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秘傳鍼灸
 
 
 
카페 게시글
일반교양 스크랩 [한문] 허사
화타 추천 0 조회 101 16.11.18 15:43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 허사 개관 >


실질적인 의미는 없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어조사, 실사 그리고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한자들이 있다. 우선 이에 대하여 아주 간단히 열거만 하니, 자세한 기능이나 의미는 후에 옥편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부정(否定)에 쓰이는 한자

(아니. ~하지 않다.), 弗(=不), 否(아니다. ~한지 ~하지 않은지), 負(~하지 않다)

(아니다. 아직 ~하지 않다.)

(아니다), 微(=非), 匪(=非)

(없다. ~하지 마라.), 毋(=無), 靡(없다)

(없다. 마라.)


받는 말(대명사)에 쓰이는 한자

(그(그것, 그사람, 그일)), 諸(그, 그것, 그것에(=之於)), 焉(이. 그),  爾(이. 그)

(이(이것, 이사람, 이일). 그)

(저(저것, 저사람). 그), 伊(저. 그)

(이. 이것. 그. 그것), 其(그)

(그것으로써(그것을 갖고). 그리하여.)


의문(疑問)에 쓰이는 한자

(어찌(왜, 어떻게).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 무슨. 어느. 누구. 어디)

(어찌. 어찌하다(=如), 奈何(어찌), 如何(어찌(=何如))

(어찌), 曷(어찌), 惡(어찌), 安(어찌. 어디), 害(어찌), 那(어찌), 遽(어찌), 詎(어찌)

(누구), 孰(누구. 어느. 무엇)

(얼마(=幾許))


주의) 의문에 쓰이는 한자가 대개 反語(반어)적으로도 쓰이고, 그리고 주로 반어적으로만 쓰이는 것도 있다.


가정(假定). 조건(條件)에 쓰이는 한자

(~하면 곧), 便(곧), 乃(~하면. ~해야)

(=則), 此(=斯)

(만약), 如(=若)

(가령), 使(~로 하여금 ~하게 하면), 設(설령)

(지금 ~한다고 치자)


비교(比較). 비유(譬喩)에 쓰이는 한자

(같다. ~처럼. ~만하다.), 若(=如)

(~와 같다.), 由(=猶)

(비슷하다. 같다.), 類(비슷하다)


사역(使役). 피동(被動)에 쓰이는 한자

使(~하여금 ~하게 하다. 시키다), 俾(~하게 하다)

(명하다), 令(시키다), 敎(하게 하다)

(강제로 ~하게 하다.), 勸(권하여 ~하게 하다)

-------------

(~하게 되다. 당하다), 受(~를 받다. ~하게 되다)

(~를 입다), 蒙(입다), 當(~를 당하다), 獲

爲~所(~하는 바가 되다)


가능성. 개연성에 쓰이는 한자

(가히 ~할 수 있다. ~하기에 가능하다. ~할 수도 있다), 能(능히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족히 ~할 수 있다)


당위(當爲). 타당에 쓰이는 한자

(마땅히. 마땅히 ~해야 한다), 宜(=當)

(가히 ~해야 한다)

(합당히 ~해야 한다)


국어의 의존명사와 비슷하게 쓰이는 한자

(~하는 바(것)), 攸(=所)

(~하는 것)

所以(까닭. ~하는 것(=所以~者))


원인. 이유(理由). 연원에 쓰이는 한자

(고로. 때문이다)

(때문에. 때문이다)

(위해서. 때문이다)

(~에서 말미암다)


추측. 짐작. 판단에 쓰이는 한자

(아마. 대략)

(생각하건데. ~듯하다), 殆(거의 ~듯하다), 危(하마터면)

(~라고 생각하다), 意者(생각하건데), 以爲(~라고 생각하다(=謂, 爲))

(~할 것 같다)


앞뒤 문장을 연결해 주는 한자

(이에(=於是, 于是). 이리하여)

(이에)

(이에)

(그로 인하여. 그리하여(이리하여))


그 외 기타

ㆍ已(~뿐(=爾, 耳, 而, 而已, 而已矣), 唯((=惟, 維)오직. 다만), 只(다만), 特(단지), 徒(단지. 그냥)

ㆍ遂(드디어. 마침내), 終(끝내), 竟(마침내), 會(때마침. 우연히), 偶(우연히(=遇)), 適(마침)

ㆍ卒(갑자기), 尋(갑자기. 얼마 안 있어), 忽(갑자기(=忽然)), 遽(갑자기), 旋(갑자기)


ㆍ每(매양. 늘), 常(늘), 頻(자주), 素(평소에), 或(간혹), 數(자주), 屢(자주. 매양), 秩(항상), 嘗(일찍이. ~한 적이 있다.), 曾(일찍이)

ㆍ昔(예전), 乃(접때), 疇(접때),

ㆍ旣(이미. 이윽고), 已(이미), 預(미리), 暫(잠시), 乍(잠깐), 間(잠시)


ㆍ苟(진실로), 誠(진실로), 眞(진실로), 固(진실로), 果(과연)

ㆍ皆(다. 모두), 相(서로), 全(모두), 擧(다), 歷(두루. 다), 餘(죄다)

ㆍ猶(오히려), 尙(오히려(=尙猶)), 反(도리어), 倒(거꾸로), 還(도리어)


ㆍ可(대략 ~쯤), 許(쯤), 所(쯤)

ㆍ於((=于, 乎)~에. ~에서. ~로), 自(~에서(장소. 시간)), 從(~에서(장소), 道(~에서), 以(~에(시간))

ㆍ益(더욱. 점점 더), 愈(더욱), 彌(더욱), 況(더구나)


ㆍ雖(비록. 비록 ~하더라도), 繞(비록), 縱(비록)

ㆍ甚(심히. 매우. 그다지(부정문에서)), 泰(심히), 差(조금), 少(조금)

 

 

 

<주요허사>

 

 

1.'於(=于,乎)

  1) 처소(장소) : ∼에,∼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나 명사구 앞에 놓임
            *''뒤에 오는 말은 보어 성분이 됨

      金時習 / 讀書 / 三角山 : 김시습이 삼각산에서 글을 읽다.
      日出 / 東山 : 해가 동산에서 뜬다.

 

  2) 시간 : ∼에,∼에서
            *시기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앞에 놓임

      三歲之習 / 至 / 八十 : 세 살 버릇이 여든에 이른다.

 

  3) 대상,목적 : ∼에게,∼에,∼을
              *사람이나 사물,사실을 나타내는 말 앞에 놓임

      己所不欲 / 勿施 /
      吾 十有五 / 而志 / 學 : 나는 열 다섯 살에 배움에 뜻을 두었다.

 

  4) 시발,유래 : ∼에게서,∼으로부터

      出 / 爾者 / 反 / (출호이자 반호이) : 너에게서 나온 것이 너에게로 돌아간다.

 

  5) 피동 : ∼에게 당하다.
         *''앞의 서술어가 타동사이면 피동을 나타냄
         *타동사 뒤에 전치사가 놓이면 피동이 됨

      治 / 人者 / 食人 / 治人者 / 食 / (치어인자식인 치인자식어인)
                 남에게 다스림을 당하는 사람은 남을 먹이고
                 남을 다스리는 사람은 남에게 먹힌다.

 

  6) 비교 : ∼보다
            *''앞의 서술어가 형용사이면 비교를 나타냄

       霜葉 / 紅 / 於 / 二月花 : 서리맞은 잎이 이월의 꽃보다 붉다.
       國之語音  / 異 / 乎 / 中國  : 우리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다르다.

 

 


2.'以' : 대체로 '∼으로,∼으로써,∼을 가지고'라고 해석
            
             어순 : 주어+서술어(동사)+목적어++보어
             도치 : 주어++보어+서술어(동사)+목적어

 

  1) 도구,수단,방법,자료 : ∼으로,∼으로써,∼을 가지고

    ①정상어순
           臣事君 / 忠 / 君使臣 / (신사군이충 군사신이례)
                   신하는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고 임금은 예로써 신하를 부린다.
    ②도치된 어순
          君子 / 責人之心 / 責己(군자책인지심책기) :
                   군자는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자신을 꾸짖는다.

 

  2) 원인 : ∼때문에,∼로 인하여

         昔者 / 辭 / 病 : 저번에는 병 때문에 사양하였다.
         勿 / 惡小 / 爲之 : 나쁜 것이 작은 것이라하여 그것을 하지 말라.

 

  3) 목적 : ∼을

         弟 / 其一 / 與兄 : 동생이 그 하나를 형에게 주었다.
         憂 / 天下(우이천하) : 천하를 근심하다.

 

  4) '以'의 특이 용법

    ① A B : AB라고 여기다, AB로 삼다.

         以人性 / 爲仁義 : 인간의 본성을 인의라고 여기다.

    ② 所以∼ : ∼이라고 하는 까닭(이유)

        敢 / 問 / 其所以異 : 감히 그것이 다르다는 까닭을 묻다.

    ③ 可以∼,足以∼ : ∼할 수 있다.

        仰 / 足以 / 事父母 : 위로 부모를 섬길 수 있다.

  ④ 何以∼ : ∼어찌하여 ∼라고 하는가?

        何以 / 謂 / 仁內義外也 : 어째서 인을 안, 의를 밖이라 합니까?

  ⑤ 有以∼ : ∼할 수 있다. 無以∼ : ∼할 수 없다.

        無以 / 顯 / 五德 : 나의 덕을 드러낼 수 없다.

  ⑥ 명사로 쓰이는 경우 : 이유,까닭

        古人 / 秉燭 / 夜遊 / 良有(고인병촉야유 양유이야)
                   옛 사람이 촛불을 잡고 밤에도 놀았던 것은 진시로 까닭이 있다.

  ⑦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以此,以是,是以,此以' : 이로써,이러므로써, 이 때문에

     以是 / 爲不恭 : 이 때문에 불공하게 되다.


3.'之'

  1) 명사++명사 : ∼의∼ <소유격으로 해석>

       君子德 : 군자의 덕       天下民 : 천하의 백성

 

  2) 명사++동사+명사 : ∼이∼,∼가∼,∼은∼ <주격조사로 해석>

       王之 / 不王也 : 왕이 왕노릇을 아니 한다
       此 / 天之 / 亡我 : 이것은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는 것이다.

 

  3) 동사+명사++명사 : ∼한∼,∼하는∼ <관형형 어미의 형태로 해석>

        積善 / 家 / 必有 / 餘慶 :선을 쌓는 집은 반드시 남는 경사가 있다.
        讀書 / 聲 : 글을 읽는 소리

 

  4) 동사로 쓰이는 경우 : ∼에 가다 <뒤에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가 옴>

        孟子 / 之 / 平陸(맹자지평륙) : 맹자가 평륙에 가시다.

 

  5) 지시 대명사로 쓰이는 경우 : , 그것

        結者 / 解 / (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그것을 풀다.


4.'而'

  1) 순접 : 그리고, 그리하여, 그래서,∼하면서

        溫故 / 而 / 知新 / 可以 / 爲師矣(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알면 스승이 될 수 있다.
        兄怪 / 而 / 問之 : 형이 괴이하게 여겨서 그 까닭을 물었다.

 

  2) 역접 : 그러나, 그런데도

        四民 異業 / 而 / 同道 : 사민이 하는 일은 다르나 길은 같다.
        靑出於藍 / 而 / 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 푸른 색은 쪽에서 나오나 쪽보다 푸르다.

 

  3)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

     '今而:지금, 昨而:어제, 暮而:저물어서, 晩而:늦게야, 早而:일찍'

        今而 / 分金 / 忽生忌兄之心(금이분금 홀생기형지심)
                    지금 금을 나눔에 갑자기 형을 싫어하는 마음이 생기다.

 

  4) 대명사로 쓰이는 경우 : , 당신

         夫差而 / 忘 / 越人之 / 殺 / 而父耶(부차이망월인지살이부야)
                   부차야, 너는 월나라 사람이 너의 아버지를 죽인 것을 잊었느냐?

 

  5) 한정 종결사로 쓰이는 경우 : '而已,而已矣'∼할 뿐이다

         亦 / 有仁義 / 而已矣 : 또한 인과 의가 있을 뿐이다.


5.'與'

 
  1)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 ∼와, ∼과

        富 / 與 / 貴 / 是 / 人之所欲也 : 부와귀는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다.
        禮 / 與 / 食 / 孰重 : 예와 식은 어느 것이 중요한가?

 

  2) 전치사로 쓰이는 경우 : ∼더불어, ∼함께

        國之語音 / 與文字 / 不相流通(국지어음 여문자 불사유통)
                   우리 나라의 말이 한문자와 더불어 서로 통하지 않는다.

 

  3) 동사로 쓰이는 경우 : ∼을 주다

        兄 / 與 / 弟 / 黃金 : 형이 아우에게 황금을 주었다.

 

  4) 의문 또는 감탄 종결사로 쓰이는 경우 : ∼인가? ∼하였는가?

        予 / 非 / 三閭大夫 / : 당신은 삼려대부가 아닙니까?

 

 

6.'自'

  1) 전치사로 쓰이는 경우(=,) : ∼으로부터

        有朋 / 遠 / 方來 : 벗이 먼 곳으로부터 오다
        禮樂征伐 / 天子 / 出 : 예·악·정벌은 천자로부터 나온다.

 

  2) 명사·대명사로 쓰이는 경우 : 자기, 자신

       爆者 / 不可 / 與 / 有言也 : 자신을 해롭게 하는 사람은 함께 말할 수 없다.

 

  3) 부사로 쓰이는 경우 : 스스로, 저절로

       自然 / 之勢也 : 저절로 그렇게 되는 형세이다.

 

  4) 숙어(A B) : A로부터 B까지

        白頭山 / 咸興山脈 / 中行(자백두산 지함흠산맥중행)
                    백두산으로부터 함흥까지 산맥이 가운데로 뻗었다.
        天子 / 以於庶人 :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7.'如'

  1) 비교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 : 같다(=), 마치∼와 같다.

        未 / 嘗見 / 如 / 此烈士 : 일찍이 이와 같은 열사는 아직 보지 못했다.

 

  2) 가정 부사로 쓰이는 경우 : 만약(=), 만약∼이라면

       如 / 詩不成 / 罰依金谷酒數

 

  3) 동사로 쓰이는 경우 : 가다(=)

        沛公 / 起 / 室 : 패공이 일어나 방으로 갔다.

 

  4)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如何, 如之何) : 어떠냐? 어찌할 것인가?

        如何 / 斯 / 可爲之士矣 : 어떻게 하여야 가히 선비라 할 수 있는가?


8.'者'

  1) 불완전 명사 : ∼이라는 것,∼하는 것,∼라는 사람,∼하는 사람

        光陰者 / 百代之過客也 : 세월이라는 것은 영원한 나그네다
        仁者 / 樂山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2) 접미사 : '今者:요즈음, 前者:저번에, 嚮者:지난번, 近者:요즈음, 昔者:옛날'

       昔者 / 高氏居于北 / 曰高句麗 : 옛날에 고씨가 북쪽에 살았는데 고구려라 했다.

 

 


9.'所'

  1) 불완전 명사 : ∼이라는 것(), ∼하는 것(), ∼하는 곳

        吾亦 / 有 / 試於客 : 나 또한 손님에게 시험할 것이 있다.

 

  2) 숙어 : 所以(이유), 所謂(이른바), A B(A에게 B하는 바가 되다)


10.'諸(저)'

   +:∼에 그것을, +:∼에 이것을

        不若 / 投江 / 而忘之(불약투저강이망지) :  강에다 그것을 던져 그것을 잊는 것만 못하다.
        君子 / 求己 / 小人 / 求諸人(군자구저기 소인구저인)
                 군자는 자신에게서 그것을 구하고 소인은 남에게서 그것을 구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