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조기업의 복귀를 지원하는 단체 리쇼어링 이니셔티브는 5일 내놓은 2023년 연례보고서에서 한국을 이같이 진단했다. 지난해 미국에 새로 태어난 일자리 28만 7299개 중 14%가 한국에서 나왔다고 분석하면서다. 한국의 미국 고용 기여도는 세계 1위였다.
반면 한국은 비어가고 있다. 제조기업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공장을 동남아로 옮긴 데 이어 반도체와 배터리 등 첨단기술 기업들이 정책보조금이 많은 미국과 유럽으로 나가면서다. 2022년 한국에 순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불과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0위다. 이에 비해 한국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ODI)는 2018년부터 5년간 22.2% 늘었다. 지난해에는 633억 8000만달러에 달해 5년간 총액 3454억 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이상헌 경제산업본부장은 이런 일은 산업이 공동화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한국 기업이 세계 공급망 재편에 따라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면 한국 정부는 일본이나 동남아로 향하는 세계적 기업을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규제나 노동시장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 '한국 떠나는 게 합리적 선택'이라니…
기업들은 이제는 한국을 떠나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 4월 OCI홀딩스는 말레이시아에 2조원을 들여 태양광 폴리실리콘 생산기지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2020년 전북 군산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이듬해 설비를 말레이시아로 이전했다. 싼 인건비에 수력발전으로 전력을 100% 조달할 수 있고 미국과 유럽 시장이 요구하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조건도 충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OCI홀딩스 이우현 회장은 5월 기자간담회에서 설비 관리 외에는 (국내에서) 신사업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2차전지 소재 구리박을 생산하는 SK넥실리스는 지난해 11월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에서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전기요금과 인건비 등 원가경쟁력이 높은 말레이시아에 정읍공장 생산분을 최대한 이관해 수익성을 높일 계획이다.
원가 외에 경직된 규제 때문에 해외로 눈을 돌리는 기업도 있다. 샴푸와 린스를 제조하는 A사는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하자 반려동물 용품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기존 설비로 동물용 목욕용품을 제조하면 불법이 된다. 동물용 의약외품으로 별도 규정에 맞는 시설과 인력을 갖추어 검역본부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 회사는 베트남에 공장을 만들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