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13-7 천치재 방축재
천치재~치재산(표지목 인증)~용추봉~오정자재~강천산(왕자봉 정상석 명산100+인증)~산성산~시루봉~광덕산(정상석 인증)~덕진봉~방축재(약29km/12시간)
1. 산행일자 : 2024-11-10
- 2호차 대장 누리사랑 입니다.
- 문의점이나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답글이나 전화 주세요.
- 누리사랑 : 010-7396-3573
2. 버스 탑승지 :
- 사당역 1번출구~대항병원 건너편(평일아침은 공영주차장) (23시50분)
- 양재역 12번출구 200m 국립외교원 앞 (24시00분)
- 죽전정류장(관광버스승차지점-하행) (00시15분)
- 신갈간이정류장 (00시20분)
3. 시간계획
ㅇ23:50~03:30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 산 6-1 주변
ㅇ03:30~15:30 : 산행
* 차량 대기장소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금과면 방축리 989-1 주변
ㅇ15:30~19:20 : 귀경
들머리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 산 6-1
날머리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금과면 방축리 989-1
4. 산행코스 :
천치재~치재산(표지목 인증)~용추봉~오정자재~강천산(왕자봉 정상석 명산 100+인증)~산성산~시루봉~광덕산(정상석 인증)~덕진봉~방축재(약 29km/12시간)
1) 정코스 트랙은 산능선을 타는 코스이며 강천산에서 우측능선으로 돌아가는 코스임.
2) 시간 단축을 위한 진행은 치재산까지 산능선이 아닌 임도길로 약 2.5km 올라서 등산로로 진행하는 방식임.
3) 강천산 부분에서 좌측능선은 거리가 약 8.2km인데 구름다리로 하산하여 바로 광덕산으로 오르면 거리가 3km로 5.2km가 단축된다.
- 이때 강천산이 583m이고 계곡은 261m로 322m의 고도차가 있음.
- 우측 정코스로 돌아도 연대봉, 광덕산 2구간이 고도 200m를 올라야 함.
4) 탈출로는 강천산에서 광덕산을 올랐다가 내려오면 임도가 만나는데 그곳에서 장안마을로 하산을 하게 되면 3km 줄일 수 있으며 마지막 봉우리를 오르지 않아도 된다.
- 장안마을에서 방축재 (방축마을)까지 거리가 약 4km 정도 되어서 대중교통 또는 걸어서 1시간 정도 소요됨.
* 전체산행코스와 중간에 쉬운 등산로로 진행한 코스를 더빙한 것임.
처음 천치재에서 시작하여 치재산으로 오르는 코스인데..
- 좌측 빨간색 코스가 정상적인 코스이고.! 아래 꼬불꼬불 올라가는 등산로는 임도로 해서 올라가는 부분임.
오정마을의 오정자재 (씨알농장) 부분의 진행으로 산 쪽으로 진행하여도 되고 인가가 있는 마을길로 진행하여 오정자재 쪽에서 오르는 등산로 임.
-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거리는 약 1.2km 정도 이곳 마을길과의 거리는 약 400m 정도 차이가 남.
- 마을길 진행 거리는 약 800m
* 강천산 부분의 진행방법
- 강천산 왕자봉 갈림길에서 왕자봉까지 약 200m를 왕복하여 우측 형제봉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정코스임.
- 짧은 코스는 강천산 계곡의 구름다리로 하산하여 성테마공원 (구장군폭포)쪽으로 진행하다가 광덕산으로 오르는 코스
이 코스는 강천산의 계곡 트레킹을 하는 경치 좋은 코스임.
- 짧은 코스는 강천산 계곡의 구름다리 로 하산하여 신선봉으로 바로 올라서 광덕산으로 진행하는 2가지 방법이 있음.
- 2가지 방법 다 고도 약 300m를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방식임.
- 정상적인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거리는 강천산 왕자봉 갈림길에서 광덕산까지 약 8.6km
- 단축코스인 강천산 왕자봉 갈림길에서 광덕산까지 약 3km/4.1km 정도 됨.
- 단축코스로 갈 경우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차이가 발생함.
* 광덕산에서 하산하는 길도 임도길로 내려오는 코스와 등산로로 내려오는 코스가 있음.
- 초록색으로 된 트랙은 장안마을로 내려가는 코스임.
- 탈출로는 강천산에서 광덕산을 올랐다가 내려오면 임도가 만나는데 그곳에서 장안마을로 하산을 하게 되면 3km 줄일 수 있으며 마지막 봉우리를 오르지 않아도 된다.
- 장안마을에서 방축재 (방축마을)까지 거리가 약 4km 정도 되어서 대중교통 또는 걸어서 1시간 정도 소요됨.
상기 지도와 같은 내용으로 임도길과 등산로길로 표시됨.
마지막 하산하는 길로 덕진봉을 다녀오는 코스와 직접 방축재로 하산하는 2개의 코스가 있음.
5. 등산로 현황 :
6. 좋은 사람들 산행 바로가기 : 좋은사람들 예약 홈페이지 (thealpine.net)
7. 등산지도
8. 산행지 소개
천치재는 전북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 가마골과 전남 담양군 용면 용치리 사이의 고개로 하눌재 라고도 하며 29번도로가 지나간다.
목메넘어재는 전북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와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 사이의 고개이다.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와 전북 순창군 쌍치면 양신리 경계의
치재산(591m)은 용연리 가마골의 최고봉으로 가마골은 옛날 그릇을 굽던 가마터가 많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남도의 젖줄 영산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시원정에서 건너편 암벽으로 이어지는 출렁다리에서 내려다보는 용소의 풍광이 아름답고 연못에서 용이 승천하다가 피를 토하며 죽었다하여 피잿골로도 불린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08-01 치재산 표지목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 전북 순창군 쌍치면, 구림면 경계의
용추봉(龍湫峰 560)은 산 남쪽에 있는 담양군 용연리 용추(龍湫)에서 따온 이름이다. 용연리에는 용과 관련된 지명이 많은데 용연(龍淵)과 용동은 용이 살았던 연못을 말하며, 용소(龍沼)는 625 전쟁 때 빨치산들의 본거지였던 가막골에 있는 소(沼)로 용이 살다가 승천한 곳이라고 전한다.
용추(龍湫)는 산의 형세가 솟구쳐 오르면서 수세도 좋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산에 위치한 용추사는 523년(백제 성왕 1)에 혜총(惠聰)과 혜증(惠證)이 창건하고, 624년(백제 무왕 25) 원광(圓光, 555~638)이 중창했다고 전한다.
오정자재는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와 전북 순창군 구림면 월정리 사이의 고개로 792번도로가 지나간다. 월정리의 오정 마을은 마을 다섯 곳에 아름드리 정자나무가 있던 곳이란 뜻인데, 이곳에 정자를 짓고 살면 부촌이 된다는 말을 듣고 정자를 짓게 되면서부터 오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 한 설에 따르면 다섯 명의 장정이 마을을 세워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와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경계의
강천산(剛泉山 왕자봉 584)은 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강천사(剛泉寺)라는 유명한 사찰이 있어 강천산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원래는 생김새가 용이 꼬리를 치며 승천하는 모습과 닮았다 하여 용천산(龍天山)이라 불렸다.
청계리(淸溪里)는 마을이 대나무 숲으로 덮여 있어 통대 청계리라 불렀다. 고려 시대 양씨가 제일 먼저 이거하여 차츰 취락을 형성하였고, 임진왜란 후에 주변 마을 사람들이 모여 큰 마을이 되었다고 전한다.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와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경계의
산성산(山城山 연대봉 598)은 이 산에 축조된 산성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능선을 따라 포곡식으로 금성산성이 축성되어있고, 서쪽은 담양호가 보인다. 금성산성은 시루봉을 정점으로 남문-노적봉-철마봉-서문, 동문-운대봉(최고봉)-연대봉-북문-서문으로 이어진다. 순창 방면에서는 이 산성을 연대산성, 산 이름을 연대봉으로 부르고 있다.
전북 순창군 팔덕면 장안리, 청계리와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경계의
광덕산(廣德山 564)은 전국에서 최초로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한때 용천찬으로 도 불렀다. 이는 산세가 꼬리를 치며 승천하는 형상이라하여 유래된 것이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08-02 광덕산 정상석,이정목
전북 순창군 금과면 방축리, 고례리, 팔덕면 창덕리와 담양군 금성면 덕성리 경계의
덕진봉(德津峰 384)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이전의 마을 이름이었던 덕진면 덕진리에서 따왔다. 현재의 팔덕면 창덕리(昌德里)는 본래 순창군 덕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덕진리, 평지리, 동고리를 병합하여 창덕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방축재(防築)는 전북 순창군 금과면 방축리와 전남 담양군 금성면 덕성리 사이의 고개로 24번 도로가 지나간다. 방죽골이라 부르던 것이 제방을 쌓아서 마을이 형성되었기에 방축리(防築里)라고 하였다 한다. 그러나 제방을 쌓은 곳도 없을 뿐만 아니라 방죽을 막을 만한 위치가 못되며 설사 방죽을 막았다고 하더라도 방축(防築)이란 말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마을의 형상은 쪼그리고 앉은 쥐를 삽살개가 쫓으려 하는 모양(尨逐 鼠)의 준말로 방축(尨逐)이라 하였던 것인데 한자로 표기하면서 방축(防築)으로 기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9. GPS 트랙 (설명 미포함 다음 주 설명을 포함할 예정임.)
* 하기 트랙 표시선 중에서 파란색 트랙은 정코스 트랙이고 빨간색이 설명에 포함된 트랙임.
- 정코스 진행
- 일부 임도로 쉬운 코스로 진행 (마지막 덕진봉 진행하지 않음)
- 강천산 부분 구름다리 쪽으로 하산하여 광덕산으로 오름.
- 임도로 진행 후 강천산 신선봉 방향으로 하여 광덕산으로 진행 후 장안마을로 탈출함.
- 임도로 진행 후 강천산 신선봉 방향으로 하여 광덕산으로 진행 후 종점까지 진행.
10. 참고 산행기
호남정맥 7구간 천치재~방축재 (tistory.com)
호남정맥 7구간(천치재~방축재) (tistory.com)
11. 식당 및 먹거리 및 교통
방축리토종순대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금과면 방축1길 7-1
(지번) 금과면 방축리 974-3
영업중매일 09:00 ~ 21:00
063-652-1560
금과택시
010-3644-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