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병원의 설립자 이야기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참된 기부)
미국에서 은행에 다니던 청년이 있었습니다. 그는 1859년,세계 최초로 석유갱이
발견되자 친구 '록펠러'와 함께 석유 회사를 세웠습니다.
사업은기대 이상으로 성공했고, 그는 벼락부자가 되었습니다.
고향 '클리블랜드'로 돌아온 그는, 새로운 사업을 벌였습니다.도시 곳곳에 건물을 세우기
시작했는데 누구나 갈 수 있는 학교, 병원, 교회를 지었습니다.그리고 완공된 건물을 시에
기증했습니다.그의 이름은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입니다.
그는 빈민과 고아를 돌보았던 부모의 정신을 이어 받아 평생 자선 활동에 헌신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1900년의 어느 날, 그는 뉴욕 '카네기 홀'에서 한 연설을 듣게 되었는데
연사는 당시 조선에서 의료 봉사 활동중이던 의사 '에비슨'이었습니다
에비슨
'에비슨'은 이렇게 간절히 호소했습니다. "조선에 있는 병원들은 병원이라 부를 수 없을 만큼
빈약합니다. 간호사도 없이 한 명의 의사가 모든 것을 운영합니다.“
초창기 세브란스 병원 (당시 서울역 건너편)
이 연설을 들은 '세브란스'는 흔쾌히 기부했고, 4년 후 '경성'에 조선 최초의 종합병원인
"세브란스 병원"(현재 서울 신촌에 있는 '새브란스'병원의 모체이며 당시 기부한 금액은
현재 가치로 약 5,000억원 이상 이었음)이 세워졌습니다.
조선의 왕부터 백성까지 누구나 진료 받을 수 있는 자선병원이었습니다.
그뿐 아니라 자신의 주치의인 '어빙 러들로'도 조선으로 보냈습니다. '
러들로'는 26년 동안 외과 전문의로 활동하며 낙후된 조선의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러들로'가 본국에 입국한 이듬해,'루이스 헨리 세브란스'는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아무런 유언도 남기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그의 주머니에서 발 견된 낡은 수첩에는 기부를 약속한 여러 곳의 이름이 빼곡이
적혀 있었습니다
세브란스
그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약속이 지켜질 수 있도록 기금까지 마련해 두었으나,
정작 자신 명의의 집은 한 채도 없었다고 합니다. 그는 생전에 기부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습니다."받는 당신보다 주는 내가 더 행복합니다."
세상에는 "주는 일"을 할 수 있는다양한 방법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방법이든 동기가 순수해야 합니다.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나 상업적인 이득을 위한 목적으로 "주는 일"을 한다면 진정한
행복을 맛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동기로"주는 일"을 할 때 참된 행복과
만족을 누릴 수 있을까요? (펌글)
첫댓글 의료 보험의 정착으로 쉽게 래원을 할수있어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닙니다. 병원의존형 까지 늘어나 난무하고 있지만 동네 전문의와의 상담은 큰 위안이 되고 있습니다. 많이 걸으시며 건강을 지키는 일이야 말로 최고의 건강법 입니다. 활기찬 하루 맞이 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