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4회차... 지장철야참회기도 점찰법회...
294개월을 지나며 지장기도 역사상 새로운 길을 써가고 있는 기도..
2009년 9월에 첫 시작을 했는데 참으로 긴세월입니다..
우리는 어느 순간 당연히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 되었던 것들에대해..
잊어버리거나 모르는 것을 보면 상당히 당황스러운 일이 되기도 합니다.
점찰에 대해서도 그러한 것 같아 상당히 충격적입니다..
---------------------------------
점찰법회는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이라는
경전에 근거해서 진행되는 수행법입니다.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은
지장왕보살을 의지하는 수행의 중요한 텍스트고요.
수많은 경전 가운데 지장왕보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오는
3가지를 중요하게 여겨 지장삼부경(地藏三部經)이라 칭하고 있습니다.
그 세 가지는 지장본원경(地藏本願經, 지장경, 지장보살본원경),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점찰경), 지장십륜경(地藏十輪經, 십륜경) 입니다.
지장십륜경은 앞서 번역된 본이 있는데 대방광십륜경입니다.
같은 경전입니다.
경전의 특징을 살피면
지장경이 보살을 소개하는 기본 입문서라면
점찰경은 어떻게 신행을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이 들어있고
십륜경에서는 완성된 인격으로 가는 심화된 철학적 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십륜경 서품과 지장경(지장본원경)은 내용적으로 상당히 닮아 있기도합니다.
점찰법회는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점찰경)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고요.
경전이 매우 세밀하여 굳이 다른 것을 가미 하지 않아도 되게 되어 있습니다.
영선사의 지장기도와 점찰법회는 철저하게 점찰경 경전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
점찰법을 살피면 우선 목륜상(木輪相)이라는 것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손가락 마디 모양의 사각형 기둥(짧은 것도 있습니다)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건 영선사의 1회점찰 목륜상이고요.
1회(10개), 2회(3개),3회(6개)의 목륜상이 있습니다.
이건 중국건데요 영선사거와 비교하면 두툼하고 마디가 짧습니다.
경전에는 정확한 제작 수치가 안나와 있고
기준만 나와 있는데요 손가락 1마디입니다..
영선사는 길게 만들었는 그 이유는
손가락과 마디는 상대적이어서 저렇게 짧은 것도 맞지만
긴 것도 맞습니다.
실제로 점찰을 행해보면 관리나 행법에서 긴 것이 옳습니다.
중국에는 점찰법회가 활발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래처럼 다양한 점찰간자를 만들어서 판매까지 하고 있습니다.
영선사의 점찰간자는 이런 것을 보지 않고 만들었는데요
실제로 영선사 것이 훨씬 더 품위가 있습니다.
영선사의 점찰간자 재질은 싸리나무입니다.
저런 목륜상을 가지고 점찰을 행하는데요.
1회점찰은 과거 오랜 세월의 윤회기간 동안
십선(十善)을 행한 여부에 대해 판별하여
선을 행하는 동기부여를 만드는 수행법입니다.
(1) 불살생(不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음.
(2) 불투도(不偸盜) 남의 재물을 훔치지 않음.
(3) 불사음(不邪婬) 삿된 짓과 행동, 허락하지 않은 짓을 하지않음.
(4) 불망어(不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을 하지 않음.
(5) 불악구(不惡口) 남을 괴롭히거나 나쁜 말을 하지 않음.(욕설)
(6) 불양설(不兩舌) 이간질을 하지 않음.
(7) 불기어(不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미는 말을 하지 않음.
(8) 불탐욕(不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을 부리지 않음.
(9) 불진에(不瞋恚) 성내지 않음.
(10) 불사견(不邪見) 그릇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음.
불사음에 대해서는 애매한 것이 많은데요.
이걸 잘못 규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기준이 제각각이라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본래 성적인 것은 '움양의 존재가 서로 친밀해지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나쁜게 아니었다는 말입니다.
인간 같은 경우 사회내에서 허용된 남녀 관계내에서의 행함은
삿된 것이라 하지 않는다하고요.
인간계의 모~~든 남녀가 서로 허락하는 것은 삿된 것이 아니랍니다.
강제적인 것만 삿된 것.
삿된 행동이라함은 강제적인거, 수간(짐승), 시간(시체),
마약, 청정한 종교의례 진행되고 있는 장소,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하는것(포르노, 영화 포함),
음행하는걸 스스로 보려고 찍은거(동영상만 해당),
성을 사고 파는것(매춘), 단순히 쾌락을 위한 것,
남을 이용하기 위하여 댓가로 제공, 집단으로 음행하는 것, 등
27가지 유형이 있다고 합니다.
스스로, 동성끼리, 집단, 술, 종교지도자, 실제처럼 연출한 것 등은
삿된 것이 아니랍니다.
귀신과 음행하는 것은 없다고 해요,
-----------------------
2회 점찰은
1회 점찰에 기반한 것으로
위의 십선이 강하고 약하냐 오래되었느냐 아니냐를 판별하는데
이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37가지의 방법인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4념처(四念處,) · 4정근(四正勤) · 4여의족(4신족(四神足)) ·
5근(五根) · 5력(五力) · 7각지(七覺支) · 8정도(八正道))
4정근(四正勤) 수행법입니다.
그내용은 선법(善法)은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은 여의게 하기 위하여,
부지런히 수행(修行)하는 방법(方法)을 사정근(四正勤)이라고 하고요.
-미생악령불생(未生惡令不生) : 아직 생기지 않은 악(惡)은 생기지 않게 하고
-이생악령영단(已生惡令永斷) : 이미 생긴 악(惡)은 영원(永遠)히 끊어버리고
-미생선령생(未生善令生) : 아직 생기지 않은 선(善)은 생기게 하고
-이생선령증장(已生善令增長) : 이미 생긴 선(善)은 더욱 증대(增大)시키게 하라.
- 율의단(律儀斷)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을 미리 방지하려고 부지런히 노력함.
- 단단(斷斷) : 이미 생긴 악(惡)을 없애려고 부지런히 노력함.
- 수단(修斷) :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을 생기도록 부지런히 노력함.
- 수호단(隨護斷) : 이미 생긴 선(善)을 더 증장시키려고 부지런히 노력함.
이런 사상을 통해 성불의 길로 가려는 것입니다.
거기다 1회와 연관되게 맞는 내용이 나와야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마음에 문제 있다는 견제구를 던집니다.
---------------------------------------
3회 점찰은 1회나와 2회와는 성격이 많이 다릅니다.
이것은 경전에 행하는 이를
'삼세 가운데서 받는 과보의 차별을 알고자 하는 자' 이렇게 나와 있고요.
그 범주는 우리삶과 수행의 모든 부분에 대해
189가지의 경우의 수를 정해서
점찰간자를 통해 길흉과 성패를 예측하게 하는 법입니다.
우리는 아직 대수행을 하는 존재들은 아니기에
수행정진에 관한 것 보다는
실제 삶에서 매우 필요한 조언을 듣는식이 거의답니다.
이3회 점찰법으로 점찰경이란 경명이 장햐졌을수 있습니다.
이3회 점찰은 놀라운 적중율을 가지고 있는데요.
예를들을 이사를 해야 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직장을 이직해야 되느냐 말아야 되는냐..
이런 질문에 100%의 적중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점찰을 행하는 이의 진심 여부에 따라
적중율이 특이해지는 경향도 있습니다.
우리는 미래를 알수 없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이3회 점찰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장보살님의 화신이시라는 충무공이 중요한 전투를 앞두고 행하셨다는 점법은
이3회점찰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느낌상 거의 3회 점찰이에요.
3회점찰은 국가대사에 대해서도 알아보기가 가능할 정도로 매우 요긴한 법입니다.
다만 단답형으로 물어야만 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건 어쩔수 없는 일.
여기서 조심하셔야 할 것은
이3회 점찰의 결과는 점수가 아닙니다.
합산된 점수의 높낮이로 길흉과 성패가 결정되는 것이 아미에요.
그것 웃기는 생각입니다.
아래 3회 관련 경전의 원문을 올렸으니 살펴보시면 되요.
189라는 숫자는 점수가 아니라
경우의 수입니다.
우리의 삶과 수행이 189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3회 잠찰간자를 총 3번을 던져 나오는 숫자를 합하여
경전에서 그 숫자에 맞는 부분을 읽고 해설을 하는 것입니다.
점수가 높으면 좋고 낮으면 안좋다??
전혀 관계 없습니다.
오히려
'1은 상승을 구하여 물러나지 않음을 얻음이요,
2는 구하는 바의 결과가 현실에 당하여 증득되는 것이요,
3은 중승(중간)을 구하여 물러나지 않음을 얻음이요,
4는 하승을 구하여 물러나지 않음을 얻음입니다.
5는 신통을 구하여 성취하는 것이요~~'
여기서 보듯이 낮게 이런수가 나오면 위대한 성인이 되는 거에요.
189가지의 경우의 수 구조를 보면
"148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가히 나을 수 있는 것이요,
149는 근심되는 바를 관하나 낫기 어려운 것이며,
150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나 정진하면 낫는 것이요,
151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도 오랫동안 괴로워하는 것이며,
152는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스스로 낫는 것입니다.
153은 향하는 바의 의원이 감히 능히 치료하는 것이요,
154는 고칠바를 관하여 이를 대해 치료하는 것이며,
155는 먹는바의 약에서 효력을 얻게됨이요,
156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나을 수 있는 것입니다.
157은 향하는 바의 의원이 능히치료하지 못함이며,
158은 치료할 바를 관하나 대하여 치료하지 못함이며,
159는 복용하는 바의 약으로 힘을 얻지 못함입니다."
이렇게 나오듯이 높고 낮음으로 길흉과 성패가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3회 점찰을 단순 점수로 착각하시면 안되요.
그렇게 아셨다면 황당한 거고요..
누차 설명해줬는데 부끄러운 겁니다..
세상은 사이비들이 판을 치고 있는데요..
불교도 예외 아닙니다..
상대적으로는 덜하지만 개쓰레기 같은 것들이 지금도 설치고 있습니다.
지장신앙에서는 그런거 용납 안됩니다.
점찰법에는 그런 사이비를 걸러내는 장치가 되어 있고요..
철저합니다.
3회 점찰법에도 그게 있는데요..
경전에는 나오지 않지만 189개의 경우의 수로 목륜상(점찰간자)을 만들어..
허공에 던져서 꽃송이처럼 공중에 뜨게 할수 있어야 성인이 됩니다
그정도 되야 인정받는다는거죠.
이게 가능하겠습니까??
가능하고요... 실제로 과거에 있었던 일입니다.
진표율사.
저런 현상을 보일수 있어야,
그것도 수시로 보알수 있어야하는데 어찌 사이비 개 따위가
설칠수 있겠습니까.
점찰법은 입으로 먹고사는 것들에게
바로 현실에서 검증하라는 법이 있어
그들의 준동 자체가 애초부터 불가합니다.
또 이점찰법이 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온라인이 가능한 컴퓨터로
관리가 되어야 가능한 법인데요..
이경전이 세상에 나온 것은 공식 집게된 것만 1500년 전입니다.
1500년 전 기록에 경전이 존재한다고 나오는데..
이시대가 되어서야 겨우 관리가 가능하다.
그만큼 이경전은 하이테크 기술입니다.
점찰법의 구조는 수행적으로도 옳지만
그헁법은 인간 따위가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경전 내용은 단 한 군데도 엇박자가 없습니다.
상권 말미와 하권으로 넘어가면
점찰을 넘어 삼매와 위빠사나를 닦는 수행법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비유하면 수행을 집으로 비유하면
상권에서 점찰로 집까지 인도한 뒤에
상권말미와 하권에서 현관 열쇠 종류와 이름 사용법,
거실, 안방,놓여진 가구,창문위치를
자세히 알려주는 거와 같습니다.
단언하지만 이와 같이 간결하고 명확한 불교수행지침서는
본적이 없습니다.
점찰에 대해 오랫만에 소개해드렸으니...
숙지하시고...
오해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
원문)) 善男子 若欲占察三世中受報差別者 當復刻木爲六輪 於此六輪 以一二三 四五六 七八九 十十一十二 十三十四十五 十六十七十八等數 書字記之 一數主一面 各三面 令數次第不錯不亂 當知如此諸數 皆從一數而起 以一爲本 如是數相者 顯示一切衆生六根之聚 皆從如來藏自性淸淨心一實境界而起 依一實境界以之爲本 직역)) 선남자여! 만약 삼세 가운데서 받는 과보의 차별을 알고자 하는 자는 마땅히 다시 나무를 깎아 여섯개의 륜을 만들어야 하며, 이 여섯개의 륜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등의 수를 기재합니다. 하나의 수를 한 면에 주로 하여 각각 세면에 기재하는데 숫자로 하여금 차례로 하여 어긋나거나 혼란하지 않게 하여야 하나니, 마땅히 아소서 이 여러수는 모두가 한 수로 부터 일어났나니 하나로써 근본을 삼습니다. 이와 같은 수의 상은 일체중생의 육근의 무더기는 모두가 여래장 자성청정심의 일실경계를 쫓아 일어나는 것이며, 일실경계에 의지하는 것이 근본이 됨을 나타내 보여주는 것입니다. 원문)) 所謂依一實境界故 有彼無明 不了一法界 謬念思惟 現妄境界 分別取著 集業因緣 生眼耳鼻舌身意等六根 以依內六根故 對外色聲香味觸法等六塵 起眼耳鼻舌身意等六識 以依六識故 於色聲香味觸法中 起違想 順想 非違非順等想 生十八種受 若未來世佛諸弟子 於三世中所受果報 欲決疑意者 應當三擲此第三輪相 占計合數 依數觀之 以定善惡 직역)) 이른바 일실경계에 의지한 연고로 저 무명이 있어 한 법계를 요달하지 못하여 잘못된 생각으로 사유하여 허망한 경계를 나타내며, 분별하고 취착하는 모인 업의 인연으로 눈.귀.코.혀.몸.뜻(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등의 여섯가지 감관(육근)이 생기고, 안으로 육근을 의지하는 연고로 바깥으로 색.소리.냄새.맛.닿임.법(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등의 여섯가지 티끌(육진(六塵))을 대하여 눈.귀.코.혀.몸.뜻의 여섯가지 의식(육식(六識))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육식을 의지한 연고로 색.소리.냄새.맛.닿임.법 가운데서 뜻대로 안되는 생각(위상(違想)), 뜻대로 되는 생각(순상(順想,)) 뜻대로 안되는 것도 아니고 뜻대로 되는 것도 아닌 등의 생각(비위비순등상(非違非順等想))을 일으켜 18종의 느낌을 내는 것입니다. 만일 미래 세상의 부처님의 여러 제자들이 삼세 가운데서 과보 받는 바를 하여금 의심스러운 뜻을 결단하고자하는 이는 응당 이 제 3번째 륜상을 세번 던지고 수를 합하여 계산하여 점쳐보아야 하나니 수에 의지해 관찰하여 선과 악을 정해야 합니다. 원문)) 如是所觀三世果報善惡之相 有一百八十九種 何等爲一百八十九種 一者求上乘得不退 二者所求果現當證 三者求中乘得不退 四者求下乘得不退 五者求神通得成就 六者修四梵得成就 七者修世禪得成就 八者所欲受得妙戒 九者所曾受得戒具 직역)) 이와 같이 관하는 바의 삼세과보의 차별의 모습은 189의 종류가 있나니 무엇 등이 일백팔십이 되는고 하면, 1은 상승을 구하여 물러나지 않음을 얻음이요, 2는 구하는 바의 결과가 현실에 당하여 증득되는 것이요, 3은 중승(중간)을 구하여 물러나지 않음을 얻음이요, 4는 하승을 구하여 물러나지 않음을 얻음입니다. 5는 신통을 구하여 성취하는 것이요, 6은 4범(4무량심)을 닦아 성취하는 것이요, 7은 세간의 선을 닦아 성취함입니다. 8은 받고자 하는 바의 묘한 계율을 얻음이요, 9는 일찌기 받은 바의 계율을 구족하게 됨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원문)) 十者求上乘未住信 十一者求中乘未住信 十二者求下乘未住信 十三者所觀人爲善友 十四者隨所聞是正法 十五者所觀人爲惡友 十六者隨所聞非正敎 十七者所觀人有實德 十八者所觀人無實德 十九者所觀義不錯謬 二十者所觀義是錯謬 二十一者有所誦不錯謬 二十二者有所誦是錯謬 二十三者所修行不錯謬 二十四者所見聞是善相 직역)) 10은 상승을 구하긴 하나 믿음에 머무르지 못함이며, 11은 중승을 구하나 아직 믿음에 머무르지 못함이며, 12는 하승을 구하지마는 아직 믿음에 머무르지 못하는 것입니다. 13은 관하는 바의 사람은 좋은 벗이 됨이며, 14는 들은 바를 따르면 이것이 바른 믿음이 되며, 15는 관하는 바의 사람이 좋지 않은 벗이 됨이며, 16은 들은 바를 따르면 바른 가르침이 아닙니다. 17은 관하는 바의 사람이 진실한 덕이 있는 것이며, 18은 관하는 바의 사람이 진실한 덕이 있지 않음이며, 19는 관하는 바의 뜻이 그릇되고 잘못되지 않음이며, 20은 과하는 바의 뜻이 그릇되고 잘못된 것입니다. 21은 외우는 바가 그릇되고 잘못되지 않음이며, 22는 외우는 바가 그릇되고 잘못된 것입니다. 23은 닦고 행하는 바가 그릇되고 잘못되지 않음이요, 24는 보고 듣는바가 좋은 모습입니다. 원문)) 二十五者有所證爲眞實 二十六者有所學是錯謬 二十七者所見聞非善相 二十八者有所證非正法 二十九者有所獲邪神持 三十者所能說邪智辯 三十一者所玄知非人力 三十二者應先習觀智道 三十三者應先習禪定道 三十四者觀所學無障礙 三十五者觀所學是所宜 三十六者觀所學非所宜 三十七者觀所學是宿習 三十八者觀所學非宿習 三十九者觀所學善增長 四十者觀所學方便少 四十一者觀所學無進趣 四十二者所求果現未得 四十三者求出家當得去 四十四者求聞法得敎示 四十五者求經卷得讀誦 직역)) 25는 증득하는 바가 바르고 진실된 것이며, 26은 배우는 바가 그릇되고 잘못된 것입니다. 27은 보고듣는 바가 좋은 모습이 아니요, 28은 증득하는 바가 바른 법이 아닙니다. 29는 얻은바가 삿된 귀신에게 잡혀 있음이며, 30은 능히 설하는 바가 삿된 지혜를 말함이며, 31은 오묘하게 아는바가 사람의 힘이 아님이며, 32는 응당 먼저 지혜를 관하는 도를 익혀야 하며, 33은 응당 먼저 선정의 도를 익혀야 합니다. 34는 배우는 바를 관하여 장애가 없음이며, 35는 배우는 바가 마땅한 바이며, 36은 배우는 바를 관하니 마땅하지 않음입니다. 37은 배우는 바를 관하니 오래도록 익힌 바이며, 38은 배우는 바를 관하니 오래도록 익혀온 바가 아닙니다. 39는 배우는 바를 관하여 잘 증장되는 것이며, 40은 배우는 바를 관하나 방편이 적은 것이며, 41은 배우는 바를 관하나 나아가는 바가 없음이며, 42는 구하는 바의 결과를 현재에 얻지 못함이고, 43은 출가를 구하여 마땅히 갈 수 있음을 얻음이며, 44는 법을 듣기를 구하여 가르침을 보여주는 것을 얻음이고, 45는 경권을 구하여 읽고 외울 수 있는 것입니다. 원문)) 四十六者觀所作是魔事 四十七者觀所作事成就 四十八者觀所作事不成 四十九者求大富財盈滿 五十者求官位當得獲 五十一者求壽命得延年 五十二者求世仙當得獲 五十三者觀學問多所達 五十四者觀學問少所達 五十五者求師友得如意 五十六者求弟子得如意 五十七者求父母 得如意 五十八者求男女得如意 五十九者求妻妾得如意 六十者求同伴得如意 직역)) 46은 지으려는 바를 관하나 이는 마구니의 일이며, 47은 지으려는바를 관하여 일이 성취되는 것이고, 48은 지으려고 하는바를 관하나 일이 성취되지 않는 것입니다. 49는 크게 부자인 것을 구함에 재물이 가득차는 것이며, 50은 관직의 자리를 구함에 마땅히 획득하여 얻는 것입니다. 51은 수명을 구함에 나이를 늘릴 수 있으며, 52는 세상의 신선을 마땅히 획득하여 얻을 수 있고, 53은 학문을 관하여 도달하는 바가 많음이며, 54는 학문을 관하여 도달하는 바가 적음입니다. 55는 스승과 벗을 구함에 뜻과 같이 얻게 됨이며, 56은 제자를 구함에 뜻과 같이 얻게 됨입니다. 57은 부모를 구하여 뜻과 같이 얻음이요, 58은 남녀(아들 딸)를 구함에 뜻과 같이 얻음이요, 59는 아내를 구함에 뜻과 같이 얻게 됨이고,60은 동반할 이를 구함에 뜻과 같이 얻게 됨입니다. 원문)) 六十一者觀所慮得和合 六十二者所觀人心懷恚 六十三者求無恨得歡喜 六十四者求和合得如意 六十五者所觀人心歡喜 六十六者所思人得會見 六十七者所思人不復會 六十八者所請喚得來集 六十九者所憎惡得離之 七十者所愛敬得近之 七十一者觀欲聚得和集 七十二者觀欲聚不和集 七十三者所請喚不得來 七十四者所期人必當至 七十五者所期 人住不來 七十六者所觀人得安吉 七十七者所觀人不安吉 七十八者所觀人已無身 직역)) 61은 걱정하는 일이 화합되는 것이며, 62는 관하는 바의 사람의 마음은 성내는 마음을 품는 것이며, 63은 원한 없기를 구하여 큰 기쁨을 얻는 것이요, 64는 화합을 구하여 뜻과 같이 되는 것이며, 65는관하는 바의 사람의 마음은 기쁜 것이요, 66은 생각하는 바의 사람을 만나 볼 수 있는 것이요, 67은 생각하는 바의 사람을 다시 만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68은 청하여 부르는 바가 와서 모이는 것이요, 69는 증오하는 바에서 떠나게 되는 것이며, 70은 사랑하고 공경하는 바를 가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71은 모으려고 하는 것을 관하여 모이게 되는 것이며, 72는 모으려고 하는 것을 관하여 모이지 않는 것이요, 73은 청하여 부르는 바가 오지 못하는 것입니다. 74는 기다리는 바의 사람이 반드시 오는 것이며, 75는 기다리는 사람이 오지 않는 것입니다. 76은 관하는 바의 사람이 편안하고 길하게 되는 것이요, 77은 관하는 바의 사람이 편안하고 길하지 않는 것이며, 78은 관하는 바의 사람의 몸은 이미 없는 것입니다. 원문)) 七十九者所望見得睹之 八十者所求覓得見之 八十一者求所聞得吉語 八十二者所求見不如意 八十三者觀所疑卽爲實 八十四者觀所疑爲不實 八十五者所觀人不和合 八十六者求佛事當得獲 八十七者求供具當得獲 八十八者求資生得如意 八十九者求資生少得獲 九十者有所求皆當得 九十一者有所求皆不得 九十二者有所求少得獲 九十三者有所求得如意 九十四者有所求速當得 九十五者有所求久當得 九十六者有所求而損失 九十七者有所求得吉利 九十八者有所求而受苦 九十九者觀所失求當得 一百者觀所失求不得 一百一者觀所失自還得 직역)) 79는 바라보고자하는 바를 보게 되는 것이며, 80은 찾아 구하는 바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81은 소문을 구하여 길한 말을 얻는 것이며, 82는 보기를 구하는 바가 뜻과 같이 안됨이며, 83은 의심된 바를 관하니 곧 진실이 됨이며, 84는 의심되는 바를 관하나 그것은 진실이 아닌 것이며, 85는 관하는 바의 사람이 화합되지 않는 것입니다. 86은 부처님 일을 구함에 마땅히 획득하게 됨이며, 87은 공양구를 구함에 마땅히 획득하게 되는 것이고, 88은 살림살이를 구하여 뜻대로 되는 것이요, 89는 살림살이를 구하여 조금 얻게 되는 것입니다. 90은 구하는 바가 있으면 모두가 마땅히 얻게 되는 것이요, 91은 구하는 바를 모두 얻지 못함이고, 92는 구하는 바가 있으면 조금 얻게 되는 것입니다. 93은 구하는 바가 있으면 뜻과 같이 얻게 됨이요, 94는 구하는 바가 있으면 빠르게 마땅히 얻게 되는 것이며, 95는 구하는 바가 있으면 오래되어야 마땅히 얻게 되는 것이고, 96은 구하는 바가 있으나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요, 97은 구하는 바가 있으면 길한 이익을 얻게 됨이며, 98은 구하는 바가 있으나 괴로움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99는 잃어버린 바를 관하면 구하여 마땅히 얻게 되는 것이요, 100은 잃어버린 바를 당하여 영원히 얻지 못하는 것이며, 101은 잃어버린 바를 관하여 스스로 돌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원문)) 一百二者求離厄得脫難 一百三者求離病得除愈 一百四者觀所去無障難 一百五者觀所去有障難 一百六者觀所住得安止 一百七者觀所住不得安 一百八者所向處得安快 一百九者所向處有厄難 一百一十者所向處爲魔網 一百一十一者所向處難開化 一百一十二者所向處可開化 一百一十三者所向處自獲利 一百一十四者所遊路無惱害 一百一十五者所遊路有惱害 직역)) 102는 액난을 여의기를 구하여 어려움을 벗어나는 것이며, 103은 병을 여의기를 구하여 낫게 되는 것입니다. 104는 갈 곳을 관하되 장애가 없는 것이며 , 105는 갈 곳을 관하되 장애가 있는 것입니다. 106은 머무는 바를 관하여 편안하게 머무르는 것이며, 107은 머무르는 바를 관하나 편안을 얻지 못하는 것입니다. 108은 향하는 바의 처소가 편안한 것이며, 109는 향하는 바의 처소가 재앙이 있는 것이며, 110은 향하는 바의 처소가 악마의 그믈입니다. 111은 향하여 가는 곳이 깨우쳐 교화하기 어려운 곳이며, 112는 향하여 가는 곳이 깨우쳐 교화할 수 있는 것이며, 113은 향하여 가는 곳이 스스로 이익을 얻는 곳입니다. 114는 노니는 바의 길에 고뇌와 해독이 없는 것이며, 115는 노니는 바의 길에 고뇌와 해독이 있는 것입니다. 원문)) 一百一十六者君民惡饑饉起 一百一十七者君民惡多疾疫 一百一十八者君民好國豐樂 一百一十九者君無道國災亂 一百二十者君修德災亂滅 一百二十一者君行惡國將破 一百二十二者君修善國還立 一百二十三者觀所避得度難 一百二十四者觀所避不脫難 一百二十五者所住處衆安隱 一百二十六者所住處有障難 一百二十七者所依聚衆不安 직역)) 116은 군주와 인민이 악하여 기근이 일어나는 것이며, 117은 군주와 인민이 악하여 질병이 많은 것이며, 118은 군주와 인민이 착하여 나라가 풍요하고 즐거운 것입니다. 119는 군주가 무도하여 나라에 재앙과 난리가 일어나는 것이며, 120은 군주가 덕을 닦아 재난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121은 군주가 악을 행하여 나라가 장차 망하는 것이며, 122는 군주가 선을 닦아 나라가 도로 서는 것입니다. 123은 피할 곳을 관하여 재난을 면할 수 있는 것이요, 124는 피할 곳을 관하여도 재난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125는 머무르는 바의 처소는 여러 가지가 안온할 것이요, 126은 머무르는 바의 처소에 장애와 재난이 있는 것입니다. 원문)) 一百二十七者所依聚衆不安 一百二十八者閑靜處無諸難 一百二十九者觀怪異無損害 一百三十者觀怪異有損害 一百三十一者觀怪異精進安 一百三十二者觀所夢無損害 一百三十三者觀所夢有損害 一百三十四者觀所夢精進安 一百三十五者觀所夢爲吉利 직역)) 127은 의지하는 바 모인 대중들이 불안한 것이며, 128은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 모든 재난이 없는 것이며, 129는 괴이한 것을 관하나 손해가 없는 것이며, 130은 괴이한 것을 관하여 손해가 있는 것이고, 131은 괴이한 것을 관하고 정진하여 편안하게 하는 것입니다. 132는 꿈꾸는 바를 관하여 손해가 없는 것이며, 133은 꿈꾸는 바를 관하여 손해가 있는 것입니다. 134는 꿈구는 바를 관하고 정진하여 편안한 것이며, 135는 꿈꾸는 바를 관하여 길하고 이로운 것입니다. 원문)) 一百三十六者觀障亂速得離 一百三十七者觀障難漸得離 一百三十八者觀障亂不得離 一百三十九者觀障亂一心除 一百四十者觀所難速得脫 一百四十一者觀所難久得脫 一百四十二者觀所難受衰惱 一百四十三者觀所難精進脫 一百四十四者觀所難命當盡 一百四十五者觀所患大不調 一百四十六者觀所患非人惱 一百四十七者觀所患合非人 직역)) 136은 장애와 어지러움을 관하여 빨리 여읠 수 있는 것이며, 137은 장애와 어려움을 관하여 점차로 여읠 수 있는 것이며, 138은 장애와 어려움을 관하나 여의지 못하는 것이고, 139는 장애와 어려움을 관하여 한 마음으로 없애는 것입니다. 140은 어려운 바를 관하여 빨리 해결할 수 있는 것이며, 141은 어려운 바를 관하여 오래되어야 벗어날 수 있는 것이고, 142는 어려운 바를 관하여도 쇠약과 고뇌를 받는 것이며, 143은 어려운 바를 관하고 정진하여 해탈시키는 것이고, 144는 어려운 바를 관하여 응당 목숨을 다해야 하는 것입니다. 145는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도 크게 조화되지 않는 것이며, 146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도 비인(非人)의 괴롭힘을 받는 것이요, 147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비인과 화합하는 것입니다. 원문)) 一百四十八者觀所患可療治 一百四十九者觀所患難療治 一百五十者觀所患精進差 一百五十一者觀所患久長苦 一百五十二者觀所患自當差 一百五十三者觀所患向醫堪能治 一百五十四者觀所療是對治 一百五十五者所服藥當得力 一百五十六者觀所患得除愈 一百五十七者所向醫不能治 一百五十八者觀所療非對治 一百五十九者所服藥不得力 직역)) 148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가히 나을 수 있는 것이요, 149는 근심되는 바를 관하나 낫기 어려운 것이며, 150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나 정진하면 낫는 것이요, 151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도 오랫동안 괴로워하는 것이며, 152는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스스로 낫는 것입니다. 153은 향하는 바의 의원이 감히 능히 치료하는 것이요, 154는 고칠바를 관하여 이를 대해 치료하는 것이며, 155는 먹는바의 약에서 효력을 얻게됨이요, 156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여 나을 수 있는 것입니다. 157은 향하는 바의 의원이 능히치료하지 못함이며, 158은 치료할 바를 관하나 대하여 치료하지 못함이며, 159는 복용하는 바의 약으로 힘을 얻지 못함입니다. 원문)) 一百六十者觀所患命當盡 一百六十一者從地獄道中來 一百六十二者從畜生道中來 一百六十三者從餓鬼道中來 一百六十四者從阿修羅道中來 一百六十五者從人道中而來 一百六十六者從天道中而來 一百六十七者從在家中而來 一百六十八者從出家中而來 一百六十九者曾値佛供養來 一百七十者曾親供養賢聖來 一百七十一者曾得聞深法來 직역)) 160은 근심되는 바를 관하나 목숨이 마땅히 다하는 것이요, 161은 지옥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며, 162는 축생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고, 163은 아귀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며, 164는 아수라의 길을 쫓아 나오는 것이며, 165는 인간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고, 166은 하늘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며, 167은 재가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며, 168은 출가의 길 가운데를 쫓아 나오는 것이며, 169는 일찌기 부처님을 만나 공양하고 오는 것이며, 170은 일찌기 친히 성현에게 공양하고 오는 것이며, 171은 일찌기 깊은 법을 얻어 듣고 오는 것입니다. 원문)) 一百七十二者捨身已入地獄 一百七十三者捨身已作畜生 一百七十四者捨身已作餓鬼 一百七十五者捨身已作阿修羅 一百七十六者捨身已生人道 一百七十七者捨身已爲人王 一百七十八者捨身已生天道 一百七十九者捨身已爲天王 一百八十者捨身已聞深法 一百八十一者捨身已得出家 一百八十二者捨身已値聖僧 一百八十三者捨身已生兜率天 一百八十四者捨身已生淨佛國 一百八十五者捨者已尋見佛 一百八十六者捨身已住下乘 一百八十七者捨身已住中乘 一百八十八者捨身已獲果證 一百八十九者捨身已入上乘 직역)) 172는 몸을 버린 뒤에는 지옥에 들어가는 것이며, 173은 몸을 버린 뒤에는 축생이 되는 것입니다. 174는 몸을 버린 뒤에는 아귀가 되는 것이요, 175는 몸을 버린 뒤에는 아수라가 되는 것이며, 176은 몸을 버린 뒤에 사람의 길에 태어나는 것이며, 177은 몸을 버린 뒤에는 인간의 왕이 되는 것이며, 178은 몸을 버린 뒤에는 천상의 길에 나는 것이요, 179는 몸을 버린 뒤에는 천상의 왕이 되는 것이며, 180은 몸을 버린 뒤에는 깊은 법을 듣는 것이요, 181은 몸을 버린 뒤에는 출가할 수 있는 것이며, 182는 몸을 버린 뒤에는 거룩한 스님을 만나는 것이요, 183은 몸을 버린 뒤에는 도솔천에 나는 것이요, 184는 몸을 버린 뒤에는 깨끗한 부처님의 국토에 나는 것이며, 185는 몸을 버린 두에는 곧 부처님을 뵈오는 것이요, 186은 몸을 버린 뒤에는 하승에 머무는 것이요, 187은 몸을 버린뒤에는 중승에 머무는 것이며, 188은 몸을 버린 뒤에는 과증을 얻는 것이요, 189는 몸을 버린 뒤에는 상승에 머무르는 것입니다. 원문)) 善男子是名一百八十九種善惡果報差別之相 如此占法 隨心所觀主念之事 若數合與意相當者 無有乖錯 若其所擲所合之數 數與心所觀主念之事不相當者 謂不至心 名爲虛謬 其有三擲而皆無所見者 此人則名已得無所有也 직역)) 선남자여 이것을 189종의 선악차별의 상이라고 이름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점치는 법은 마음에서 관하는 바의 주된 생각의 일을 따르는 것이나 만일 숫자의 합계와 뜻이 맞으면 어귿나거나 잘못이 없는 것이나 만약 그 던지는 바의 합한 수가 마음과 더불어 관하는 바의 주된 생각의 일이 서로 합당하지 아니하면 지극한 마음이 아니라고 이름하며, 헛되고 잘못된 것이라 이름합니다. 그 세 번을 던졌으되 모두가 나타나는 바가 없는 이는 이 사람은 곧 이미 무소득을 얻은 것이라 이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