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칸시티(Vatican City)/ 바티칸 박물관 (Musei Vaticani) NO.3
클레멘티노 박물관(Museo Pio Clementino)
뮤즈의 방(Sala delle Muse)
피오 클레멘티노 박물관(Museo Pio Clementino)은 1771년 교황 클레멘스 14세가 세운 미술관으로 고대 그리스.로마와 르네상스 시대 작품들을 소장하는 곳으로, 후임자인 교황 비오 6세에 의해 크게 확장되었다. 이곳에는 바티칸을 대표하는 조각상인 라오콘군상이 전시된 팔각정원(Cotile Ottagono), 유명한 조각상인 토루소(Belvedere Torso)가 전시된 뮤즈의 방(Sala delle Muse),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가족들의 석관이 전시된 그리스십자가의 방(Greek Cross Gallery), 판테온을 축소한 것처럼 만들어 놓은 많은 신화속 신들과 흉상들이 전시된 원형의 방(Sala Rotonda), 등 바티칸박물관과 그리스.로마시대를 대표하는 조각상들이 전시되어 있는 미술관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3EA73E531FD43827)
피오 클레멘티노 박물관(Museo Pio Clementino)-뮤즈의 방(Sala delle Muse)
피냐정원에서 안으로 들어가서 8각형의 벨베데레의 안뜰을 구경한 후안으로 다시 들어가면 뮤즈의 방이다. 토르소,- 토마스콘카(Tommas Conca)의 천장 프레스코화,-원형의방(네로황제욕조,헤라클레스상 등)-그리스십자가의방(바닥모자이크-전장의여신아테나와 무기 아에기스Aegis),성헬레나의 석관-2층 촛대의방(다산의 다이아나여신상)...여기까지 클레멘티노박물관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E3F3853211E2929)
▲ '뮤즈의 방(Sala delle Muse)'-'천정 프레스코(Celling Fresco)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6513F531FDACE29)
'뮤즈의 방(Sala delle Muse)'에 그려진 이 '천정 프레스코(Celling Fresc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학예, 음악, 무용, 시가 등을 관장하는 신들인 '뮤즈(Muse)'와 '아폴로(Apollo)'에 관련된 신화를 그려넣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E673F531FDACE2D)
![](https://t1.daumcdn.net/cfile/cafe/2567F63F531FDACF24)
▲ '뮤즈의 방(Sala delle Muse)'-'천정 프레스코(Celling Fresco)
![](https://t1.daumcdn.net/cfile/cafe/2156A13F531FDACF2C)
![](https://t1.daumcdn.net/cfile/cafe/2119B348531FF11002)
▲ 아폴로 키타로에두스(Apollo Citharoedus)
'아폴로 키타로에두스(Apollo Citharoedus)', '키타라'를 연주하는 아폴로(Cithara-playing Apollo)'는 '아폴로(Apollo)'의 다른 이름으로 '아폴로 무사게테스(Apollo Musagetes)'라 부르는데 이는 '뮤즈(Muses)' 신들의 수호신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이 조각상은 BC 2세기 경의 알려지지 않은 로마 예술가의 대리석 조각 작품으로 '아폴로 치타로에두스(Apollo Citharoedus)' 스타일의 대표적 사례이다. '아폴로(Apollo)'는 '이오니아 시인(Ionic Bard)'의 옷 같아 보이는 길게 늘어진 옷을 입고 월계수 관(Crowned with Laurel)'을 쓰고있다. 이 조각상은 1774년 로마에서 북동쪽으로 30㎞ 떨어진 곳에 위치한 '티볼리(Tivoli)'의 '카시우스 빌라 유적지(Ruins of Cassius Villa)'에서 '7개의 뮤즈 상(Seven Statues of the Muses)'과 함께 발견되었다. 같이 발견된 7개의 뮤즈 상(Seven Statues of the Muses)'이 뮤즈의 방에 같이 서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6BF443532007A201)
▲ 에라토(Erato) & 멜포메네(Melpomene)
좌측의 에라토(Erato)는 무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의 하나로 사랑과 서정을 맡고 있는 여신이다. 에라토의 이름은 "사랑스러운"으로 에로스에서 파생되었는데, 로도스의 시인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3권의 서두에 에라토에게 드리는 농담조의 기도가 있다. 에라토의 이름은 다른 무사들과 함께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서술되어 있다.에라토는 서정시, 그중에서 특히 사랑과 성애를 다룬 시를 맡았다. 르네상스 이후로 그녀의 모습은 장미 화관을 쓰고, 리라나 작은 키타라(아폴론 혹은 에라토 자신이 만든 악기.)를 들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시몬 부에의 그림에서는 두 마리의 거북이와 비둘기가 그녀의 발 밑에서 씨를 먹는 모습이 나온다. 다른 그림에서는 에라토가 에로스의 것으로 보이는 황금 화살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오는데, 이것에 많은 사람들이 영감을 받아 오늘날에는 에로스와 함께 등장하여 횃불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우측에 헤라클레스(Heracles)'의 칼과 가면을 들고 있는, 비극을 주관하는 '뮤즈(Muse)' '멜포메네(Melpomene)이다. 멜포메네(Melpomene)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무사의 하나로 비극을 맡고 있는 여신이다. 머리에는 사이프러스 나무로 만든 관을 쓰고 손에는 비극적인 표정의 가면과 단검 혹은 운명의 몽둥이를 들고 있으며 고대 그리스의 비극 배우들이 신던 반장화를 신은 모습으로 표현된다. 멜포메네는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로 8명의 자매 에라토(서정시/연애시의 무사), 에우테르페(음악의 무사), 우라니아 (천문의 무사), 칼리오페(서사시/영웅시의 무사), 클리오(역사의 무사), 탈리아(희극의 무사), 테르프시코레(무용의 무사), 폴리힘니아(찬가/무악의 무사)가 있다.
▲ 칼리오페(Calliope:서사시의 여신) & 클리오여신(Clio)
좌측의 '칼리오페(Calliope)'는"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여자’" 라는 뜻으로 "칼리오페이아(Calliopeia)'라고도 한다. '제우스(Zeus)와 기억의 여신 '므시모시네(Mnemosyne)'가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 '뮤즈(Muse)'의 연장자로 '서사시', 또는 '서정시'를 관장한다. 손에 서판(書板)을 들고 있거나, 머리에 금관을 쓰고 종이나 책 두루마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우측에 그리스어로 '찬양하다'라는 뜻을 가진 '클리오(Clio)'는 역사를 주관한다. '마케도니아(Maccedonia)' 왕 '피에로스(King Pieros)'와의 사이에서 '아폴론(Apollon)'의 사랑을 받은 미소년 '희야킨토스(Hiyakintos)'와 '폴리보이아(Polyboia)'라는 딸을 낳았다. '히아킨토스Hiyakintos와 폴리보이아(Polyboia)는 '라케니다몬(Rakeidamon)'의 아들 아미클라스(Amiclas)'와 '디오데메(Diodeme)'의 자식이라고도 한다. '클리오(Clio)'는 예술 작품에서 '트럼펫'과 물시계를 지닌 모습으로 묘사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1A1A3C531FFC0F19)
▲ '폴리힘니아(Polyhymnia)'폴림니아(Polymnia)
좌측의 '폴리힘니아(Polyhymnia)'는 "많은 시가(詩歌)"란 뜻으로 '폴림니스(Polymnis)' 라고도 하며 하나로 찬가와 무악, 웅변을 담당한다. 나중에는 서정시, 학예의 여신으로 불리웠다. 또한 기하학과 무언극, 명상과 농업의 여신이기도 하다. 매우 과묵한 성격의 무사로 항상 깊은 생각에 빠진 채 명상에 잠겨있다. 긴 외투와 베일을 입고 있으며, 입에 손가락을 대고 팔꿈치를 기둥에 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불멸의 명성을 얻고자 하는 작가들에게 명성을 가져다 준다 한다. 그녀는 전쟁의 신 아레스의 아들 케이마로스 또는 엘레우시스 왕 켈레우스와의 사이에서 데메테르의 첫번째 사제이며, 농업의 창시자인 트리프톨레모스를 낳았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그녀는 수금을 잘 타는 전설적인 영웅 오르페우스 또는 사랑의 신 에로스의 어머니라고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B653F531FDAD002)
▲ '탈리아(Thalia)' & '에우테르페(Euterpe)
좌측의 '탈리아(Thalia)'는 '탈레이아(Thaleia)라고도 하는데, '제우스(Zeius)'와 '헤라(Hera)', 또는 '헬리오스(Hellios)'와 '아이글레(Aaegle)' 사이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아폴론(Apollon)'과 사귀어 땅의 여신 '키벨레(Kybele)'를 섬기는 '코리반트(Corybant)'들을 낳았다고도 한다. 희극(喜劇)과 목가(牧歌) 등을 관장하며, '희극적인 가면(Antique Head)'과 '목신의 지팡이(Pedum)'를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머리(Antique Head)'와 '드럼같은 둥근 북 팀프늄(Tympnum)', 그리고 '목신의 지팡이 '페듐(Pedum)'과 대부분 코믹한 가면을 가지고 있는 '탈리아(Thalia)' 상은 주로 BC 2세기 초반과 4세기 중반 무렵 후기 고전양식에 나타나곤 하였다. 우측의 '에우테르페(Euterpe)'는 "기쁨’이라는 뜻"의 음악 또는 서정시를 주관하며, 피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트라키아 강(River Tracia)'의 신 '스트리몬'(Strimon)'과의 사이에서 '레소스(Lesos)'를 낳았다. '트라키아(Tracia)' 왕 레소스(King Lesos)'는 '에우테르페(Euterpe)'의 자매인 '칼리오페(Calliope)'의 아들이라고도 하는데, 그는 '트로이 전쟁(Try War)'에 참가하여 '오디세우스(Odiseus)'와 '디오니메스(dionimes)'의 습격을 받고 목숨을 잃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F1F39531FFBC423)
▲ 우라니아(Urania) & 테르프시코레(Terpsichore)
좌측의 '우라니아(Urania)'는 그리스어로 '하늘의’이라는 뜻으로 아홉 '뮤즈(Muse)' 가운데 천문(天文)을 관장하며, 지구와 나침반이 상징물이다. '포세이돈(Poseidon)'의 아들 '암피마로스(Ampimaros)'와의 사이에서 리듬과 멜로디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진 '리노스(Linos)'를 낳았다. 또 하늘의 신 '우라노스(Uranos)'로부터 어머니 없이 태어난 아프로디테(Approdite)'의 별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우측의 '탈리아(Thalia)'는 '탈레이아(Thaleia)라고도 하는데, '제우스(Zeius)'와 '헤라(Hera)', 또는 '헬리오스(Hellios)'와 '아이글레(Aaegle)' 사이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아폴론(Apollon)'과 사귀어 땅의 여신 '키벨레(Kybele)'를 섬기는 '코리반트(Corybant)'들을 낳았다고도 한다. 희극(喜劇)과 목가(牧歌) 등을 관장하며, '희극적인 가면(Antique Head)'과 '목신의 지팡이(Pedum)'를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머리(Antique Head)'와 '드럼같은 둥근 북 팀프늄(Tympnum)', 그리고 '목신의 지팡이 '페듐(Pedum)'과 대부분 코믹한 가면을 가지고 있는 '탈리아(Thalia)' 상은 주로 BC 2세기 초반과 4세기 중반 무렵 후기 고전양식에 나타나곤 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2C424553201B231B)
▲ 실레누스 상(Statue of Silenus) & 탈리아(Thalia)
좌측의 '디오니소스(Dionysos)'의 동료이자 후견인인 늙은'실레누스(Statue of Silenus)'상은 표범으로 보이는 가죽을 뒤집어쓰고 고대의 머리로 장식하였으며 와인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이 '실레누스 상(Statue of Silenus)'의 머리 부분은 '플라비안 황제(Emperor Flavian)'시대의 모사본이며 , 몸통 부분은 BC 1세기 중엽 부분의 모사본이다. 그러나 둘 다 '리십프스 학파(Lysippse School)'의 초기 헬레니즘 양식의 원작을 모사한 '리플리카(Reflica)' 모사본이다. 우측의 '코메디(Comedy)'또는 '탈리아(Thalia)'의 의인화(Personification)상은 대리석 헤름(Marble Herm)', '하드리안(Hadrianic)' 시대, '티볼리(Tivoli)' '하드리안 빌라(Hadrian's Villa)'내에 있던 그리스 극장(Greek theater)'에서 출토되었다.
▲ 뮤즈의 방(Salla delle Muse) 중앙의 토르소(Torso)
기원전 1세기경 그리스의 아폴로니오스(Apollonios)의 조각상으로서 카라칼라 욕장(Terme di Caracalla)에서 발견되었다. 미켈라젤로는 이 작품에 대해 "나의 스승은 벨베데레의 토르소"라고 극찬했다. 로뎅의 "생각하는 사람"의 조각상에 영감을 준 작품이라고 한다. 15세기의 기록에 의하면, 이 유명한 대리석 토르소(Torso)'는 1530년에서 1536년 사이에 이 곳 바티칸에 소장되었다 하는데, 이 곳에 자리하자 마자 예술가들로 부터 오늘날에 이르기 까지, 가장 사랑받는 고대 조각 예술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수세기 동안 다양한 해석들이 있어왔는데,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이 조각상은 '호머(Homer)'의 '일리아드(Illiad)'에 나오는 '트로이 전쟁(Troy War)'에 나오는 두명의 그리스의 영웅 중 하나인 '자살을 심사숙고하는(Contemplating Suicides)'' 아이아스 탈레모니우스(Ajax Telamonius)'로 해석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