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라는 단어는 한자로 "長雨"로 쓰며, "장(長)"은 '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마(雨)"는 '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장마"는 길고 지속적으로 내리는 비를 의미한다.
일본어로는, 쯔유, 바이우 중국어로는 '메이위 (つゆ,ばいう梅雨, 黴雨) 또는, 사미다래(サミダレ,五月雨)다. 사미다래는 음력 5월에 내리는 비를 말하고, 쯔유, 바이우는 매실 딸 때 내리는 비를 말한다.
梅雨는 쯔유, 바이우, 두가지로 읽는데, ‘쯔유’로 읽을 때는, ‘장마’ 단독으로 읽을 때고, 장마 전선 (梅雨前線ばいうぜんせん)으로 쓰일 때는, ‘바이우’ 라고 읽는다.
쯔유(つゆ)로 읽고, 간장, 장마, 이슬 세가지의 의미가 될 수 있다.
일본어는 한자의 요미가타(よみかた, 読(み)方, 읽는방법)가 너무 다양하여 곤란할 때가 많다.
일본어의 불편함에 비하면 한글은 한가지 음이 한가지 의미로만 쓰이고, 게다가 한자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으로는 일본어는 한글 보다 무척이나 어렵기도 하고 미개한 언어이다.
과거의 장마는 ‘길고 지루하게 내리는 비’ 였다. 간혹 태양이 나타날 때는 ‘여우비’ 가 내렸다. 여우비는 여우처럼 얌체 같이 살짝 내린다는 뜻이다.
장마는 농민들에게는 축제였다.
봄 가믐을 해결해 주고, 5월에 심은 논의 모에 충분한 물을 공급해서, 장마 때 농민이 하는 일이라고는 논의 물꼬를 트는 일 뿐이었다.
농민은 그 외의 시간은 동네 마실을 다니면서 막걸리에 장떡을 부쳐서 하루 종일 술 타령이었다.
지금의 장마는 과거와는 확실하게 다르다. 폭우다. 나는 그것을 ‘미친 비’라고 표현한다.
어린 시절 강릉에 살 때, 장마가 오면 상류에서 돼지며, 송아지며, 이불이며, 바가지며, 옷들이며, 등등 살림살이가 떠내려오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워 한 적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