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입기
옷 입기는 반 바느질이라고 한다. 아무리 디자인과 바느질을 잘하여도 입을 줄을 모르면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좋은
의복 분위기를 조성할 수 없다. 그러나 잘 입 을 줄 알면 그 사람과 그 옷이 각각 있을때보다 더 아름답게 살아날 수 있다. 따 라서 옷을 잘
입는다는 것은 만드는 일과 같이 중요한 일이다. 우리나라 옷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이 되고 있으며 옷선 자체가 아름다 우며 동양적인
생활윤리가 내재되어 있으며 초연하고 한가로운 의복 분위기가 조성 되므로, 마음과 몸가짐을 정하게 하여야 한다. 한복을 예쁘고 개성있게
입으려면 때와 장소와 옷의 형태를 고려하여 입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복이 표현해내는 아름다움을 잃게 되고, 고상한 분위기가 사라진다.
한복은 예복, 평상복, 속옷, 그리고 부속품으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그들은 남 녀의 옷, 어른과 어린이의 옷으로 또는 계절별 옷으로
구별될 수 있다.
1) 겉옷
평상복으로서는 치마, 저고리를 입으며, 겨울에는 솜저고리, 누비저고리를 입으 며 여름에는 깨끼저고리, 적삼을
입었으나, 근래에는 겹저고리를 주로 입고 있다. 치마는 예복으로 스란치마를 입고, 활동복으로는 통치마를 입으며, 뒤트기 넓은 폭치마는 보통
평상복으로 입는다.또 겉옷으로는 방한용(防寒用)인 배자나 마고자, 두루마기를 입는다. 여자의 한복으로 갖추어야 할 옷은 저고리, 치마,
단속곳, 속적삼, 속속곳, 바지, 마고자, 두루마기, 버선 등이고, 여름에는 속적삼, 적삼, 치마, 속치마, 단속곳, 고쟁 이
버선등이다.
2) 속옷
한복의 속옷은 겉옷의
실루엣을 아름답고 유연하게 나타내주는 역할을 하므 로 겉옷을 맵시 있게 입으려면 속옷부터 바르게 갖추어 입어야 한다. 그래서 옛여 인들이
속속곳, 바지, 단속곳, 무지기, 대슘치마 등 여러개의 속옷을 겹겹이 입었 던 지혜를 헤아리게 된다. 요즈음은 평상복의 속옷으로 제일 속에
짧은 속바지를 입고, 다음에 버선목까지 오는 긴 바지, 계절에 맞게 솜바지, 누비바지, 고쟁이를 입는다. 가슴이 처진 사람은 브래지어로
바스트 포인트를 고정시키고, 속치마는 겉치마 보다 2∼3㎝ 쯤 짧게 입는다. 그 다음 겉치마는 겉자락이 왼쪽으로 여며지게 입는 데, 여며지는
정도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약 7㎝쯤이면 된다. 파티복에 어울리도록 치마를 에이라인의 넓은 폭으로 하였을 때에는 치마 속에 무지기를
입으면 안정감 있고 에이라인 실루엣이 된다. 또한 상체는 가냘프고 작 아 보이며, 하체는 풍성한 볼륨을 주므로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옛 여인들은 속적삼, 속저고리, 겉저고리 순으로 3겹을 입었으나, 요즈음은 속저 고리를 안에 입지 않고 뻣뻣한 심을 넣어 입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옷차림은 겉저고리의 보드랍고 유연한 맛을 감소기키므로 반드시 겉저고리가 얇은 감이라 하여도 뻣뻣한 심을 넣지 말고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만들어 입어야 한다. 다음 에 겉저고리를 입고 안고름을 맨 다음 겉고름을 매고 저고리 모양을
정리한다.
3) 여자 한복 입는 순서
① 짧은
속바지를 입고 브래지어로 바스트포인트를 고정시킨 다음에 긴 속바지 를 입는다. ② 속치마를 입는다. 파티용 치마일 경우에는 속에 페치코트
대용인 무지기를 입는다. ③ 치마를 입는다. 뒤트기 치마일 경우에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7㎝즘 여며지 게 입는다. ④ 속적삼을
입는다. ⑤ 버선을 신는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수눅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어야 한다. ⑥ 저고리를 입는다. 먼저
동정니를 맞추어 안고름을 매고, 다음에 겉고름을 맨다. ⑦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한다. 특히 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약 간
앞으로 숙여 입는데, 치마허리가 저고리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치마 끝에 버선이 보이지 않도록 정리한다. ⑧ 노리개를 단다.
노리개에 고리가 있을 때에는 고름코를 들고 긴고름에 고리 를 건다. 끈고리일 경우에는 긴고름에 고리를 끼워 놓고 고름을 맨다. ⑨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 위에 머플러를 단정하게 매는 것이 예의이다. 이와 같이 옷을 잘 입는다고 하는 것은 속옷부터
버선, 장신구에 이르기까지 깨 끗하고 맵시 있게 갖추어 입는 것이라 하겠다. 한복 차림에서는 언제나 동정니, 고름, 도련, 치마 길이 등을
눈여겨 살피고, 몸가짐을 단정히 해야만 멋이 더 살아 난다.
4) 남자 한복
겨울철에는
솜바지, 솜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으나 요즘은 거의 겹옷을 입 으며, 가을에는 겹옷, 여름에는 홑옷을 입는다. 예복에는 대례복과 상복이 있고
평 상복으로는 외출복, 집에서 입는 가정복, 작업을 할 때 입는 작업복으로 구별된다. 평상복으로는 속옷으로 속고의, 적삼을 입고,
겉옷으로 바지, 저고리에 조끼와 마고자를 입으며, 여름에는 고의, 적삼, 홑조끼를 입는다. 작업복으로는 여름철에 입는 등거리, 잠방이가 있는데,
요즘은 농부들이 농사일을 할 때에 많이 입는다.
5) 남자 한복 입는 순서
①
내의나 속고의를 입는다. ② 바지를 입는데, 앞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 한다. ③ 저고리를 동정니가 잘
맞게 입는다. ④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⑤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⑥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⑦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 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