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창골산 봉서방 원문보기 글쓴이: 봉서방*
중동의 성경적 배경
조성욱
I. 서 론
제목
자체가 쉽지 않은 주제를 받아 들고 고민에 빠졌었다. 성경 세계의 광대한 대양 속으로 작은 돛단배 타고 항해를 시작한 지 어언 17년, 난해함과
심오함의 파고 속에서 작아질 대로 작아진 심령에 성경을 그 주변 세계인 고대 근동의 삶의 자리와 연관을 시키라는 요구는 필자의 한계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또한 제한된 분량 속에 간단명료한 연구 결과물을 어찌 내놓을 수 있을지 난감하기만 하였다. 하지만 온 세계의
주재이신 성령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하며 본 주제를 향한 조심스럽고도 위험한 항해를 시도해 본다.
성경과 중동과의 역학 관계가 학자들의 관심사로 등장한 시기는 그리 오래지
않다.
1845년 11월 9일 성경의 도시 Calah1)(고대 근동에서는
Nimrud)에서 Austin Henry Layard가 발견한 Tiglath-pileser III세의 비문은 고대
근동학(Assyriology)의 새 지평을 여는 중요한 시발점이었다.2) 그 이후 계속된 고대 근동 지역에서 발굴된 유물은 성경에 기록된 도시나
사건이 실제로 존재하거나 일어났던 것임을 입증해 주는 긍정적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성경의 어떤 부분은 고대 근동의 영향 아래 이루어진 결과물이라는
섣부른 속단을 가져다 주기도 하였다. 성경과 고대 근동 자료를 병행 비교로 연구해 보면3)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유사성이 확인되고 또한 고대
근동 문서가 성경보다 더 오래 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학자들 간에는 성경의 배경이 고대 근동이라는 결론에 이른 점도 없지는
않았다.4)
하지만 이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다. 몇 가지
이유를 들어 본다.
첫째, 성장 과정이
다르다.
성경은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나 일관된 주제를 가지고 있다.5)
둘째, 수가
다르다.
고대 근동에 수를 셀 수 없는 많은 문서와 비교해 볼 때 히브리
성경(구약)은 단지 24권에 불과하다.6)
셋째, 성격이
다르다.
성경은 신앙 서적7)이지만 고대 근동 문서는 성격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성경과 고대 근동 문서와의 총체적인
비교 자체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누가 누구에게 영향을 주었는가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논란에 빠질 수 있기에 여기서는 서로간에 존재하는
유사점과 차이를 확인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Ⅱ.
본 론
A. 창조에 관하여 - 모세오경8)과 고대 근동
문학9)
1. 수메르 신화10)와 성경의
창세기11)
수메르의 대표적인 신화 ‘Enki와 Ninhursag’에
나오는 이상적인 땅과 도시인 딜문(Dilmun)12)은 다음 세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pure, 둘째 clean, 셋째 bright. 이
곳은 질병이나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 땅이다. 또한 수메르의 물의 신 엔키13)의 명령으로 단물이 솟아나고 오곡이 가득한 들판과 농장이 있는
아름다운 도시로 묘사되고 있다.
“까마귀가 울지 않으며 죽음과
황량함을 상징하는 ittidu 새의 소리가 들리지 않고 사자들은 죽이지 않고 늑대는 양을 낚아채지 않으며 어린 새끼를 노리는 들개가 없고 곡식을
삼키는 재앙이 닥치지 않으며 늙음과 병이 없어 한탄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에서….”14)
지상의 파라다이스 딜문(Dilmun)에서 지하수의 신 엔키는 땅의 어미 닌후르삭과 성관계를 맺고
닌후르삭은 임신 9일 만에 여신 닌무를 무통 분만으로 낳는다. 자신의 손녀 닌무와 관계를 맺은 엔키는 증손녀 우투를 낳고 다시 우투와 관계를
맺기 위해 오이와 사과와 포도를 선물로 바친다.15)
수메르
신화와 성경의 절대적인 차이는 신관이다. 수메르 신관은 다신론(Polytheism)으로 무절제한 성관계를 하는 인간과 다를 바 없는 존재로
묘사되는 반면에 성경의 신은 삼위일체(Trinity)의 신관16)으로 인간 측에서 신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틈을 제공하지 않는다.17) 또한
성경의 에덴 동산은 인간을 위한 것이지 신을 위한 것이 아님이 수메르의 딜문과 근본적으로 다르다.18)
2. 바벨론의 창조 (에누마 엘리쉬-마르둑의 대관식 노래)
바벨론 창조 서사시로 알려진 에누마 엘리쉬는 세상의 창조를 언급하고 있지만 기록의 주요 목적은
마루둑(Marduk)이 신의 세계에서 바벨론의 통치자로 등극하는 장면을 설명하기 위해서이다. 수메르의 엔키(Enki)에 해당하는 지하수의 신
압쑤(Abzu)와 흑암의 신 티아맛(Tiamat)19) 사이에서 메소포타미아의 크고 작은 11개의 신이 나왔다.20) 티아맛이 자기 자식을
죽이려고 시도하자 신들은 마르둑을 왕으로 삼고 티아맛과 싸우게 한다. 마르둑은 티아맛을 죽이고 그녀의 시체를 둘로 나누었고 윗조각으로는 궁창을
아래 조각으로는 땅(땅의 기초 또는 바다)을 만들었다. 그 후 마르둑은 하늘의 별을 만들었고 마지막으로 사람을 만들었다. 그 보답으로 신들은
마르둑을 위한 신전 에사길라(Esagila)와 바벨탑에 해당하는 지구랏21)을 바벨론에 지어 보답한다.22)
성경의 창조 기록이 바벨론의 ‘에누마 엘리쉬’이야기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세상의 창조는 신들 간의
전쟁이 낳은 부산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성경의 창조는 유일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획이 어떤 부조화나 분쟁도 없이 질서 가운데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 준다는 점이다. 또한 바벨론의 창조는 마르둑의 대관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성경은 최초의 인간 아담에게 초점을
맞춘다.
3. 이집트23)의 창조
눈, 대양의 신, 신들의 아버지, 빈 공간 가운데 세상이 거하며 거기로부터 산을 닮은 창조의 신
아툼24)이 솟아올랐다. 태양신25) 아툼은 바람의 신 슈와 비의 신 테프눗를 낳았고26) 슈와 테프눗은 땅의 신 겝과 하늘의 신 눗을 낳았고
바람의 신 슈에 의해서 서로 흩어졌다.27) 이집트의 신화는 나일 강에 근원을 둔 물 신화이다. 즉 물에서 태양이 떠오르고 그 태양이 창조신이
되어 바람과 비를 낳고…. 하지만 성경의 창조 기사는 삼위일체 하나님 한 분 외의 모든 만물은 그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이라고 주장함에서
이집트의 창조 신화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B. 이집트와
출애굽기
성경과 고대 근동과의 만남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이집트와의 만남이다. 특히 이집트와의 첫 만남은 야곱의 11번째 아들 요셉이 형들의 시기로 이집트의 종으로 팔려 가는 사건으로부터 시작된다.
이것은 창세기 15장에서 말씀한 출애굽 모티브28)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님의 약속 하에서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왜 성경은 탈 이집트를 주요
모티브로 설정하였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집트의 파라오를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한다.
고대 이집트의 통치자였던 파라오는 신과 동일시된 왕으로 이집트 상하의 군주로 묘사를 다스렸다.
이집트의 통치자를 일컫는 파라오(이집트어로 페르 웨르 혹은 페르 아)의 의미는 ‘큰 집’이다.29) 일반적으로 파라오의 호칭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 호르 카 나핫 하 멤 와셋 (호루스, 테베로부터 부상하는
강한 황소여!)
둘째, 네브티, 와하 네씻 미 라아 멤 펫 (두
여인이여, 하늘에서 라아 같은 영원한 왕국이 어디 있으랴!)
셋째, 호르
네부 싸헴 파흐티 다쎄르 하우 (황금의 호루스여 강한 힘과 보석이여!)
넷째, 네 쑤 빗 멘 헤페르 라아 (이집트 온 땅의 왕 라아의 형상이 남아 있는
멘케페레여!)
다섯째, 싸 라아, 다호티 메스 네페르 헤페르 (라아의
아들이여 투트모세 아름다운 형태를 가졌도다.)30)
이집트의 파라오는
힘과 부귀와 미를 추구하며 태양신의 다스림을 받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에 반하여 성경의 왕에 대한 사상은 군사력을 의지하거나 힘을 여인들에게
쓰는 것 대신 하나님의 공의와 의를 추구하며 하나님을 경외하며 의지하는 것이 확연히 다르다.31)
성경 출애굽기 1:8은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렸다고 기록한다. 그렇다면
요셉을 알았던 왕은 누구일까?
첫 파라오는 메네(Menes)부터
마지막 왕 알렉산더 대왕(332 B.C.)인데 이 근거는 주전 3세기 이집트의 제사장이었던 마네토가 ‘왕들의 연대기’를 헬라어로 쓰면서 이집트의
왕조를 30개 왕조로 나누는 데서 비롯되었다.32)
가능성 1.
이집트의 15왕조인 힉소스 왕조
이 왕조는 이집트가 아닌 외국에서 온
침입자들이 다스리던 시대였다. 힉소스 왕조는 주전 1650년경부터 1544년까지 이집트를 다스린다. 힉소스(이집트어로 헤카 하쑤트)란 뜻은
‘유랑의 왕자’이며 여섯 왕이 다스린다.
첫째 파라오-샤하이 엔
라아(라아에게 경배를)
둘째 파라오-마아 입 라아(라아의 심장과
정의)
셋째 파라오-메리 와쎄르 라아(라아의 강렬한
사랑)
넷째 파라오-쑤쎄르 엔 라아(라아에게
풍요를)
다섯째 파라오-아 와쎄르 라아(위대하고 강한
라아여)
여섯째 파라오-한디(정복자)
힉소스 왕조는 이집트 민족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집트에 살고 있던 이방인들에게 호의를 베풀었을 가능성이
높기에 후보 대상에서 빠진다.
가능성 2. 18왕조(주전
1551-1305년)
18왕조의 창시자인 아흐모세는 힉소스 왕조를
이집트에서 몰아낸 왕으로 달이 창조했다(태어나게 했다, 이아흐 메씨우)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둘째 파라오는 이멘 호테프로 뜻은 ‘태양신 아몬이
평화를 가져다 준다.’이다. 그는 아메노피스 1세로 불린다. 셋째 파라오는 투트모세 1세로 ‘문학의 신 따오기가 창조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이집트어론 다호티 메씨우). 넷째 파라오는 투트모세 2세이며, 다섯째 통치자는 하셉숫 여왕으로 태양신 라아의 정의와 힘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마앗 카 라아). 여섯째 파라오는 투트모세 3세이며, 일곱째 파라오는 아멘노피스 2세이며, 12번째 파라오는 그 유명한 투탕카문으로
이집트어로는 ‘툿 앙크 이멘’이며 뜻은 ‘태양신 아문, 음부와 문학의 신 툿과 생명’이다.
가능성 3. 19왕조(주전 1305-1196년)
첫째 파라오는 라암세스 1세로 이집트어론 라아 메씨 쑤(태양신이 그를 낳았다)이다. 둘째 파라오는
세토스 1세로 이집트어론 멘 마아트 라아(태양신이 정의를 세웠다)이다. 셋째 파라오는 라암세스 2세로 우쎄르 마아트 라아(오시리스, 정의,
태양신 라아)와 라아 메씨 쑤 메리 이멘(태양신 라아가 그를 낳았고 태양신 이멘이 사랑하는 자)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33)
출애굽기에서 증언하는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은
아마도 19왕조 때의 라암세스 1세나 2세로 추정(推定)될 수 있다. 이유인즉 라암세스의 이름이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성경의 증언에
의하면 파라오는 이스라엘 민족을 동원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세스를 건설했다고 말한다.34) 비돔은 P(r) + ‘Itm이라는 이집트어로 태양신인
Atum의 집이라는 뜻이며 라암셋은 파라오 라암세스 2세의 이름에서 딴 도시 이름으로 델타 북동쪽 지역에 건설된
도시이다.
C. 나일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에서
성경 역사는 강 사이에서35) 일어난 역사라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창세기 15:18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시는 땅의 범위를 나일 강가로부터 유프라테스 강까지를 말하고 있다.36)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강 사이를 오고가면서37) 하나님의 선민으로서의 희로애락을 경험하였다.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 때는 약속의 땅의 극대화를 누렸지만
불순종할 때는 약속의 땅이 원두막의 상직막처럼38) 되거나 심지어는 그 땅에서 뿌리째 뽑혀 원점 회귀39)되곤
하였다.
성경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고대 이집트 문명은
아프리카 적도 부근의 산악 지대부터 시작되어 지중해안까지 6,500km로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인 나일 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오래 되고
풍요한 고대 문명 중의 하나이다. 이집트인들에게 있어서 나일 강은 이집트의 생명의 원천40)으로 주전 5세기 역사가 헤로도투스는 이집트를 나일
강의 선물41)이라고 불렀다. 이집트는 Kmt-검은 땅이라고 불렀는데 이유인즉 나일 강의 범람이 가져오는 풍부한 검은 진흙(silt-침적토)을
풍요한 경작지로 제공하였기 때문이다.42) 반면 유프라테스 강은 터키의 동부 산악 지대에서 발원하여 시리아를 거쳐 페르시아 만까지
2,781킬로의 길이를 갖고 있다. 나일 강의 절반 정도의 길이지만 유프라테스 강과 곁에서 함께 흐르는 1,750킬로미터 길이의 티그리스 강
사이에 고대 근동의 도시들이 형성되었고 바벨론, 앗수르 제국이 탄생하였다. 아카드어로 pu-rat-tu, 아랍어로 Al-Furat, 고대
페르시아어로 ufratu의 의미는 ‘건너기에 좋은 강’ 혹은 ‘넓게 흘러내리는 강’이라는 뜻이다. 히브리어론 trp 혹은 rhnh(the
River), 헬라어론 Euphrates로 불린다.43)
신명기
11:8-17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들어갈 약속의 땅의 성격이 이집트 땅과 다름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네가 들어가 차지하려 하는 땅은 네가 나온 애굽 땅과 같지 아니하니 거기에서는 너희가 파종한 후에
발로 물 대기를 채소밭같이 하였거니와 너희가 건너가서 차지할 땅은 산과 골짜기가 있어서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흡수하는 땅이요 네 하나님께서
돌보아 주시는44) 땅이라 연초부터 연말까지 네 하나님 여호와의 눈이 항상 그 위에 있느니라”
(10-12절)
가나안 땅은 하늘 지향적인 땅이다. 이집트처럼
물리적 공간인 나일이 낳은 신화에 근거를 둔 땅이 아니라 인간의 지성이 도저히 이해할 수도 없고45) 신화화할 수도 없는46) 하늘의 하나님과
긴밀히 묶여 있는 땅이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받아 누릴 약속의 땅 가나안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사람처럼 큰 강의 범람이 가져다 주는 침적
토양의 혜택 하에 건설되는 바벨탑이 아니라 하늘의 하나님이 내려 주시는 은혜의 소낙비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땅임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따라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 땅에서 영구히 살 수 있는 조건은 하나님이 주신 명령을 청종하고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여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섬기는 것에 달려 있다(13-17절). 즉 요르단 강의 혜택47)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집트의 나일강과 메소포타미아의 유프라테스,
티그리스 강의 혜택으로 건설된 문명과 근본적인 차이점이다.48)
D. 이사야와 고대 근동
이사야서의 역사적 배경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장은 6장-이사야의 취임 환상, 7장-아하스 시대-주전
734/3년, 14장 28절 이하-티글랏 빌레셋 3세의 죽음, 20장 앗수르의 블레셋 침공, 36장-앗수르 왕 산헤립
침공-701년-이다.
이사야가 활동하던 주전 8세기 고대 근동의
정세는 앗수르 왕 티글랏 빌레셋 3세의 등극으로 앗수르가 거대해지자 아람을 필두로 한 북이스라엘 연합 세력들이 앗수르의 남침을 막으려고 유다를
끌어들여 반 앗수르 전선을 형성한다. 선지자 이사야는 유다 왕 아하스를 독려하여 반 앗수르 전선에 가담하지 말 것을 권고하였으나 아하스 왕은
이를 듣지 않고 오히려 앗수르의 도움을 청하고 그 결과 아람과 북이스라엘은 주전 732/1년에 티글랏 빌레셋 3세에 의해 점령당하고 북이스라엘은
유배지로 상당수의 사람들이 끌려가며 급기야 주전 721년에는 앗수르 왕 사르곤 2세에 의해 완전히 멸망당한다(사 9:13-20). 유다 또한
포도원의 남은 상직막처럼 앗수르의 영향권 하에 들어간다(사 1:7-9).
주전 727년 티글랏 빌레셋 3세가 죽자 팔레스타인 지역은 앗수르의 지배 하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이사야 선지자는 블레셋의 반 앗수르 전선에 대해 유명한 뱀 모티브49)를 통해 이와 같은 시도가 실패로 돌아갈 것을 예언하고(사
14:28-31) 결국 주전 712년 앗수르 군대에 의해 블레셋의 도시 아스돗이 점령된다(사 20:1). 이 때 히스기야 왕은 반 앗수르 전선에
가담하지 않아 화를 면하고 대신 조공을 바치나 주전 705년 사르곤 2세50)가 죽자 반 앗수르 전선 선봉에 서게 되고 주전 701년 산헤립의
침공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주전 703년 바벨론 왕 므로닥 발라단을 바벨에서 축출한 산헤립은 701년 유다와 두로와 블레셋 등 반 앗수르 전선에
가담한 나라들을 응징하는 전쟁을 직접 인솔하여 나간다. 산헤립의 침공 결과 예루살렘은 봉쇄되고 다른 모든 지역들은 점령당하고 만다.51) 그러나
산헤립의 침공 시 히스기야는 비록 막대한 조공을 바쳐 위기를 모면하려 하나(참고 왕하 18:13-16) 이에 만족치 않는 산헤립의 재차 요구에
불응하고 이사야의 예언대로 예루살렘은 화를 모면하게 된다(사 37:33-38).
이사야 19장은 이집트에 대한 이사야 선지자의 상반된 견해를 보이는 독특한 장이다. 이사야 선지자는
일반적으로 이집트에 대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이집트는 그의 힘을 의지하는 자에게 수치가 되며 수욕이 되며(사
30:1-5) 이집트는 사람이요 육체이지 신이나 영이 아니기에 무익하다(사 31:1-3).
19장 전반부(1-15절)에서도 이집트에 관한 이사야의 견해는
부정적이다.
첫째, 이집트는 우상의 나라이다(우상과 마술사와
신접한 자와 요술객이 풍성한 나라, 1, 3절). 둘째, 이집트의 정신이 쇠하여질 것이다(3절, 11-13절). 셋째, 이집트의 수자원이 고갈될
것이다(4-8절). 넷째, 스스로 분열하여 무너질 것이다(2절). 그 이유는 여호와께서 심판주로 임하시고 이집트의 지혜와 모사를 우둔케 하시고
어지러운 마음을 섞으셨기 때문이다(1, 14절).52)
후반부(16-25절)의 상황은 전반부와 완전히 다르다.
첫째, 이집트에 가나안 방언을 말하는 다섯 성읍이 있고 그 중 하나를 멸망의 성읍이라고 부를
것이다(18절). 둘째, 이집트 땅 중앙에 여호와를 위한 제단과 그 변경에는 기둥이 세워질 것이다(19절). 셋째, 이집트 사람들이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부르짖을 것이며 하나님은 구원자를 보내실 것이다(20절). 넷째, 여호와께서 이집트 사람들에게 자신을 알리시고 그들은 하나님을 경배하게
될 것이다(21절). 다섯째, 여호와께서 이집트를 고쳐 주실 것이다(22절). 여섯째, 이집트에서 앗수르로 통하는 대로가 생겨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가 하나님을 예배하게 될 것이다(23절). 일곱째, 이스라엘과 이집트와 앗수르가 복의 근원이 될 것이다. 여기서 놀라운 것은 하나님께서
이집트를 이스라엘처럼 대우하셔서 내 백성으로(ym[), 앗수르를 내 손으로 지은 자(ydy hc[m)로 부르신다는
것이다.53)
III. 결론: 성경의 사람들이 지녔던 중동
전망대
이사야의 열국 예언의 범위는 실로 광대하다. 13-14장의
바벨론, 앗수르, 15-16장의 모압, 17장의 다메섹, 18장의 아프리카 구스, 19장의 이집트, 20장의 블레셋의 해안 도시 아스돗,
21장의 해변 광야, 23장의 두로와 시돈, 30장 6절 이하의 남방 짐승에 관한 경고, 심지어 이사야의 중동 전망대의 앵글은 44장 28절의
장차 도래할 고레스 왕까지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뿐만 아니라 시간대도 넘나든다.
예레미야 선지자는 어떠한가? 25장에 그가 행한 열국 예언의 범위를 보면 바벨론과 갈대아인의 땅뿐
아니라 이집트, 모든 잡족, 우스 땅 모든 왕, 블레셋 사람의 땅 모든 왕, 아스글론과 가사와 에그론과 아스돗, 에돔, 모압, 암몬, 두로,
시돈, 바다 저편 섬의 왕, 드단과 데마와 부스와 아라비아의 모든 왕, 광야에 거하는 잡족, 시므리의 모든 왕, 엘람의 모든 왕과 메대의 모든
왕, 북방 원근의 모든 왕과 지면에 있는 세상의 모든 나라에까지 미치고 있다.
또한 46장에는 이집트, 47장은 블레셋, 48장은 모압, 49장은 암몬, 49장 23절 이하는
다메섹, 28절 이하는 게달과 하솔, 34절 이하는 엘람, 50-51장은 바벨론의 멸망에 대해 예언을 하고
있다.
예언자들이 인터넷도 없던 시대에 어떻게 중동의 정세를 읽어
낼 수 있었을까?
누가 그들에게 중동에 관한 정보와 그들의 미래에 대한
예측을 가져다 주었는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경우는 그가 태어난 곳이
중동 한복판(갈대아 우르)55)이었고 지나간 곳이 중동(하란)56)이어서 아브라함의 중동 전망대는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다.57)
하지만 예언자들의 경우는 어떠한가? 이사야의 경우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방문했거나 거쳐 갔다는 기록이 나오지를 않는데도 그가 이렇게 광범위한 지역을 조망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그
해답을 성경에서 찾고 싶다.
첫째, 하나님이 보여
주신다.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나의 하려는 것을 아브라함에게 숨기겠느냐”
(창 18:17)
둘째, 영적인 은사.
“야곱이 그 아들들을 불러 이르되 너희는 모이라 너희의 후일에 당할 일을 내가 너희에게 이르리라”
(창 49:1)
셋째, 봉한 책의 말.
“대저 여호와께서 깊이 잠들게 하는 신을 너희에게 부어 주사 너희의 눈을 감기셨음이니 눈은 선지자요
너희 머리를 덮으셨음이니 머리는 선견자라 그러므로 모든 묵시가 너희에게는 마치 봉한 책의 말이라”(사
29:10-11)58)
넷째, 기도.
“일을 행하는 여호와, 그것을 지어 성취하는 여호와, 그 이름을 여호와라 하는 자가 이같이 이르노라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비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렘
33:2-3)59)
성경의 인물들이 중동을 자세히 읽는 예는
이외에도 많이 나온다.60)
하나님은 실로 다양한 사람들을 사용하셔서
이스라엘의 이웃인 중동의 정세를 읽게 하셨고 중동을 품고 기도하게 하셨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때로 중동을 요나처럼 회피의 대상으로 생각하기도
하였고 때론 질책의 대상으로 여기기도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곳에서도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사람들이 남아 있다는 생각에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주제어
중동(고대 근동), 고대 근동학, 수메르, 이집트, 바벨론, 다신론, 삼위일체, 출애굽 모티브,
파라오, 요셉, 나일, 유프라테스, 원점 회귀, 광야 신학, 비신화화 과정, 이사야, 예레미야, 하란, 우르, 중동 전망대, 지중해
미션
참고 문헌
Albright, W. F. From the Stone Age to Christianit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Press, 1940).
Aldred, C. Egyptian art (London: Thames and Hudson,
1980).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Deutsche (Stuttgart: BibelGesellschaft, 1969/77).
Arnold, B. T. & B. E. Beyer. Readings from the
Ancient Near East (Michigan: Baker Academic, 2002).
Black, J. and A. Green.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London: The British Museum Press, 1992).
Ceram, C. W. The Secret of the Hittites (New York:
Alfred A. Knopf, 1955).
Childs, B. S.
Isaiah, the Old Testament Library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
Cho, S. U. Studies of the Cultic
Images of Seraph and Nehushtan in the Bible in light of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Jerusalem: The Hebrew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2004).
Collier, M. and B. Manley. How to
Read Egyptian Hieroglyphs (London: The British Museum Press,
2004).
Cross, F. M.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Driver, G. R. Canaanite Myths and Legends (Edinburgh:
T&T Clark, 1956).
Elgavish, D. The
Diplomatic Service in the Bible and Ancient Near Eastern Sources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8).
Encyclopedia
Miqrait, Vol 1-8 (Jerusalem: The Bialik Institute, 1950-1982)
(Hebrew).
Encyclopedia. the World of the
Bible, Genesis (Jerusalem: Rabibim, 1982) (Hebrew).
Encyclopedia. the World of the Bible, Isaiah (Jerusalem:
Rabibim, 1986) (Hebrew).
Eph`al, I.
Siege and its Ancient Near Eastern Manifestations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6) (Hebrew).
Frankfort, H.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Ancient Ori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0).
Geddes & Grosset. Ancient
Egypt Myth & History (New Lanark: The Gresham Publishing Company,
1997).
Gray, G. B. The Book of Isaiah
I-XXVII.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T&T Clark Ltd,
1912).
Hallo, William W. & K. L.
Younger. Jr. The Context of Scripture, Vol 1 (Leiden: Brill,
1997).
Hurowitz, V. A. Divine Service
and its Rewards, Ideology and Poetics in the Hinke Kudurru (Beer-Sheva,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Press, 1997).
Kaufmann, E. The History of Religion of Israel, Vol 3
(Jerusalem: The Bialik Institute, 1969).
Keel, O. Jahwe-Visionen und Siegelkunst, Eine neue
Deutung der Majestaetsschilerungen in Jes 6, Ez 1 und 10 und Sach 4 (Stuttgart:
Verlag Katholisches Bibelwerk, 1977).
Keel, O. & C. Uehlinger. (translated by Trapp, T. H)
Gods, Goddesses, and Images of God in Ancient Israel (Edinburgh: T&T Clark,
1998).
Kramer, S. N. & J. Maier.
Myths of Enki. The Crafty Go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Kramer, S. N. “Dilmun, the Land
of the Living.” BASOR 96 (1944).
Luckenbill, D. D. Ancient Records of Assyria and
Babylonia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7).
Malamat, A. Mari and Israel, Two West-Semitic Cultures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1) (Hebrew).
Naveh, J. Early History of the Alphabet, An Introduction
to West Semitic Epigraphy and Paleography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89).
Oakes, L.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Pyramids Temples & Tombs of Ancient Egypt (London:
Anness Publishing Ltd, 2006).
Oliphant,
M. The Atlas of the Ancient World (London: Ebury Press, 1992).
Pritchard, J. B. The Ancient Near East in Picture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4).
_______________.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3rd edi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Redford, D. B.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Sarna, N. M. Genesis. the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89).
von Soden, W. ed. Akkadisches
Handwoerterbuch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59-81).
Spieckermann, H. Judah unter Assur in der Sargonidenzeit
(Goe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82).
Tadmor, H. The Inscriptions of Tiglath-Pileser III King
of Assyria (Jerusalem: The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994).
Weinfeld, M. Deuteronomy 1-11. AB
(New York: Doubleday, 1991).
_______________. Social Justice in Ancient Israel and in
the Ancient Near East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5).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