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정부때 댐을 만들어 놓았다면 ◈
댐 건설이 추진됐지만 환경 단체와 주민 반대로 무산된 지역에서
올여름 큰 홍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제때 댐을 지었다면 물난리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지요
14일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폭우가 내려 물난리가 발생한
충청 지역에는 과거 상촌댐과 지천댐 등 댐 2개 건설이 예정됐었어요
해당 댐들은 2012년 이명박 정부의 ‘댐 건설 장기 계획’에 따라
추진됐다가 2018년 문재인 정부의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 발표 등을
계기로 건설이 무산됐지요
상촌댐은 충북 영동군 초강천 부근에 지어질 예정이었어요
총 저수량은 1900만t, 홍수조절량은 300만t으로 계획됐지요.
그러나 ‘4대강 사업’ 이후 대규모 토목 사업을 반대했던 전임 정부는
상촌댐을 포함해 장기적으로 계획했던 댐 건설을 모두 중단했어요
환경 단체 등이 반대한 것도 한 이유였지요
충청권에 장마가 시작된 지난달 23일부터 현재까지 영동군에는
428.5㎜의 비가 내렸어요
충청권 평년 장마 기간 전체 강수량(360.7㎜) 보다 많은 양이지요
특히 지난 6~10일 충청권을 강타한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5시간 동안 120㎜의 집중호우가 퍼부으면서 하천이 범람해
1명이 실종되고, 경부선 영동선 기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어요
예정대로 상촌댐이 지어졌다면 상류에서 지방 하천으로 내려가는 물을
잡아둘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했을 것이라는 분석이지요
충남 청양에 계획됐다가 무산된 ‘지천댐’ 일대에도 올해 홍수가 발생했어요
지천댐은 총 저수량 2100만t, 홍수조절량 400만t으로 계획됐지요
8~9일 밤 사이 시간당 10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저수지 제방이 붕괴되고 주택 5채가 침수된 충남 부여도
지천댐의 영향권에 있어요
부여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물난리가 났지요
만약 지천댐이 예정대로 건설됐다면 지천 수위를 낮추고
제방 붕괴를 막을 수 있었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어요
2020년 이후 큰 물난리가 올해까지 세 차례나 발생했지요
2020년은 중부·남부지방, 작년과 올해는 충청권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홍수가 발생했어요
하지만 해당 댐들은 2018년 문재인 정부의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 발표로 건설이 무산됐지요
환경 단체와 일부 주민이 반대한 데다 문 정부는
대규모 토목 사업에 부정적이었어요
그렇게 치수 대책을 등한시한 대가를 지금 치르고 있는 것이지요
예정대로 댐을 지었더라면 하는 탄식이 나오는 곳은 이곳만이 아니지요
정부는 태풍과 큰비로 충주댐 상류 일대가 피해가 생기자
‘장전댐’ 건설을 추진했어요
이곳도 2018년 건설 추진이 무산됐지요.
결국 2020년 8월 영월·단양, 지난해 7월 충주·단양이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보았어요
섬진강 수계의 내서댐을 만들어 놓았으면 지난해 봄 이 유역에서 발생한
극심한 가뭄 피해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었을 것이지요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 때 범람 피해를 입은 포항 냉천도
상류에 항사댐이 있었더라면 범람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란 지적이 많았어요
우리나라는 한두 달 정도에 1년 강수량의 대부분이 내리는 지역이지요
기후변화로 앞으로 어떤 극한 가뭄, 극한 호우가 닥칠지 모르는 상황이지요
나라 곳곳에 물을 가두는 ‘물 그릇’을 만들어놓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 어떤 피해가 발생할지 모르지요
특히 댐은 건설에만 6~7년이 걸리고, 후보지 선정과 토지 보상 등을
감안하면 10~20년이 필요한 장기 프로젝트이지요
환경부는 작년 홍수와 가뭄 피해를 계기로 10개 안팎의 신규 댐 건설과
리모델링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아직 대상 지역도 발표하지 못했어요
100년 대계를 위하여 서둘러 물 관리 계획을 내놓고
과감하게 실천해 나가야 하지요
-* 언제나 변함없는 조동렬 *-
▲ 지난 9일 오후 대청댐이 수문을 개방하고 있어요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날 오후 2시 초당 700t을 방류했으며 하천수위 상황에 따라 최대 1300t 이내에서 방류할 예정이지요
▲ 밤 사이 집중호우로 인해 충청을 비롯한 남부지방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AI홍수예보시스템을 통해 충청과 경북 지방에 대한 홍수위험 감지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