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 continue the offensive towards Kiev, the German Command had to transfer a sizeable force and hundreds of panzers from the strategic reserves to replenish von Kleist’s units.
키예프에 대한 공세를 지속하기 위하여 독일 사령관은 상당한 전력과 수백대의 장갑차를 전략 예비군에서 빼서 본 클라이스트 부대를 보강했다.
If the units of the South-Western Front had succeeded in organizing better land and air reconnaissance, as well as closer liaison and troop control, the result of the counterblow would have been even more effective.
남서부 전선의 부대가 지상과 공중 정찰을 잘 조직하고, 마찬가지로 부대 통제와 긴밀한 연결에 성공한다면 반격의 결과는 더욱 효과적이다.
In these battles a great deal of credit must go to the 22nd Mechanized Corps under Major-General S. M. Kondrusev, the 27th Rifle Corps of the 5th Army under Major-General P. D. Artemenko, and the 8th Mechanized Corps under D. I. Ryabyshev.
이들 전투에서 가장 큰 공은 콘드루세프 장군 휘하의 22기계화군단, 아르테멘코 소장 휘하의 5군의 27소총군단과 그리고 리아비세프 휘하의 8기계화군단에게 돌아가야 한다.
The operations of the 8th Mechanized Corps could have yielded still better results had the Corps Commander not divided the Corps into two groups and handed over command of one group to Commissar N. K. Poppel who lacked adequate tactical training to control a large-scale engagement;
8기계화군단의 작전은 군단 사령관이 군단을 둘로 나누지 않고 그 중 한 집단의 지휘권을 대규모 전투를 통제하는 적절한 전술적 훈련을 받지 않은 포펠 인민위원에게 넘기지 않았다면 더 좋은 결과를 낳았을 것이다.
The 15th Mechanized Corps under General Karpezo fell short of its capacity, which was quite considerable for that time, in carrying out its task.
카르페조 장군 휘하의 15기계화군단은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그 당시 정말로 상당한 능력이 부족했다.
For some reason our historians seem to treat this truly great frontier battle in the initial period of the war against Nazi Germany in general outline only. It would be highly desirable to make a detailed analysis of the tactical expediency in this phase of a counterattack to use mechanized corps against the breakthrough of the main group of enemy troops, as well as the organization of the counterattack itself. After all, it was thanks to these actions of our troops that the enemy plan of a swift thrust to Kiev was thwarted at the outset. Having sustained heavy losses in this fighting, the enemy learned of the staunchness of the Soviet soldiers who were prepared to fight to the last drop of their blood.
몇몇 이유로 우리의 사가들은 이 전투들을 일반적인 개요만으로 나치 독일에 대한 전쟁 초기의 대단한 국경전투로 취급할지도 모른다. 반격작전의 조직 그 자체와 마찬가지로 적의 주요 부대에 의한 돌파작전의 이러한 기조에서 전술적 방편에 대해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물론 키예프를 신속하게 돌파하려는 적의 계획을 시초에 좌절시킨 우리 군대의 이러한 조처 (action 전투) 에 감사한다. 적은 이 전투에서 엄중한 손실을 입으면서 마지막 피 한 방울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는 소련 군인들이 강고함을 알게 됐다.
Of considerable interest is the evaluation of this battle offered in the reminiscences of General Hoth, former commander of the German 3rd Panzer Group:
독일 3장갑집단의 전 사령관이었던 호스 장군은 회고록에서 이 전투에 대해 상당히 흥미로운 분석을 제공한다.
“The worst of the fighting fell to the lot of Army Group South. Enemy forces on the defensive against the formations of the northern wing were pushed back from the frontier but soon succeeded in getting over the surprise and checked the advance of the German forces by counterattacks of reserves and tank units from rearward areas. The tactical breakthrough of the 1st Panzer Group attached to the 6th Army was not achieved until June 28. A formidable obstacle hindering the advance of German forces were the powerful enemy counterblows.”
“최악의 전투는 남부 집단군의 몫이었다. 북쪽 날개 편대에 대항하는 수세의 적군은 전선으로부터 밀려났지만 곧 기습을 극복하고 후방지역에서 온 탱크부대와 예비군의 반격에 의해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였다. 6군에 배속된 1장갑집단의 전술적 돌파는 6월28일까지 달성하지 못했다. 적의 강력한 반격은 독일군 진격을 방해하는 엄청난 장벽이었다.”
From my phone talks during those days with General Vatutin in Moscow, I learned that on the Western and North-Western Fronts the commanding generals and their staffs still had no reliable communications with the commanders of armies. Our divisions and corps had to fight in isolation, without cooperation with the neighbouring troops and aviation, and without proper direction from the centre. It became clear to me from Vatutin’s reports that an exceptionally difficult situation had developed on the Western and North-Western Fronts.
모스크바에 있는 바투틴 장군과 그 기간 동안 전화로 대화하면서, 서부와 서북부 전선에서 장성급 지휘관들과 참모들이 군의 지휘관들과 신뢰할만한 통신수단을 아직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우리 사단과 군단은 고립되어 전투를 할 수밖에 없었다. 이웃 부대와 항공대와의 협조가 없었고, 중앙으로부터 적절한 지시도 없었다. 비상하게 어려운 상황이 서부와 서북부 전선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바투틴의 보고에 의해 명확히 알게 되었다.
Vatutin told me that Stalin was perturbed and tending to blame everything on the Command and Staff of the Western Front; he was accusing Marshal Kulik for inactivity. Marshal Shaposhnikov, who was at the Headquarters of the Western Front, reported that Kulik had been at the Headquarters of the 3rd Army in the morning of June 23, but communications with it had been cut off.
스탈린이 혼란스러워하며 서부전선의 사령관과 참모애개 온갖 비난을 쏟아내는 경향이 있다고 바투틴이 말해줬다. 스탈린은 쿨릭 원수가 나태하다고 비난하였다. 서부전선 사령관 샤포스니코프 원수는 쿨릭이 6월 23일 아침에 3군 본부에 있었지만 연락이 두절되었다고 보고하였다.
Some time later, however, the General Staff managed to learn from various sources that large-scale enemy groups of armoured and mechanized forces had broken through in several sectors of both Fronts and were swiftly moving into Byelorussia and the Baltic area…
그러나 얼마 후 총참모장은 다양한 소식통을 통해 대규모 적 무장 집단과 기계화 전력 집단이 양 전선의 여러 지역을 돌파하고, 빠르게 벨로루시아와 발틱 지역으로 이동하리라는 사실을 가까스러 알아냈다.
Thus began the grim trials of the Soviet people.
따라서 소련 인민에게 가혹한 시련이 시작되었다.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blame the Command for not having ordered our main forces to pull up from the interior to repulse the enemy. I do not venture to state what would have happened if this were done: whether the result would have been better or worse. It is quite possible that, being under-equipped with anti-tank and anti-aircraft facilities and being less mobile than the enemy, our troops may have failed to withstand the powerful slashing thrusts of the enemy panzer forces and may therefore, have found themselves in as grave a predicament as some of the armies of the frontier districts. How can one tell what may then have developed at the approaches to Moscow and Leningrad, and in the south of the country.
최근에는 적을 격퇴하기 위해 내부에서 우리 주력부대를 철수하도록 지시하지 않은 사령부를 비난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만약 이렇게 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 다시 말해서 그 결과가 좋았을지 나빴을지 감히 말할 수는 없다. 적보다 이동수단이 적고, 대전차와 대공 장비가 적은 상태에서 우리 부대가 적의 장갑부대의 강력한 돌격을 저지하는데 실패할지도 모르고 아마도 이로 인해 국경지대의 일부 군대들과 같은 엄중한 곤경에 처할 수도 있다.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 그리고 남부 지역에 접근했을 때 어던 일이 발생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It will only be fair to add that the Nazi Command had seriously counted on our rushing the main forces of the Fronts closer to the frontier, where it planned to encircle and destroy them. That, indeed, was the main objective of Plan Barbarossa at the start of the war.
나치 사령부는 우리의 국경 주력부대를 국경에 가까이 몰아붙여 그곳에서 자신들의 부대를 포위하고 파괴시키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을 진지하게 기대하고 있었다고 덧붙이는 게 더 타탕할 것이다. 사실 그것이 전쟁이 시작될 때 바르바로사 계획의 주요 목표였다.
Early in the morning on June 26 General Vatutin called me at the command post in Ternopol.
6월 28일 아침 일찍 바투틴 장군은 테르노폴 지휘소에 있는 나에게 전화를 걸었다.
In the Baltic area and Byelorussia, he informed me, the situation was extremely unfavourable. The 8th Army of the North-Western Front was withdrawing towards Riga, the 11th Army was fighting its way towards Polotsk the 21st Mechanized Corps was being rushed from the Moscow Military District to reinforce the Front. Stalin had ordered the activation of a Reserve Front, which was to be deployed on the Sushchevo-Nevel-Vitebsk-Mogilev-Zhlobin-Gomel-Chernigov-the Desna-Dnieper line. It would incorporate the 19th, 20th, 21st and 22nd armies.
발틱과 벨로루시아에서 상황은 지독하게 나빠졌다고 나에게 보고했다. 북서부 전전의 8군은 리가 방면을 향해 후퇴하고 있으며, 11군은 폴로츠크를 향하는 길목에서 전투중이며, 11 기계화군단은 모스크바 특별 군관구로부터 전선을 보강하기 위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스탈린은 예비 전선을 활성화시키라고 명령을 내렸습니다. 예비전선은 수스체보-네벨-비텝스크-모길레프-즐로빈-고멜-체르니고프-데스나 드니에페를 연결하는 선입니다.
Basically, this was the line People’s Commissar Timoshenko and I and a group of General Staff officers had reconnoitred in May, planning to hold staff exercises there to verify our projects for troop control on an operational scale.
기본적으로 이곳은 인민위원 티모센코와 나, 그리고 총참모부 장교들이 5월에 정찰했던 라인으로, 작전 규모로 부대 통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그곳에서 참모 훈련을 실시할 계획이었다.
In those days neither the Front commands, nor the High Command, nor the General Staff had complet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enemy forces deployed against our Fronts. The General Staff was receiving plainly exaggerated intelligence from the Fronts about the enemy’s panzer, air and motorized units. Today, when we have all but exhaustive information about the strength of both sides, we can fill in the picture and take stock of the Soviet forces in the frontier military districts and then of the deployment of the German forces which invaded our country. No few articles and books have been written on this subject already, but in several cases they are tendentious and lack the necessary expertise.
당시에 전선사령부나 최고사령부, 그리고 총참모부 어느 곳도 우리 전선에 대항하여 배치된 적의 전력에 관한 정보를 완벽하고도 충분히 가지고 있지 못했다. 총참모부는 적의 장갑부대, 항공부대, 기동화 부대에 대한 전선으로부터의 과장된 정보를 받고 있었다. 오늘날 양측의 전력에 관한 거의 완전한 정보를 갖고 있다면, 조국을 침략한 독일 전력의 배치에 대해 우리는 국경군사지구에 소련 전력을 비축하고 상황도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주제에 대해 이미 집필된 책과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여러 사례에 있어서 전문성이 부족하고, 편향적이다.tendentious
They inform us that on the eve of the war 170 Soviet divisions were dispersed over a vast territory with a frontage of nearly 4,500 kilometres from the Barents to the Black Sea, with the depth of troop dispositions spanning 400 kilometres, without the density on the crucial sectors essential to repulse the enemy.
전쟁 전야에 170개의 소련 사단이 바렌트부터 흑해에 이르는 거의 4,500km에 이르는 전선에 400km의 폭으로 배치가 되어 광범위한 영토에 퍼져있어, 적을 격퇴하기 위한 필수적인 결정적 지역에 대한 밀집도가 없다고 나에게 보고했다.
That was not exactly the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Barents Sea and the Black Sea does total 4,500 km, but only if the entire shoreline covered by the coast defences and the Navy is added to the land border covered by the five military frontier districts. As it happened, there were no troops at all along the Gulf of Finland shore from Tallinn to Leningrad. The 170 Soviet divisions, therefore, really manned 3,375 km. Along the land border, the troop density of the various groupings differed, depending on local conditions an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each sector.
그것은 정확하지 않다. 바렌트해와 흑해 사이의 거리는 전체가 4,500km이지만, 이는 해안 방어와 해군이 보호해야 할 해안선에 다섯 개 전선 군관구가 보호해야 할 육지 경계를 더해야 한다. 전쟁이 발생했을 때 핀란드 연안의 만을 따라서 탈린에서 레닌그라드까지 부대가 전혀 없었다. 따라서 170개의 소련 사단은 실제 3,375km에만 배치되어 있었다. 육상 경계를 따라 다양하게 묶인 부대 밀집도도 각 구역의 지역 조건과 전략적 중요성에 따라 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