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이 높은 판단력은 인간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져 왔으나 수년전에 흥미를 끌었던 알파고와 이세돌과의 대국으로 그 경계가 허물어지는가 싶더니 근래는 chatGPT의 등장으로 논리력과 정보 조합력에서 이미 기계는 사람의 평균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래는 chatGPT에게 물어본 질문이다.
한국 개신교의 약점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weaknesses of Korean Protestantism?
이에 대한 대답은
다른 종교 운동과 마찬가지로 한국 개신교에도 강점과 약점이 있습니다. 한국 개신교의 약점은 다음과 같다.
- 계층 구조: 많은 한국 개신교 교회는 계층 구조로 조직되어 소수의 개인에게 권력이 집중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부패, 권력 남용 및 책임 부족과 같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번영 복음: 일부 한국 개신교는 물질적 부와 성공을 하나님의 은총의 표시로 강조하는 번영 복음을 전파합니다. 이것은 물질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사회 정의 문제를 소홀히 할 수 있습니다.
- 편협: 일부 한국 개신교는 다른 기독교 교단과 비기독교 종교를 포함한 다른 종교 집단에 대해 편협하다는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 정치 참여: 일부 한국 개신교 교회는 정치에 지나치게 개입하여 종교와 정치 제도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진다는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 다양성 부족: 한국 개신교는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많은 교회가 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고 외국인을 덜 환영합니다.
전반적으로 한국 개신교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지만 약점과 도전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놀래 자빠질 답변이다.
---------------------------------------------------------------------------------------------------
어라? 이녀석 상당하다??!! 그래서 아래 질문을 던져보았다.
한국 개신교의 개혁 과제는 무엇인가?
What are the reform tasks of Korean Protestantism?
이에 대한 답변
최근 몇 년 동안 한국 개신교를 위해 몇 가지 개혁 과제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작업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패와 권력 남용 문제 해결: 한국 개신교는 부패와 권력 남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계 구조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개혁 노력은 교회 내에서 더 큰 책임과 투명성을 창출하는 데 집중되었습니다.
- 사회 정의 육성: 한국 개신교 내에서 빈곤, 불평등, 차별과 같은 사회 정의 문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개혁 노력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더 많은 참여와 사회 정의에 대한 더 큰 헌신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 다양성 포용: 한국 개신교는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많은 교회가 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개혁 노력은 보다 포용적이고 다양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집중되었습니다.
- 번영 복음에 대한 언급: 일부 한국 개신교 교회는 물질적 부와 성공을 하나님의 은총의 표시로 강조하는 번영 복음을 전파한다고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개혁 노력은 사회적 책임과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를 강조하는 믿음에 대한 보다 전체론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에큐메니즘 촉진: 한국 개신교는 다른 기독교 종파와 비기독교 종교를 포함한 다른 종교 집단에 대해 편협하다는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개혁 노력은 더 큰 에큐메니컬 대화와 이해를 촉진하는 데 집중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한국 개신교의 개혁 과제는 교회 내에서의 사회적 책임, 다양성 및 포용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와....... ㄷㄷㄷ
한 발 더 나아가 약간 복잡한 질문을 던져봤다.
미국 개신교와 한국 개신교를 비교해봐라
Compare American Protestantism and Korean Protestantism.
답변;
번역결과
미국 개신교와 한국 개신교는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둘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도 있습니다.
몇 가지 유사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도에 대한 강한 강조: 미국과 한국의 개신교는 모두 전도와 기독교 메시지 전파에 중점을 둡니다.
- 성경의 중요성: 미국과 한국의 개신교는 모두 성경을 중심 본문으로 삼고 영감을 받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해석합니다.
- 교파의 다양성: 미국과 한국 개신교는 모두 다양한 교파와 신학 전통을 특징으로 합니다.
- 은사주의 운동: 미국과 한국의 개신교는 모두 성령의 역할과 예배와 영적 실천에서의 초자연적 경험을 강조하는 은사주의 운동에서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습니다.
몇 가지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회에서의 역할: 한국에서 개신교는 정치적, 경제적 발전을 포함하여 현대 한국 사회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대조적으로 미국 개신교는 미국 사회를 형성하는 데 덜 지배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 유교의 영향: 한국 개신교는 사회적 위계와 권위 존중을 강조하는 유교의 영향을 받아왔다. 이로 인해 한국 개신교는 더욱 위계적인 구조를 갖게 되었고 교회 지도자에 대한 순종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습니다.
- 정치 참여: 한국 개신교는 정치에 더 많이 관여해 왔으며 일부 교회와 지도자들은 민주주의, 인권, 북한과의 통일과 같은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했습니다. 반면에 미국 개신교는 역사적으로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강조해 왔습니다.
- 사회정의에 대한 태도: 미국과 한국 개신교 모두 사회정의를 중시하는 반면, 한국 개신교는 빈곤, 불평등, 차별과 같은 문제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전반적으로 미국 개신교와 한국 개신교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지만 두 개신교는 서로 다른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어 실천과 믿음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를 가져왔습니다.
후덜덜!
이미 chatGPT의 번역 수준은 거의 완벽에 가깝다. 구글 번역기가 갖고 있는 한계를 단숨에 뛰어넘은 것 같다. 바벨탑의 혼돈은 점점 경계가 옅어질 것인가?
*읽으신 후 댓글을 올려주세요. 여러분의 댓글은 좋은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첫댓글 대단합니다.^^ IQ 지능은 인간을 능가하지만 인간처럼 영혼과 사랑 슬픔 등의 감정은 없습니다.
IT 전공자로써
이런 진보가 달갑지만은 않으나
한편으로는 사용상 편리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출처가 어딘가요? 아닐 수도 있지만 어휘나 표현에서 다소 조작의 스멜이...ㅎㅎ
요즘 인터넷에 가짜들이 적잖다보니 이것도 의심하게 되네요.
그렇든 아니든, 특이점은 이미 지났다는 주장도 보이더군요.
AI 사용한다고 하면 사람들 몰려드는 현상도 일반화 된 것 같습니다.
모두 돈 때문이지요.
본문에는 없지만 한미의 주류 개신교 유사점은 돈을 너무나 좋아하며 노골적으로 추구한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천박하기 그지 없습니다.
크롬에 확장팩으로 chatGTP를 추가할 수 있고, 또다른 확장팩으로 실시간 번역도 쓸 수 있습니다. 채팅창에 직접 얻어낸 결과입니다.
이미 미국 의사시험과 변호사 시험에서 상위 85% 이상의 합격 수준을 보였다 합니다. 사실에 기반한 논리추론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놀라울 따름이죠
@iDeaRush 오, 직접 해보신 결과물이군요. 대단하십니다.^^
그사이 자동번역기 수준마저 매우 향상된 것 같네요.
정말 빠른 변화의 속도입니다.
우와 사람보다 낫네요^^
주관적 쏠림이 없는 무난한 대답 수준까지는 이미 넘어섰습니다
개성, 감성, 예술성 따위의 영역은 인간 고유의 것일테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문서로 기록되어진 온갖것들을 컴퓨터가 집어삼켰고 그것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구조입니다
ㅎㅎㅎ
쳇 gpt가 감정, 예술성, 창의성까지 가지게 이미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AI가 거짓말도 합니다. 편견도 있고요. 스스로 인식하고 결과를 판단할 것입니다.
ㅎㅎㅎ
ㅎㅎ 그러니 설교도 Al가 하라고 그러죠..
그게 소위 영혼 없는 설교가 되는 건가요?
후덜덜한 일들이 매우 자연스럽게 일어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