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ht einmal 24 Stunden vor Anpfiff galten noch wechselweise Winfried Schäfer, ein Fan mit Vornamen Christoph und der zweite Co-Trainer als Favoriten für die Bank-Besetzung der Togolesen. Dann schaffte es Otto Pfister, noch vor dem ersten WM-Spiel des afrikanischen Kleinstaates Turniergeschichte zu schreiben: Einen Trainer, der während der Spiele zurücktritt, nach Hause fährt, von den Spielern besucht wird, ein Comeback ausschließt und sich dann doch zum Rücktritt vom Rücktritt überreden lässt, hat es noch nie gegeben. Doch auch Pfisters Kollege bei Südkorea hat einen harten Job, vielleicht sogar den verwirrendsten aller 32 Teilnehmer. Dick Advocaat muss mit so vielen Namensgleichheiten im Team zurechtkommen, dass er Mühe haben dürfte, den Überblick zu behalten.
토고팀 벤치에 누가 앉을 것인지에 관하여 불과 24시간 동안 빈프레드 쉐퍼, 크리스토퍼라는 사람, 그리고 수석코치 등 여러 차례 오락가락했다. 그러다가 아프리카 소국의 축구역사를 쓸 사람으로 결국은 오토 퓌스터가 결정되었다 : 그는 월드컵대회 기간중에 감독직을 사퇴하고, 집으로 가버렸으며, 선수들의 방문을 받았고, 그때마다 컴백가능성을 일축하였으며, 그 후로도 컴백을 권유받기도 했었으나, 여전히 수락하지 않았던 인물이었다. 그런데 토고팀 퓌스터감독 만큼이나 한국팀의 감독도 큰 고생을 하고 있는데, 아마도 32개 출전팀 가운데 가장 '머리가 아픈' 감독일 것이다. 딕 아드보카트 감독은 한국선수들의 이름이 너무 비슷비슷해서 엄청 머리가 아플 것이고, 선수 전원을 모아놓고 지시를 하는 일이 몹시 고생스런 일이 될 것이다.
Schon in seiner Zeit bei Borussia Mönchengladbach, die im April vergangenen Jahres abrupt endete, redete Advocaat seine Spieler gelegentlich mit dem falschen Namen an. Jan Schlaudraff bekam schon mal den "Marcell" von Kollege Jansen verpasst, und dass Polanski "Eugen" heißt, wusste der Holländer auch erst in der Spätphase seiner Tätigkeit. Bei Südkorea muss sich Advocaat primär zwei Namen merken: Lee und Kim. Wenn er diese in seinem bekannt rauen Tonfall über den Platz brüllt, schrecken gleich 13 seiner Schützlinge auf: Fünf Lees und acht Kims stehen im Kader der Asiaten. Vielleicht auch deswegen will der Coach keine Einzelkönner aus seinem Ensemble herausheben: "Ich vertraue allen 23 Spielern in meinem Kader."
아드보카트 감독은 지난 해 4월까지 독일 묀센글라드바하 팀 감독을 맡았었는데, 그 시절에도 아드보카트 감독은 종종 선수들의 이름을 틀리게 부르곤 했었다. 얀 쉬라우트랍 선수는 같은 팀 얀센 선수로부터 "마르셀"이라는 이름을 따로 하나 지어받았고, 폴란스키 선수를 오이겐이라고 잘못 부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아드보카트 감독은 감독직에서 물러날 무렵에야 알아차렸던 것이다. 한국에서 아드보카트 감독은 처음에는 두 개의 이름만을 불렀을 성 싶다 : 이(Lee)와 김(Kim). 아드보카트 감독이 그라운드에서 예의 그 거친 목소리로 소리를 질러대면 13명의 선수들이 한꺼번에 깜짝 놀라게 될 것이다 : 한국팀에는 다섯명의 이 선수와 여덟명의 김 선수가 있다. 아마도 바로 그런 이유때문에 아드보카트 감독은 한 사람의 독불장군 보다는 팀 전체의 조화를 중시하고자 했을 것이다: "나는 23명 선수 전원을 신뢰하고 있다".
"Wir sind kein Außenseiter"
"우리는 약체팀이 아니다"
Was die Sache entscheidend vereinfacht, ist die Tatsache, dass die herausragenden Spieler weder Lee noch Kim heißen. Im Mittelfeld führt Ji Sung Park von Manchester United die Geschäfte, in der Abteilung Attacke ruhen die Hoffnungen auf Chu Young Park, Ki Hyeon Seol oder Jung Hwan Ahn, der zuletzt in Duisburg spielte. Aus dem Chaos bei Togo sei jedenfalls kein Vorteil zu ziehen, sagt Advocaat: "Ein Team kann durch so etwas ja auch noch enger zusammenwachsen." Mutmacher von außen scheint Südkorea aber sowieso nicht zu benötigen: "Wir sind bei dieser WM kein Außenseiter", findet Ji Sung Park. "Wir hoffen, dass wir noch besser sein können als 2002." Da verloren sie erst im Halbfinale mit 0:1 gegen Deutschland.
선수들 이름 때문에 머리가 아팠을 아드보카트 감독을 결정적으로 구제해 준 것은 발군의 실력을 가진 선수들이 이씨도 아니고 김씨도 아니라는 점이었다. 미들필드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박지성이 있고, 포워드에는 박주영, 설기현, 그리고 뒤스부르크에서 뛰고 있는 안정환이 버티고 있다. 토고팀의 혼란은 한국팀에게 유리할 것이 없다고 아드보카트 감독은 말한다 : "토고팀은 오히려 결속력이 단단해질 수 있다." 약체팀에게 필요한 불굴의 투지같은 것은 더이상 한국팀에게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우리는 이번 대회에서 결코 약체팀이 아니다"라고 박지성은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이번 대회에서 2002년 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고자 한다". 2002년 월드컵에서 한국은 준결승전에서 독일에게 1대 0으로 패한 바 있다.
Stand: 13.06.2006, 10:32 Uhr
기사작성일 : 2006년 6월 13일 10시 32분
첫댓글 아 경기 끝나고 봤네요. 이씨는 있었지만 행운의 골이었고 김씨 말고 안씨가 일을 내서 참 재밌는 글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