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주 이비 수상 "주권·국가 정체성 위협시 즉각 대응"
美 국경 안보 강화 약속에 통상 갈등 일단 '숨 고르기'
미국과 캐나다의 통상 갈등이 일단 소강 국면을 맞았다. 캐나다가 국경 보안 강화에 13억 달러를 투입하기로 하자 미국이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3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데이비드 이비 BC주 수상은 3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유예 결정에 따라 준비했던 모든 보복 조치를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BC주가 준비한 대응책에는 공화당 지지 성향 주(州)의 주류 제품 판매 중단, 미국 기업과의 공공 계약 제한, 핵심 광물자원과 에너지의 대미 수출 전환 등이 포함됐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이에 앞서 대규모 국경 보안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캐나다는 미국과의 국경인 49번 국도 일대에 최신형 감시 헬리콥터를 배치하고 첨단 감시 장비를 설치하며, 국경 수비대 인력도 대폭 보강할 예정이다.
불법 마약 문제 해결을 위해 펜타닐 대책관을 새로 임명하는 등 미국이 제기한 마약 밀반입 문제도 적극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주말 BC주의 펜타닐 생산 증가를 지목하며 고율 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수상도 이날 대미 보복 조치 계획을 전면 보류한다고 밝혔다. BC주와 온타리오주는 미국의 관세 부과 재추진 가능성에 대비해 보복 조치 준비 태세는 유지하기로 했다.
BC주는 장기적으로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무역 다변화도 추진한다. 이비 수상은 세계 무역 질서가 재편되는 시점에서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파트너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국은 앞으로 30일간 국경 보안 강화와 펜타닐 밀반입 차단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국경 보안 강화와 교역 다변화라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