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관상염불(觀想念佛)하는 법
관상염불(觀想念佛)은 행자(行者)가 먼저 서향(西向)하여 결가부좌(結跏趺坐) 또는 반가부좌(半跏趺坐)하고, 아미타불의 수인(手印)을 맺은 뒤에 부처님의 몸빛이 진금색(金色)으로 되신 일장육척(一丈六尺)의 불상이 칠보(七寶)로 된 연못 위에 서 계시거나 앉아 계신 것을 관념(觀念)하며, 또 32상(相)을 한 상(相)씩 낱낱이 관념하거나 혹은 미간(眉間) 백호상(白毫相)만 관념하는데, 이 백호상을 관념하는 것이 오래 되어서 숙습(宿)하면 자연히 감응(感應)되어 32상을 관념하는 법은 32상 중의 발바닥이 편평하게 찬 족하평만상(足下平滿相)에서부터 관념을 비롯하여 거슬러 올라가며, 한 상(相)씩 관념하여 정계육상(頂髻肉骨相)에까지 이르고, 다시 정계육골상에서부터 순(順)으로 내려오면서, 한 상씩 관념하여 족하평상까지 이르되 조금도 다른 관념이 없이 똑똑하게 관념하는 것이다.
미간 백호상을 관념하는 법은 부처님의 눈썹 사이에 위로 향하여 흰 털 하나가 있는 것을 미간 백호상이라 하니 빛깔이 선명하고 희며 광채가 있고 맑기가 백설(白雪)보다도 희며 부드럽기가 도라면 과 같고 여덟 모가 졌으며 가운데가 비고 주위가 다섯 치이며 잡아당기면 길이가 일장오척(尺)이요 놓으면 오른 편으로 다섯 번 비틀려서 유리통과 같이 된다고 한다.
이 상(相)을 관념하는 법도 32상을 관념함과 같이 조금도 다른 잡념이 없이 명확하고 똑똑하게 관념하는 것이다.
오직 아미타불 염불만이 전사혹(見思惑)을 끊지못하더라도 또한 생사윤회를 벗어날 수 있다. 또 열반의 세계인 극락에 왕생한다. 고로 염불은 어리석은 범부가 성인의 경지에 오르고 부처와 조사가 되는 훌륭한 방편인 것이다. 오탁악세를 살아가는 범부들이 이 염불 없이는 생사윤회를 어찌 벗어나리오. -염불수행대전-
원아임욕명종시 진제일체제장애 면견피불아미타 즉득왕생안락찰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극락도사 아미타여래불 🙏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