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칩의 역할을 대신 했나?는
밑에 http://cafe.daum.net/mindcontrolti/NlNw/19859 여기 꽃님 댓글들을 읽어보시고...
피해자 주위 은나노전극입자들이 무수히 날려 다닙니다. 조스들이 뿌리고 다니죠. 또 가해자 피해자 연동값 실험으로 켐트레일을 피해자 주위 반경에 무수히 뿌립니다. 디테일 공격 할려면 주거침입해서 주사기로 목 뒤쪽으로 넣기도 하고, 정확한 공격 위치에 주사기로 주입합니다. 은나노입자가 잇몸 밖으로 나오면 은색입니다. 저는 증거사진도 확보해놓았습니다. 그 은나입자로 잇몸을 마음대로 흔들리게 하거나, 물렁하게 하거나, 단단하게 하거나. 그 조종을 피해자 신체공명 bci프로그
은 나노 입자에 대한 기사
신경 장애, 생체에 이식한 신경전극으로 치료한다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나노섬유 기반의 생체이식형 신경전극 개발
- 신경장애 치료를 위한 신호 감지 및 제어시스템 연구에 기여
국내 연구진이 장기간 신경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안정하고 효율적인 생체이식형 신경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중추·말초 신경계 질병 및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장애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경전극 기반 신경신호 감지 및 제어 시스템 연구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뇌과학연구소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이수현 박사팀은 경희대학교 치과재료학교실 권일근 교수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도선희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펀지 형태의 다공성 나노섬유구조체 표면에 은 나노 입자를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전사한 신경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개발한 생체이식형 전극이 말초신경계의 신경 신호를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측정 가능하다고 밝혔다.
최근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의 신경치료는 생체 신경 신호의 측정 및 자극이 가능한 이식형 신경 전극을 삽입하는 치료방법이 주목받고 있는데 주로 척추 손상 환자의 재활과 치료, 시신경 자극을 통한 인공 시각 구성, 정신적 질환의 치료를 위한 뇌 심부 자극술등의 치료 및 재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이식형 신경 전극의 경우, 실리콘이나 고분자 필름을 하부구조로 제작되어 물질 투과성이 낮고, 체내에 이식이 된 후에 신경에 충분한 영양소 및 산소공급이 힘들며, 신경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높아 이식부위에 기계적 부조화에 의한 상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체내에서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으로 신경전극이 주변 조직과 차단되어 장기간 신경신호 검출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팀은 염증억제와 장기간 미세한 신경신호 검출을 위해서 신경전극의 유연성과 물질 투과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전기적으로 높은 감도를 갖는 신경전극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신경전극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유연성과 투과성을 갖기 위해서 나노섬유(Polyimide, 폴리이미드)를 이용하여 신경전극의 하부구조를 만들고, 그 위에 은 나노입자를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전사(Patterning, 패터닝)하였다. 그리고 전사된 은 나노입자 위에 전기적인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도성 고분자를 증착시켰다. 이렇게 제작된 신경전극은 체내 이식 후, 신경조직을 검사한 결과 신경 변형이나 위축 등 아무런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기적 신호 감도가 뛰어나고 동시에 장기간 안정적인 신경 신호 기록이 가능한 신경전극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수현 박사는 “본 연구로 개발된 신경전극은 장기간에 걸친 뛰어난 생체적합성을 검증받아 중추 및 말초신경계 손상의 신경계 장애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신경신호 검출과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신경전극 개발에 적용된 기술은 각종 체내 삽입형 소자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고 말했다.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의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으로 “신경계 장애인의 신경신호 감지 및 제어 원천기술개발”과제(총괄과제책임자, KIST 강지윤 단장) 및 KIST 기관고유사업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학회(ACS)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권위지인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NANO (IF:13.334)에 2월 14일(화)자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Flexible and Highly Biocompatible Nanofiber-Based Electrodes for Neural Surface Interfacing
- (제1저자) 허동녕 박사,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포닥(前 경희대 박사)
-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수현 박사(과제 실무책임자)
경희대학교 권일근 교수(세부과제 4, 공동연구자)
건국대학교 도선희 교수(위탁과제 연구(동물실험)
<그림 설명>
<그림 1>
다공성 나노섬유 기반의 유연한 성질의 신경전극 제작 과정
<그림 2>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된 다공성 나노섬유 기반의 신경전극 개념도
위에 은나노 입자... 입증 증거 밑에 사진들...
첫댓글 원래 치아는 평생동안 하나도 안빠진다고 합니다.
이빨 뽑히는 거 다 국정원 놈들이 하는 마컨입니다.
오늘 문자 고마웠어요.^^ 상관없으면 제발 정신과 약 먹지 마세요. 파이팅!!!!
너무 가혹하군요. 이 미친 싸이코패스놈들, 반드시 천벌받을 날이 꼭 올겁니다. 물증 잘 보관해 두십시오.
네에 꼭 천벌 받게 만들자구요... 목숨걸어 투쟁해서 님이 원하는것 나도 원하는 것... 그것 해봅시다.^^
칩이 아니 전극이라는 주장을 하는 피해자를 이상하게 보는 분... 장흥님!!! 글 잘 읽고, 님의 지식을 자알 공유합시다. 님은 상당히 똑똑한 티아이같으니...^^
남기신 댓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미안하네요. 얘기를 심하게 해서..
근데 전 밝히려는 어떤 행위에 태클을 건게 아닙니다. 설문조사든 뭐든 진행하고 있는 일들에
있어서는 어떤 태클을 걸지 않았잖아요?
다만. 피해존재의 유무를 흔드는 주장은 굉장히 위험하다고 보고 특히나 그게 어떤일을 진행하고 있는 사람이 병행할 경우엔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가해자화됐다느니 하는 얘기는 죽기보다 듣기 싫은 얘기였고. 그래서 더 공격적으로 나간 점. 이해 부탁드려요.
피해분석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님의 견해에 동의하는 부분이 많아요..
한가지만 빼고. 피해자를 두 분류로
나누는 것 까지는 이해가 가는데.
각각의 피해자에게 공격하듯이 때때로 그렇게 하지 지적하지 않으셨음하는 것. 그게 백퍼센트 정확할 수도 없구요.
님이 모든 피해자의 피해상황을 세세히 알 수는 없는거 잖아요?
참고 형식으로 이렇게 분류가 된다. 각자 어디에 해당하는지 생각해봐라. 까지만 진행돼도 충분할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여튼.
어떤 얘기 인지 잘 알겠습니다.
화이팅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