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응애 종류 | 분포 지역 | 원래 숙주 | 현재 적용 숙주 |
Tropilaelaps clareae (인도네시아 가시응애) 2014년 까지만해도 우리나라 논문 및 자료는 이 종을 중국 가시응애라고 했슴 | 인도네시아, 필리핀, 파푸아 뉴기니 일부 | 인도네시아 최대종 꿀벌 (빙하미 꿀벌) | 인도네시아 최대종, 동양종, 서양종 꿀벌 |
Tropilaelaps mercedesae (중국 가시응애) 2014년 안동대 정철의 교수외 연구로 이 종이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가시응애라고 발표함 |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태국, 파푸아 뉴기니, 중국, 한국 등 | 인도 최대종 꿀벌 | 인도 최대종 및 최소종, 히말라야 최대종, 동양종 및 서양종, 인디카꿀벌 외 |
Tropilaelaps koenigerum (태국 가시응애) 태국에서 처음 발견하여 보고 하였슴으로 태국 가시응애로 함 | 인도, 스리랑카, 네팔, 태국, 인도네시아, 파푸아 뉴기니 일부 | 인도 최대종 꿀벌 | 인도 최대종 꿀벌 외 |
Tropilaelaps thaii (베트남 가시응애) 베트남에서만 발견됨
| 베트남 | 히말라야 최대종 꿀벌 | 히말라야 최대종 |
註) 4종의 가시응애 학명중, 우리나라 이름으로 표기된 가시응애는 중국 가시응애뿐입니다.
앞으로 두번 더 가시응애 자료를 올릴 것인데, 정확히 구분을 하여 혼동하지 않기 위해 나머지
3종의 가시응애를 우리 이름으로 붙여 봤습니다.
이 표 작성은 아래 논문을 참조 자료로 하여 작성하였으며, 이름 제정 기준은 원래 숙주의
서식 지역 및 처음 보고한 나라에 근거로 하여,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가시응애로 이름을
붙였습니다.
중국 가시응애는 30년 전, 중국에서 서양종 꿀벌을 수입해 올때 들어와 발견되어 중국 가시응애라고
지금까지 부르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명칭을 사용합니다.
<참조 논문>
1. Genetic differences between Tropilaelaps clareae and Tropilaelaps koenigerum
in Thailand based on ITS and RAPD analyses
ITS 및 RAPD 분석을 기반으로 한 태국의 중국 가시응애와 태국 가시응애의 유전적 차이
(2002년 3월 25일 접수)
2. 형태적 근거에 따른 국내 서식 중국가시응애 학명
안동 대학교 정철의 교수 외 2 (2014년 11월 3 접수)
3. Ecology, Life History, and Management of Tropilaelaps Mites
가시응애의 생태학, 생활사 및 관리 (접수 : 2016년 10월 19일)
4. Parasites, pathogens, and pests of honeybees in Asia
아시아 꿀벌의 기생충, 병원균 및 해충 : 파누완 찬타와나쿨, 릴리아 1세, 드 구즈만 (접수 : 2015년 5월20일)
가시응애의 4종류를 사진을 입수할려고 여러 논문 및 사진을 보았으나, 대부분 가시응애 종으로만
표시가 되어 어떤 종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명확히 종을 밝힌 2종의 일부 사진을 비교하는 것으로
만족해 봅니다.
2014년 까지만 해도, 우리가 중국 가시응애라고 알고 있었던 Tropilaelaps clareae 와 지금 현재,
우리의 정확한 가시응애 종인 Tropilaelaps mercedesae 를 비교해 봅니다. 현미경 사진으로는
중국 가시응애가 좀 더 크지만, 전문가들도 육안으로 보고 판별하기가 힘듭니다.
단지, DNA 염기서열 분석으로만 가능하지만, 아래 사진을 보면, 중국 가시응애가 인도네시아
가시응애 보다 밑 부분 항문판이 조금 더 넙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ropilaelaps clareae :인도네시아 가시응애>
양쪽 다리 4개, 더듬이 한쌍, 그리고 가운데 2개 협각 끝의 코일같이 생긴 가동지는 수컷의 변형된 생식기로
아래 사진 암컷의 배밑에 있는 쌍으로된 생식공에 삽입하여 가늘게 떨면서 5-20분간 계속한다.(논문 인용)
<Tropilaelaps mercedesae : 중국 가시응애>
<위의 그림 5 내용 설명>
꿀벌 번데기를 제거한 벌방 바닥에서 어미 응애(밝은 갈색, 아래 우측) 와 다른 단계의 새끼(흰색)로
이루어진 중국 가시응애 가족.
성충 가시응애는 성충 바로아 응애 보다 훨씬 더 빠르게 움직인다. 만연된 유충 벌집의 표면을
빠르게 가로질러 움직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가시응애를 잡는 것은 어렵다.
가시응애는 움직이지 않을 때는, 벌집의 배경에 대조하여 잘 위장하므로 더욱이 보기가 힘들다.
유충 벌집을 봉군에서 빼내어 탁트인 빛에 들어 올리면, 가시응애는 열린 벌방으로 또한 빠르게
들어가고, 벌방 벽에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 그곳에서 다시, 가시응애를 보기가 힘들다.
위 두 가시응애는 외형적으로 구분이 어려우나, 중국 가시응애가 항문판이 좀더 납작하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양봉하는데 무슨 도움이 되는가? 개미산 한방이면 끝나는데 하시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맞습니다. 가시응애에는 개미산이 즉방입니다.
그리고 유기양봉은 봉병에 일체의 약제를 쓰지 않고, 벌 병원균 및 해충의 발생, 원인, 감염경로 등
생태를 이해하고 대처하는 양봉이므로, 가시응애의 생물학을 이해하고, 충분히 쌓은 지식은 향후에
심각한 외부 기생충인 가시응애에 대한 병해충 집중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논문 일부 인용)
<인도네시아 가시응애 암컷 및 수컷 비교>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