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해병대 부사관 169기 동기회
 
 
 
카페 게시글
해병대 이야기 스크랩 대한민국 해병
김영준 추천 0 조회 23 07.11.18 10:3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동영상출처 : http://www.youtube.com동영상 

 글,내용출처 :http://www.rokmc.mil.kr/bbs/main/main.jsp 대한민국 해병대 

 제목 : 대한민국 해병

 동영상 원제 : ROK Marine Corps (South Korea)

 


 

해병대 창설(‘49.4.15)
진주 주둔(’49.8~12)
제주도 주둔(‘49.12~’50.7)
해병대 군가제정(‘49.9)
창설기 교육훈련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 여건과 여ㆍ순 반란사건의 전훈에 따라
수륙양면 작전의 필요성이 높아, 1949. 4. 15 진해 덕산 비행장에서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를 창설하였다. 그 뒤 1949. 5. 5 대통령령
제88호로 해병대령이 공포되었다. 당시 초대 사령관 신현준 중령 휘하 380명은
해군에서 편입한 장교26명과 하사관 54명 그리고 병 300명(해군 13기에서
특모한 해병대 병 1기생)으로 온갖 고난과 역경을 헤쳐 나가면서
‘무에서 유를 창조 한다’는 해병대 정신으로 해병대의 굳건한 초석을 다지기
시작하였다. 1949. 8. 1장교와 하사관을 해군에서 증원 받고, 해군 14기 중
440명을 해병대 병 2기로 특모하여, 해병대는 2개 대대 규모로 증편하였다.

 

해병대와 한국전쟁 장항.군산.이리지구전투
(‘50.7.15~7.21)
진동리 지구전투
(’50.7.31~8.13)
통영상륙작전
(50.8.17~9.22)
인천상륙작전
(’50.9.15~9.20)
서울탈환작전
(‘50.9.20~9.28)
북진.철수.재 반격작전
(’50.10~‘51.1)
도솔산지구전투
(51.6.2~6.20)
김일성고지(펀치볼)지구전투
(‘51.8.30~9.3)
김포지구전투
(’51.3.7~‘53.7.27)
장단(사천강)지구전투
(’52.3.17~‘53.7.27)
전략도서 확보작전
(’51.2.14~‘53.7.27)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풍전등화의 조국을 구원하는 구국의
선봉군으로 진동리 지구 전투와 통영상륙작전에서 연전연승함으로써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영원한 애칭을
얻어냈으며,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빛나는 영예를 차지하였다.
특히,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격으로 낙동강 전선이 위기에 처했을 때, 한국 해병대는 동년 9월 15일
한반도 전세를 완전히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여 북진의 혈로를 타개하였고, 9월 28일에는 수도 서울
탈환작전을 감행하여 중앙청에 태극기를 계양하는 수훈을 세었다.
동년 10월 7일 북진의 선봉이 되어 원산ㆍ함흥지역에서 분전하던 해병대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잠시
철군하였고, 1951년 1ㆍ4후퇴 시 재 반격 작전을 개시하던 중, 동부 전선의 도솔산 지구 전투와
펀치볼(김일성 고지)지구 전투에서 ‘무적해병’의 전통을 수립하면서,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신인이 경탄할 공훈’ 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한편 해병대는 1951년 2월부터 동ㆍ서해안 전략 도서 확보 작전을 수행하여, 휴전 뒤 서해 5개 도서를 아군의
통제아래 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2년 3월 중ㆍ동부 전선에서 서부 전선으로 이동한 해병대는
장단(사천강)지구 전투 및 연천지구 전투를 1년 4개월 동안 수행하면서, 중공군의 공격을 완전히 저지하고
휴전을 맞이하였다.

 

전후 부대정비 및 배치 제1해병여단 창설(‘54.2.1) 제1상륙사단 창설(’55.1.15) 도서부대 창설(‘55.2.1)
해병대사령부 서울용산으로 이전
(’55.3.26)
보급정비단 창설(‘55.6.1) 교육단창설(’53.2.1)


장단(사천강)지구 전투를 수행 중이던 해병대 제1전투단은 1953. 7. 27 휴전협정 조인과 동시에 수도권 방어
임무를 위하여 경기도 파주군 금촌면에 전투단 본부를 설치하고 1954. 2. 1 제1전투단을 기간으로 제1여단을
창설하였고, 1954. 3. 17 미 해병대 제 1사단이 본국 철수로 작전지역의 작전권을 인수하였다.
1955. 1. 15 제1여단을 기간으로 제1상륙사단을 창설한 해병대는 상륙작전부대로서 체제를 정비하는 한편
상륙작전 및 지상 작전 임무를 수행하다가 1959. 3. 12 금촌에서 포항으로 이동하여 상륙작전 임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1상륙사단의 포항 이동에 따라, 1959. 2. 26 제1연대를 기간으로 제1임시여단을 신편, 김포반도에 계속
주둔케 하여 서부전선 및 수도권 방어를 수행하였다.
휴전협정에 의거 동ㆍ서해안 전략도서 확보작전 부대는 철수하여 제2연대에 편입하였고, 1953. 8. 15
서해도서부대를 편성, 백령도를 비롯한 서북 6개 도서를 방어하면서 1960.1. 1 해병도서경비부대로
개편되었다.
해병대사령부는 한국전쟁동안 1951. 5. 20 부산 용두산에 위치하면서 전선지역으로 이동하였고, 1955. 3. 26
부산 용두산 공원에서 서울 용산 후암동 남산 기슭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터전에 자리 잡게 되었다.

월남전 전력건설
해병대 월남전 파병
(‘65.10.9)
청룡부대 창설
(’65.9.20)
캄란지역 작전
(‘65.10.9~11.14)
뚜이호아지역 작전
(‘65.12.16~’66.8.17)
해풍작전
(‘66.7.22~8.17)
추라이지역 작전
(’66.8.18~‘67.12.21)
짜빈동 작전
(’67.2.14~2.15)
호이안 작전
(‘67.12.22~'72.01.31)
고노이섬 작전
(‘69.6.3~6.19)
베리아반도 상륙작전
(‘69.9.5~9.30)
개선 및 결과


1964. 8. 3 정부와 국회는 공산 침략에 직면한 자유월남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군의 월남 파병을
결정하였다. 해병대는 1965. 9. 20 제2여단 청룡부대를 창설하여, 우리나라 5천년 역사상 전투부대로서
최초로 이 부대를 외국 원정군으로 파월하였다.
1965. 10. 9 캄란에 상륙한 청룡부대는 뚜이호아지구, 추라이지구, 호이안지구 전투를 수행하면서,
6년 4개월 동안 짜빈동 작전 등 수많은 전투를 통하여, 조국의 명예와 해병대의 용맹성을 발휘하여
‘신화를 남긴 해병대'의 전통을 수립하였다.

 



군의 유신과업수행을 위한 군 본연의 사명을 충실히 완수하고 군의 전투력 위주로 정비를 강화하여 자주국방
태세를 조속히 확립하며 국가 자립 경제발전을 위해 경제적인 군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하여 1973. 5. 29
대통령 본부사항 및 1973. 7. 10 해병대 운영개선에 관한 국방부 훈령 제157호에 의거 해병대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해병대사령부가 해군에 통폐합 되었다.



국방부 훈령 제157호에 의거 1973. 10. 1해군본부 내 해병참모부를 편성, 운영하여 참모총장을 보좌하고
제2참모차장의 지시에 의거 해군의 상륙작전, 도서방어, 상륙전 부대의 교육 훈련과 교리 발전에 관한 사항을
분장하였으며, 1987. 11. 1해병대사령부 재창설시까지 14년간의 해병부대를 실질적으로 지휘 관리하였다.

해병대사령부 재창설(‘87.11.1) 연합해병 사령부(’92.12.1) 해병대사령부 발안으로 이전(‘94.4.6)
지휘관리개선 다목적 신속대응군


1973. 10. 10 경제적 군 운용 목적으로 해병대사령부 및 교육, 군수지원 부대가 해체되고 해군에 14년간 통합
운용된 해병대는 전력 관리상 문제점이 노출되어 상륙작전에 관한 지휘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해병대 부대를 통합 지휘할 기구인 해병대 사령부를 1987. 11. 1 재창설 하였다.
하지만 해병대사령부의 재창설에 따른 권한과 책임사상이 법적으로 보완되지 못하여 해병대 인력 관리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보고하고 법률 제정을 추진한 결과, 1990. 8. 1 국군조직법에 해병대 관련사항을 재
입법화함으로서 부대령 부대와 그 위상이 다른 직제령 부대로서 해병대 사령부가 해병대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 후 1992. 12. 1 해병대 부대를 상륙작전 위주로 운영하고 모든
예하부대를 지휘하여 연합사 전략예비부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합해병대사령부(CMFC)가
창설됨으로, 제1사단과 제6여단의 작전권을 포함한 지휘기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