호 : 운문사 삼층석탑
제679호 : 금릉 광덕동 석조보살입상 : 고려.
제680호 : 영주 신암리 마애삼존석불 : 영주.
제681호 : 黑石寺 석조여래좌상 : 영풍군 흑석사, 통일신라.
복장유물(복장기,조성권선문,도서,사리,구슬)에서 조선세조 확인.
제682호 : 持寶寺 삼층석탑 : 군위 지보사, 고려초
제683호 :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 : 고려초
제684호 : 용문사 輪藏臺 : 예천군, 조선명종7년.
제685호 : 大方廣佛 華嚴經 晋本(권4) : 서울 조병순
제686호 : 大方廣佛 華嚴經 晋本(권28) : 서울 조병순
제687호 : 大方廣佛 華嚴經 周本(권66) : 서울 조병순
제688호 : 大方廣佛 華嚴經 周本(권17,52) : 서울 조병순
제689호 : 大方廣佛 華嚴經 貞元本(권7) : 서울 조병순
제690호 : 大方廣佛 華嚴經 周本(권6) : 서울 조병순
제691호 : 小字本佛頂心 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 合刻 : 서울 이원기, 고려고종36년.
제692호 : 妙法蓮華經(권7) : 서울 조명기.
제693호 : 小字本 妙法蓮華經(권1-7) : 호암미술관, 고려충렬왕 12년.
제694호 : 佛說 四十三章經 合綴 : 호암미술관, 공민왕.
제695호 : 佛說 四十二章經 合綴 : 호암미술관, 공민왕.
제696호 : 금강반야바라밀경 : 조병순
제697호 : 나옹화상(懶翁和尙)語錄, 나옹화상(懶翁和尙)歌頌 : 호암미술관, 고려우왕 5년
제698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6-10) :호암미술관, 공민왕21년.
제69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6-10) : 서울 조병순.
제700호 : 禪林寶訓(권 상,하) : 호암미술관, 고려
제701호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 호암미술관, 고려우왕 4년.
제702호 : 護法論 : 조병순, 고려우왕 5년.
제703호 : 藏乘法數 : 호암미술관, 고려공양왕
제704호 : 藏乘法數 : 조병순, 고려공양왕
제705호 : 불설대보 父母恩重經 合綴 : 조명기
제706호 : 中庸朱子或問 : 고려대박물관, 고려 공민왕
제707호 : 中庸朱子或問 : 서울 조병순 , 고려 공민왕 20년
제708호 : 及菴(급암)先生 詩集 : 서울 조병순 , 고려 공민왕 19년
제709호 : 설곡시고(雪谷詩藁) : 서울 조병순 , 고려 우왕 2년.
제710-1호 : 東人之文 四六(권1-6, 10-15) : 고려대도서관, 공민왕.
710-2호 : 東人之文 四六(권1-6) : 고려대도서관
710-3호 : 東人之文 四六(권10-12) : 국립중앙도서관
710-4호 : 東人之文 四六(권13-15) : 강태영
710-5호 : 東人之文 四六(권7-9) : 고려대도서관
710-6호: 東人之文 四六(권7-9) : 계명대
제711호 : 東人之文 四六(권1-6) : 고려대박물관, 공민왕.
제712호 : 東人之文 四六(권10-12) : 국립중앙도서관, 공민왕.
제713호 : 東人之文 四六(권13-15) : 서울 이겸노 , 공민왕.
제714호 : 東人之文 四六(권7-9) : 고려대박물관, 공민왕.
제715호 : 金重萬 將軍 影幀 : 언양김씨 안성군파 문중.
제716호 : 순성좌리四等功臣錄券 : 충북대, 조선 성종3년
제717호 : 周世鵬 영정 : 소수서원, 조선중종 30년
제718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문서(일괄) : 전주 이춘제,연산군 8년.
제719호 : 圓覺類解(권3) : 동국대, 공민왕.
제720호 : 금강반야경 소찬요조현록(권 상,하) : 동국대, 고려우왕.
제721호 : 금강반야바라밀경 : 동국대.
제722호 : 三國史記(권44-50) : 조병순
제723호 : 三國史記(권1-50)<) 金富軾(1075-1151)이 1145년에 選進한 현존 50권본 2종중의 하나로 紀傳體 正史.> : 이병익
제724호 : 星州 都氏 宗中文書 : 논산
제725호 : 南原 楊氏 宗中文書 : 순창, 공민왕4년
제726호 : 昌山君 張寬의 원종공신록권 : 정주, 조선태조4년.
제727호 : 南陽 田氏 宗中文書 : 강경.
제728호 : 薛氏夫人 勸善文帖 : 순창, 조선
제729호 : 예천 용문사 敎旨 : 조선세조3년.
제730호 : 佛影寺 應眞殿 : 울진, 정면3칸과 측면2칸의 아담한 다포계맞배집. 조선중기
제731호 :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 동아대, 통일신라.
제732호 : 趙大妃 四旬稱 慶陳賀圖屛(경진하도병) : 동아대, 조선헌종13년.
제733호 : 憲宗 嘉禮圖屛 : 동아대, 조선헌종10년.
제734호 : 해인사 高麗刻板
제735호 : 부석사 高麗刻板(대방광불화엄경 진본,주본,탁원본)
제736호 : 淨名經集解關中疏(정명경집해관중소) : 동국대
제737호 : 佛祖歷代通제 : 담양군, 조선.
제738호 : (통도사)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 고려우왕12년.
제739호 : 고희(高曦)外 문중유물 : 전북부안, 조선중종17년.
제740호 : 감지은니 보살선계경(권8) : 동국대, 고려(1280)
제741호 : 閔哀大王 石塔舍利壺 : 동국대,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출토.
제742호 : 납석 삼존불비상 : 동국대, 통일신라.
제743호 : 正祖御筆 芭蕉圖(파초도) : 동국대, 조선정조
제744호 : 正祖御筆 菊花圖(국화도) : 동국대, 조선정조
제745호 : 月印釋譜. # 보물제935호 : 월인석보 권 11.12.
세조가 1457년 요절한 왕세자 도원군과 세종의 명복을 빌기위해 김수온 등을
시켜 2년에 걸쳐 완성한 것. 세종이 지은 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넣고 세조
자신이 지은 釋譜詳節을 해설처럼 곁들임. 중세 국어연구의 중요한 자료.
1)권1.2 서강대 2)권7.8 동국대 3)권9.10 김민영 4)권13.14 연세대
5)권17.18 수타사 (국립춘천박물관) 6)권21 심재완 7)권22 김종규. 8)
9)권25 (97.6.11지정, 이번 발견으로 월인석보가 총 25권임을 확인)
# 97.7.16 권4(1459년,초간본).권15(16세기중엽 중간본) 발견
10)권15(2000.12.22 지정): 세조5년(1459)에 목판으로 간행된 초간본.전북구암사
제746호 : 성석린 좌명공신王旨 : 진안 성병도, 조선태종2년.
제747호 : 최문병 義兵將 鞍裝(안장) : 경산 영천최씨문중, 조선.
제748호 : 慶國寺 木刻幀 : 성북구 경국사
제749호 : 太古寺 圓證국사탑 : 북한산 태고사.
제750호 : 居頓寺址 삼층석탑 : 부론 정산리, 높이 4.5m
(高麗寫經 : 751-757)
제751호 : 紺紙銀泥(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貞元本(권34) : 호림박물관.
제752호 :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입불사의해탈경계 보현행원품 貞元本(권34)
: 호림박물관. 고려충숙왕.
제753호 : 상지(橡紙)금니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권 상,하) : 호림박물관,고려.
제754호 : 紺紙銀泥(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권37) : 호림박물관. 고려
제755호 : 紺紙銀泥(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권5,6) : 호림박물관. 고려
제756호 : 감지금니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 : 호림박물관. 고려
제757호 :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46) : 통도사.
제758호 : 南明泉 和尙 송증도가 : 서울 김종규, 고려.
제75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1-10) : 송성문
略"수능엄경" # 국보212 참고.
제760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1) : 조병순
제761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2,5) : 서울대
제762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7-8) : 동국대
제76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7-10)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제764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2-4,6-10) : 임창순
제765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11권11책) : 서울대.
제766호 : 묘법연화경(권4-7) : 임창순
제767호 : 蒙山和尙 法語略錄 : 동국대
제768호 : 蒙山和尙 法語略錄 : 이겸노
제769호 : 蒙山和尙 法語略錄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제770호 : 牧牛子修心訣 : 서울대, 조선세조.
제771호 : 반야바라밀다심경략소 : 서울대, 조선세조.
제772-1호 : 금강경삼가해(권1.5)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772-2호 : 금강경삼가해(권2-5) : 서울대학교규장각
772-3호 : 금강경삼가해(권1) : 보림사
772-4호: 금강경삼가해(권2) : 계명대학교
제773호 : 금강반야바라밀경(권2-5) : 서울대.
제774호 : 禪宗永嘉集(권 상,하) : 동국대, 조선.
제775호 : 細小字 금강반야바라밀경 : 서울 이병기, 고려충숙왕 8년.
(호암미술관 소장본, 제776호-789호)
제776호 : 金製環頭太刀 : 고신라시대 5-6세기, 길이 13.8cm
제777호 : 金銅빗장일괄 : 통일신라 8세기, 길이26cm.
제778호 : 靑銅銀入絲 蒲柳水禽文 향완 :
제779호 : 금동여래입상 : 삼국시대
제780호 : 금동보살입상 :
제781호 : 金銅 용두토수(吐首) : 통일신라.
제782호 : 檀園畵帖 : 일명 "병진년화첩" "壇園折世寶"(세상에 비길데 없는 단원의 보배)
으로 2帖20面의 11점. 51세(1796)작품으로 산수(사인암 등),화조,인물화.
兪漢芝(1760-1834)의 題字.
종이, 淡彩(먹과 채색으로 그림) 각 26.7x31.6cm. # 527,국보139.
제783호 : 童子牽驢圖(동자견려도) : 양송당 김제 作, 16세기, 비단채색, 111x46cm.
제784호 : 地藏圖 : 고려 14세기.
제785호 : 청화백자운룡문병
제786호 : 청화백자운룡문병
제787호 : 분청사기철화어문호 : 16세기 조선, 높이27cm.
제788호 : 청화백자군어문호
제789호 : 청자조각 쌍사자頭枕 : 고려12세기, 길이 21.8cm의 베게.
제790호 : 銀海寺 백흥암 극락전 : 조선인종, #국보14,보물486,514.
제791호 :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扁甁) : 서울 박재옥, 조선.
제792호 : 李尙吉 影幀 : 남원 이정기, 조선인조 13년.
제793호 : 上院寺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일괄 : 조선초
(寺刹建造物, 제794-805호, 1984.12.5지정, 불교건축사 및 미술사에 가치.)
제794호 : 예산화전리 사면석불 : 백제유일의 사면불.
제795호 : 天冠寺 삼층석탑 : 전남장흥, 통일신라, 4m
제796호 : 雲住寺 구층석탑 : 화순군도암면, #797,798. 고려.
제797호 : 雲住寺 석조불감
제798호 : 雲住寺 원형다층석탑
제799호 : 麻谷寺<) 十承之地(택리지,정감록에서 전하는 전란을 피할수 있는 10장소)> 오층석탑 : 공주군 사곡면, 조선전기. #269,270.
제800호 : 麻谷寺 靈山殿 : 조선중기
제801호 : 麻谷寺 대웅보전 :조선중기
제802호 : 麻谷寺 대광보전 :조선중기
제803호 : 禪雲寺 참당암 대웅전 : #279,280,290,803,
제804호 : 定慧寺 대웅전 : 승주군 정혜사.
제805호 : 北地藏寺 대웅전 : 대구시 동구, 고려중기.
제806호 : 백자반합(飯盒) : 호림미술관, 조선
제807호 : 백자상감모란문병 :호림미술관, 조선
제808호 : 금동탄생불 :호림미술관, 조선
(古宮 建築物 <) 5대 고궁 소장문화재>, 제809호-821호, 85.1지정)
제809호 : 慶福宮 慈慶殿 : 이조태조(1395)
제810호 : 경복궁 자경전 十長生굴뚝 : 이조태조(1395)
제811호 : 경복궁 峨嵋山의 굴뚝 : 이조태조(1395)
제812호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 이조태조(1395)
제813호 : 昌德宮 仁政門 : 조선 16-17세기
제814호 : 창덕궁 선정전 : 조선 16-17세기
제815호 : 창덕궁 희정당 : 조선 16-17세기
제816호 : 창덕궁 大造殿 : 조선 16-17세기
제817호 : 창덕궁 구선원전 : 조선 16-17세기
제818호 : 창덕궁 通明殿 : 조선 17세기
제819호 : 德壽宮 中和殿 및 中和門 : 1593년
제820호 : 덕수궁 함녕전 : 1593년
제821호 : 宗廟 永寧殿 : 1395년
제822호 : 映月庵 마애여래입상 : 이천, 고려
제823호 : 石南寺 대웅전 : 안성군 서운면,
제824호 : 청룡사 대웅전 : 안성군 서운면, 고려 원종 6년.
제825호 : 崇林寺 普光殿 : 익산군, 고려 충목왕 1년.
제826호 : 歸信寺 대적광전 : 금산사의 말사, 문무왕(676)때 의상대사 창건.
# 귀신사 삼층석탑,비로자나불상,석수(狗腎)
제827호 : 金山寺 대장전
제828호 : 金山寺 석등
제829호 : 金谷寺 삼층석탑 : 강진군, 고려
제830호 : 佛甲寺 대웅전 : 영광군, 조선 10세기.
제831호 : 桐華寺 삼층석탑
제832호 : 聖穴寺 나한전 : 영풍군, 신라시대.
제833호 : 祇林寺 대적광전 : 경주 기림사, 조선 인조5년, # 415,958,959.
제834호 : 大悲寺 대웅전 : 청도군
제835호 : 雲門寺 대웅보전
제836호 : 大寂寺 극락전 : 청도군.
(科學技術文化財, 제837-851호, 85.8 지정)
제837호 : (復刻)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 : 덕수궁, 숙중 13년(1687)
국보 228호 오석천문도가 낡아 다시 만든 것.
제838호 : 水標 : 영조 25년
제839호 : 崇禎九年銘 新法地平日구(대리석 신법 평면 해시계) : 덕수궁
조선 인조 13년(1636)
제840호 : 新法地平日구(대리석 평면 해시계) : 덕수궁, 조선 경종 7년.
제841호 : 간평(簡平)일구. 혼개(渾蓋)일구 : 덕수궁, 조선 정조 9년(1785)
제842호 : 대구 선화당 측우대 : 중앙기상대, 조선영조 46년.
제843호 : 관상감 측우대 : 중앙기상대, 조선
제844호 : 창덕궁 측우대 측우기 : 덕수궁, 조선정조 1년(1782)
제845호 : 앙부일구(仰釜日 ) : 덕수궁, 2基.
(1)청동오목해시계 및 받침대(1636-1713)
(2)청동오목해시계 (1636-1713)
제846호 : 창경궁 風旗臺 : 조선후기,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재는 장치.
제847호 : 경복궁 風旗臺 :
제848호 : 신법 천문도병풍 : 법주사, 조선영조 18년
제849호 :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 : 서울대, 조선숙종 34년.
제850호 : 大東與地圖 : 성신여대, 조선철종 12년
# 목판 11개(국보급)발견 (95.12.12, 국립중앙박물관)
850-2호 : 대동여지도(서울역사박물관)
제851호 : 觀天臺 : 창경궁, 조선숙종 14년.
(科學,技術 文化財[국방,인쇄분야] 제852-865호, 86.3.10지정)
제852호 : 휴대용 앙부일구 : 서울 박옥선, 조선고종 11년(1874).
제853호 : 首善全圖木板 : 고려대, 조선헌종, 김정호가 제작한 서울지도(1820년대)
제854호 : 細銃筒 : 육사박물관, 조선초기.
제855호 : 次勝字 銃筒 : 서울대, 조선선조 21년.
제856호 : 小銃筒 : 창덕궁, 선조 24년.
제857호 : 大 口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헌종 11년, 청동주조기법 수려, 보존양호.
제858호 : 中 口 : 국립진주박물관, 조선선조 23년.
제859호 : 中 口 : 해군사관학교박물관, 조선중기.
제860호 : 飛擊震天雷(비격진천뢰) : 창덕궁, 조선후기.
제861호 : 佛狼機子砲(불랑기자포) : 육사박물관, 조선영조18
제862호 : 地字銃筒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명종 12*-9
제863호 : 地字銃筒 : 동아대박물관, 조선명종 12
제864호 : 金鼓 : 육사박물관, 조선선조 19년.
"징"을 금이라 하며 停止신호임("북"은 前進신호)
제865호 : 민간활자 및 인쇄용구 : 대한교과서(주), 서초동.
(제866-881호, 86.10.13지정)
제866호 : 이기룡 筆 남지기로회도 : 서울대.
제867호 : 讀書堂 契會圖 : 서울대
제868호 : 成世昌 題詩 미원계회도 : 서울 이원기, 조선중종 34년.
제869호 : 成世昌 題詩 화관계회도 : 서울 이원기, 조선중종 35년.
제870호 : 戶曹郞官契會圖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명종 5년.
제871호 : 蓮亭契會圖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명종 15년.
제872호 : 농암 李賢輔 영정 : 안동 이용구, 조선준종 30년
제873호 : 鄭敾 筆 육상묘도 : 서울 이재곤, 조선영조 15년.
제874호 : 완양부원군 李忠元 호성공신교서 : 여주,조선선조.
제875호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권 7-10) : 서울, 공민왕.
제876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소장고문서 일괄 : 서울 이용태, 조선.
제877호 : 금강반야바라밀경
제878호 : 대동운부군 옥책판 附 稿本 : 예천 권영기.
제879호 : 草澗日記 : 예천 권영기.
제880호 : 征蠻錄(정만록) : 의성 이진우.
제881호 : 장말손 유품 : 영풍 장덕필, 조선세조. #1005.
(제881-903호, 86.11.24지정)
제882호 : 坤與全圖木板 : 서울대, 조선철종 11년.
제883호 : 놋쇠 地球儀 : 숭실대.
제884호 : 三眼銃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선조 26년.
제885호 : 玄字銃筒 : 국립진주박물관, 1596제작. #647(천자총통)
제886호 : 黃字銃筒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선조 20년.
제887호 : 감지금니 대반야바라밀다경(권175)
제888호 : 宗門圓相集 : 서울 조명기, 고려말.
제889호 : 永嘉 眞覺大師 證道歌 : 서울 조명기, 고려충렬왕 25년
제890호 : 注仁王 호국반야경(권1-4) : 서울 조명기, 17세기초
제891호 : 대방광불 화엄경소(권42) : 서울 조명기, 조선선종(1087)
제892호 : 대방광불 화엄경소(권28-30,권100-102) : 서울 조명기, 조선선종4년.
제893호 : 대방광 원각략소주경(권상) : 서울 조명기
제894호 : 注梵網經 : 서울 조명기, 고려말
제895호 : 帝王韻紀 : 서울
제896호 : 沖 齋 권벌 종손가소장 전적 : # 261,262,901,902.
제897호 : 曺恰(조흡) 右軍都摠制府 摠制王旨 : 서울 송성문, 조선세종.
제898호 : 曺恰(조흡) 中軍都摠制府 摠制王旨 : 서울 송성문, 조선세종.
제899호 : 중훈대부지안산군사 曺恰 賜牌王旨 : 동국대, 조선태종 1년.
제900호 : 扶安김씨 종중고문서 : 부안 김종덕.
제901호 : 沖 齋 권벌 종손가소장 고문서 : 봉화군, #896
제902호 : 沖 齋 권벌 종손가소장 유묵 :
제903호 : 청자상감 매조죽문매병 : 서울 서원석, 12세기중엽.
(제904-916호, 87.3.6지정)
제904호 : 그리스 古代 청동투구 :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기념 수상품. 높이 21.5cm.
1994.8. 손기정 국가기증. 이 투구는 2600년전 고대 그리스 마상경기 출전전사의 것으로 인류 最古이며, 세계 7대불가사의의 하나인 올림푸스 제우스신전 발굴시 발견. (외국유물로는 최초 보물지정)
제905호 : 鶴峰 金誠一 종손가소장 典籍 : 안동군 김시인
제906호 : 鶴峰 金誠一 종손가소장 고문서 : 안동군 김시인
제907호 : 월성 남사리사지 삼층석탑 : 경주군, 통일신라.
제908호 : 월성 용명리사지 삼층석탑 : 경주군, 통일신라.
제909호 : 南澗寺址 당간지주 : 경주 남간사, 통일신라.
제910호 : 경주 보문동 연화문 당간지주 :
제911호 : 석굴암 삼층석탑 : 통일신라 8세기말, 높이 3.03m
제912호 : 경주 馬洞寺址 삼층석탑
제913호 :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 경주군 내남면, 통일신라.
제914호 : 정읍 보화리 석불입상 : 정읍, 백제 7세기.
제915호 : 法住寺 대웅보전
제916호 : 法住寺 원통보전
(제917-928호, 87.7.13지정)
제917호 : 排字禮部韻略 版木 : 청도군 선암서원, 조선숙종 5년.
제918호 : 묘법연화경(권7)
제919호 : 범망경, 금강반야바라밀경합본 : 서울 이행로, 고려우왕.
제920호 : 佛說大報 부모은중경
제921호 : 眞實珠集 : 서울
제922호 : 南長寺 普光殿 木刻幀 : 경북
제923호 : 南長寺 觀音禪院 木刻幀 : 경북
제924호 : 泉隱寺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 구례, 조선영조 52년.
제925호 : 雙磎寺 팔상전 영산회상도 : 쌍계사, 조선숙종 7년, #380.925.
제926호 : 水月觀音菩薩圖 : 호암미술관, 고려 14세기.
제927호 : 금동관음보살입상 : 호암미술관,
통일신라 8세기.
제928호 : 奉印寺 부도암 사리탑 및 사리용기 : 경복궁, 광해군(1620)
(제929-942호, 87.12.26호)
제929호 : 기해기사계첩(己亥耆社契帖) : 서울 송성문, 조선숙종.
제930호 : 궤장( 杖)및 사궤장 宴會圖帖 : 경기도박물관, 조선현종 9년.
제931호 : 朝鮮太祖王 李成桂像 : 전주시, 고려고종 9년.
제932호 : 朝鮮英祖王 李昑(이금)像 : 서울
제933호 : 지장보살本願經(권 상중하) : 호암미술관, 조선세종 29년.
제934호 : 목우자수심결부사법어 : 호암미술관, 조선세종(1467)
제935호 : 月印釋譜(권11,12) :호암미술관, 조선세조 5년.
# 보물제745호: 월인석보 권 1.2.7.8.9.10.13.14.17.18.25.
제936호 : 묘법연화경 : 호암미술관, 조선성종 1년.
제937호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권10) : 호암미술관, 려말선초
제938호 : 대방광원각략소주경(권상지2) : 호암미술관, 려말선초
제93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제940호 : 白紙墨書 지장보살본원경(권 상중하) : 서울 김걸, 조선세종(1440)
제941호 : 宣祖御書사송언신밀찰첩 및 송언신영정 : 여산송씨종중소장, 선조(1593-1599).
941-2호 : 송언신 영정
제942호 : 무민공 黃進 가전고문서 : 남원, 선조 8년.
제943호 :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 전남 보성, 통일신라 9세기.
제944호 :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 전남 보성, 고려초
제945호 : 금둔사지 삼층석탑 : 승주군 금둔사, 통일신라 9세기.
제946호 : 금둔사지 석불비상 : 승주군 금둔사, 통일신라 9세기.
제947호 : 미황사 대웅전 : 해남군, 조선영조 30년, #1183.
(제948-957호, 88.6.지정)
제948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3)
제949호 : 예념미타도량참법(권1-5,6-10) : 서울, 조선성종 5년.
제950호 : 묘법연화경(권5-7)
제951호 : 宣祖國文敎書 : 김해 권성건, 선조26년.
제952호 : 광남군 李光岳 선무공신교서 : 독립기념관
제953호 : 趙崇가정대부상의중추원사도평의사사사왕지 : 부산, 조선태조 5년.
제954호 : 趙瑞卿 武科及第王旨 : 부산 조원연, 세종 17년.
제955호 : 仙岩寺 삼층석탑내 발견유물 : 승주 선암사.
제956호 : 泰安寺 대바라(大 ) : # 273,274,275. 1447년 효령대군 제작, 경 92cm.
제957호 : 탁영(濯纓) 거문고 : 대구 김헌수, 조선성종 21년.
(제958-959호, 88.11.지정)
제958호 : 祇林寺 塑造 비로자나삼존불상 : # 415,833,959.
제959호 : 祇林寺 塑造 비로자나불腹藏典籍 일괄(54건 71책) : # 415,833,958.
1)고려시대 寫經 2)고려시대 목판본 3)조선조 필사본 4)조선전기 목판본
제960호 : 묘법연화경(권1-3,4-7) :
제961호 : 묘법연화경(권1-3,4-7) : 서울 이화균, 조선태종(1405)
제962호 : 묘법연화경(권1-3,4-7) : 서울 이화균, 고려고종(1240)
제963호 : 대방광불화엄경소(권하) : 서울 이화균, 고려말-조선초
제964호 : 대방광불화엄경소(권41) : 서울 이화균, 고려공민왕(1372)
제965-(1)호 : 육경합부(六經合部) : 서울 이화균, 조선성종(1472)
제965-(2)호 : 육경합부(六經合部) : 성남시 김민영
제966년 : 지장보살본원경(권,상중하)
제967호 :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권7-8) : 서울 이화균, 조선문종(1450)
제968호 : 묘법연화경(권3) : 서울 이정자, 15세기초.
제969호 : 유가사지론(권6) : 서울 이정자, 13-14세기
제970호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서울 이정자, 조선세조(1465)
제971호 : 묘법연화경(권5-7) :
제972호 : 유가사지론(권55) :
제97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4,7,8)
제974호 : 금강반야바라밀경 :
제975호 : 삼십분공적소경 :
제976호 : 상지은니 묘법연화경(권5-6)
제977호 : 묘법연화경(권7)
제978호 : 백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권29)
(제979-1000호, 89.4.12지정, 삼국-조선초기의 대표적불상 22기)
제979호 : 公州 西穴寺 석불좌상 :
제980호 : 화성 봉림사 목아미타불좌상 : 경기 화성
제981호 : 太平二年銘 마애약사불좌상 : 하남시 춘궁동(#12,13)선법사.
51 x 94cm의 편마암에 가부좌모습, 고려경종 2년(977년)
제982호 : 太平興國銘 마애보살좌상 : 경기이천, 981년.
제983호 : 安城 奉業寺 석불좌상 : 七長寺, #488.
제984호 : 영동 신항리 삼존불입상 : 충북 영동
제985호 : 청주 龍華寺 석불상군 : 청주용화사
제986호 :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 충남청양, 려말선초
제987호 : 당진 신암사 금동불좌상 : 당진 신암사, 고려후기.
제988호 : 군위 대율동 석불입상 : 군위 대율사.
제989호 : 예천 龍門寺 대장전 목불좌상 및 木刻幀
제990호 : 상주 남장사 철불좌상 : 조선후기
제991호 : 문경 大乘寺 금동보살좌상 : 15세기후반
제992호 : 대구 把溪寺 목관음보살좌상
제993호 : 영덕 莊陸寺 건칠보살좌상 : 영덕장육사, 1395년.
제994호 : 강화 백련사 철아미타불좌상 : 14세기후반
제995호 : 봉화 취서사 석불좌상 부 광배
제996호 : 영풍 毘盧寺 석아미타 및 석비로자나불좌상 : 9세기
제997호 : 봉화 북지리 석반가사유상 : 경북대, 삼국시대말-통일신라
제998호 : 양산 미타암 석아미타불입상 : 경남양산, 8세기전반.
제999호 : 海印寺 木造 希郞大師像
제1000호 : 僧伽寺 石造 僧伽大師像 : 종로구 승가사, 11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