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도를 배우는 이 무쇠 같아야 答 許司理 壽源
黃面老子 曰 信為道元功德母fk 長養一切諸善法이라학 又 云하되 信能增長智功德이며 信能必到如來地라. 欲行千里이면 一步為初라 十地菩薩이 斷障證法門도 初從十信 而入然後에 登法雲地 而成正覺이라. 初歡喜地도 因信而生歡喜故也라. 若決定竪起脊梁骨하여 要做世出世間沒量 漢이면 須是箇生鐵鑄就底라야 方了得이라. 若半明半暗하여 半信半不信이면 決定了不得하리라.
부처님께서는 “믿음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의 어머니이다. 모든 좋은 법을 길러낸다”라고 하셨고, 또 “믿음은 슬기로움의 공덕을 더 늘릴 수 있다. 믿음으로 반드시 여래의 땅에 다다를 수 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천리를 가려면 첫 걸음이 시작입니다. 십지보살이 장애를 끊고 법을 증득하는 길도 처음 십신부터 공부에 들어간 뒤 법운지에 올라가서야 바른 깨달음을 이루는 것입니다. 처음 환희지도 믿음으로 기뻐하고 즐거운 마음을 냅니다.
확실하고 늠름하게 반드시 세간과 출세간의 훌륭한 장부가 되고자 하면 모름지기 무쇠로 부어서 만든 놈이라야 해 마칠 수 있습니다. 확실치가 않고 어정쩡한 반신반의라면 결코 공부를 마칠 수 없는 것입니다.
此事는 無人情일새 不可傳授라. 須是自家省發해야 始有趣向分이니라. 若取他人口頭辦이면 永劫에 無有歇時리라. 千萬 十二時 中에 莫令空過어다. 逐日起來應用處에 圓陀陀地함이 與釋迦達磨로 無少異어라. 自是當人이 見不徹 透不過하여 全身이 跳在聲色裏하여 却向裏許求出頭하니 轉沒交涉矣리라. 此事는 亦不在久參知識이 遍歷叢林而後에 了得이니 而今에 有多少在叢林하여 頭白齒黃하되 了不得底하나 又 有多少乍入叢林에 一撥便轉하여 千了百當底라. 發心에는 有先後이나 悟心은 無先後니라.
이 일은 인정이 없기에 전수할 수 없습니다. 모름지기 스스로 자기의 마음을 살피고 드러내야 비로소 나아갈 몫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다면 영원히 마음 쉴 때가 없는 것입니다.
부디 스물네 시간 삶 속에서 헛되이 세월을 보내지 마셔야 합니다. 날마다 주어진 삶 속의 인연에서 분명하고 분명한 것이 석가나 달마와 조금도 다를 것이 없습니다. 당사자가 철저하게 알고 있지 못하기에 온몸으로 분별 속에 뛰어들어 그 속에서 나갈 길을 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구하면 구할수록 깨달음은 더 멀어지는 것입니다.
이 공부는 또한 오랫동안 선지식을 찾아 총림을 두루 돌아다닌 뒤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의 대다수가 총림에서 흰머리 누런 이가 되도록 공부해도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더러는 잠깐 총림에 들어가서 단번에 모든 것을 알기도 합니다. 공부하는 마음을 내기에는 앞과 뒤가 있으나 깨치는 마음에는 앞뒤가 없습니다.
昔에 李文和 都尉가 參石門慈照하여 一言下에 承當하여 便千了百當하고 甞有偈하여 呈慈照하며 云하되 學道는 須是鐵漢아라야 著手心頭 便判이니 直取無上菩提하여 一切是非莫管이라. 但從脚下 崖將去하여 死便休언정 不要念後思前하며 亦不要生煩惱니 煩惱則障道也라. 祝祝하노라.
예전에 이문화 도위가 석문자조(石門慈照)를 찾아서 한 마디에 깨달아 바로 모든 것을 알았습니다. 그는 일찍이 게송을 지어 자조에게 바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도를 배우는 이 무쇠 같아야
마음을 닦으면서 바로 아나니
곧바로 무상보리 취득하여서
모든 시비들을 상관 말아라.
오직 이 자리에서 공부해 나가다가 죽어서 그만 둘지언정, 깨달음의 앞 뒤를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번뇌를 생기게 해서도 안됩니다. 번뇌는 도의 걸림돌이 되는 것입니다. 그대는 공부가 잘 되기를 빌고 또 빌겠습니다.
☞ 도를 배우는 이가 무쇠가 되어야 어떤 경계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흔들리지 않는 마음은 믿음이다. 이 믿음이 공덕이며 반야의 씨앗이다.
주1) 答
편지의 줄거리는 오래 공부하든 처음 공부하든 상관없이 화두 드는 것은, 다만 공부하는 본인의 굳은 신심에 달려 있다는 내용이다. 대혜스님이 53세(1140년) 때 경신사에서 보낸 편지이다.
주2) 許司理 壽源
이 사람의 기록은 확실하지 않다. 司理는 송나라 때 벼슬 이름이다.
주3) 이문화(李文和)
이름은 준욱이고 자는 공무이며 시호가 문화이다. 진사에 급제하고 공주와 결혼했다. 석문자조를 찾아가 깨달음을 얻었다.
주4) 석문자조(石門慈照)
임제종 분양선조(汾陽善昭)의 제자이다. 휘는 자명이고 호는 초원이며 석문은 절 이름이다. 자조는 별호인 듯하다.
출처: 禪 스승의 편지, 대혜 종고 『서장』, 원순 옮김
첫댓글 부처님께서는
“믿음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의 어머니이다.
모든 좋은 법을 길러낸다”
라고 하셨고, 또
“믿음은 슬기로움의 공덕을 더 늘릴 수 있다.
믿음으로 반드시 여래의 땅에 다다를 수 있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사람마다 다 다른 이 믿음이 하루 아침에 되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매일매일 조금씩 쌓여가는 것은 아닐까요?
주변의 친구들 중 하루 아침에 생기는 믿음만 믿고 부처님 법 만나기를 권하면 웃기만 합니다. 믿음이 없어서~~
오늘 이 " 믿음"을 깊이 새깁니다.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