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음 | : | 기 독, 기 도 |
사성음 | : | dào |
부수 | : | (실사 部) |
'가는 실'을 감은 실타래의 모양을 본뜬 글자 | ||
획수 | : | 25 (부수획수:6) |
난이도 | : | 상용 |
뜻풀이 | : | ⓐ기 (도) ㉠기(소꼬리 또는 꿩의 꽁지로 장식한 큰 기) |
유의자 | : | ㉡군대 ㉢깃발 ')">旗, ⓑ깃털 늘어진 모양 (동) ⓒ흔들리는 모양 (동) ')">幢, ㉡먹걸레 ㉢행주 ')">幡, ㉡왕명을 받은 신하에게 신임의 표시로 주던 기 ㉢천자가 사기를 고무할 때 쓰던 기 ')">旌, ㉡표지(標識: 표시나 특징으로 다른 것과 구분함) ㉢표기(標旗: 목표로 세운 기) ')">幟, ㉡대장기 ㉢가리키다 ')">麾, ㉡날아오르는 용과 내려오는 용을 그린 붉은 기 ㉢성(姓)의 하나 ')">旂, ㉡모직물(毛織物)(=氈) ㉢어조사(語助辭) ')">旃, ㉡깃발 날리다 ')">旆, ㉡대장(大將)이 지휘할 때 쓰는 붉은 색 바탕의 기 ㉢돌 쇠뇌(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는 큰 활) ')">旝, ㉡기에 새긴 표지 ㉢솜옷 ')">帾, ㉡날듯이 달리는 모양 ')">旙, ㉡기의 범칭 ㉢청대(淸代) 천자(天子)의 거동 때 쓰던 기 ')">旛, ')">旞, ㉡붉은 비단(緋緞)에 송골매를 그려 넣은 기 ㉢휘날리다 ')">旟, ㉡새 이름 ')">翢, ㉡모직물(毛織物)(=氈) ㉢어조사(語助辭) ')">旜, ㉡왕명을 받은 신하에게 신임의 표시로 주던 기 ㉢천자가 사기를 고무할 때 쓰던 기 ')">旍, ㉡거북과 뱀을 그린 폭이 넓은 검은 빛깔의 기 ㉢운구(運柩) 때 앞세우는 기 ')">旐, ')">焻, ㉡표지(標識: 표시나 특징으로 다른 것과 구분함) ㉢표기(標旗: 목표로 세운 기) ')">帜, ㉡깃발 날리다 ')">斾 |
..........................................................................................................................................
아래는 국내와 국외의 박물관에 소장중인 갑주의 사진들이다.
.........................................................................................................................................................
....................................................................................................................................................................
출처: 네이버 군사무기까페
유성룡(柳成龍;1542~1607)이 임진왜란 당시 전장에서 착용하였던 갑옷과 투구이다. 투구는 철제이며, 갑옷은 가죽 조각한 비늘 모양으로 꿰매어 붙여 만들었다. 유성룡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왜란이 있을 것에 대비하여 권율과 이순신을 천거하였으며, 진관법(鎭管法)을 예전으로 고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은 병조판서와 도체찰사로 군무(軍務)를 총괄하였다.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이 일본과 화의하려 하자 그를 책망하는 글을 쓰기도 하였다. 1604년 호성공신 2등이 되고 다시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도학·문장·글씨·덕행으로 이름을 떨쳤고 특히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았다. 안동 병산서원(屛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에『서애집』『신종록』『징비록』『운암잡기』『상례고증』『무오당보』『침경요의』 등이 있고, 편저에 『대학연의초』『황화집』『구경연의』『정충록』『효경대의』 등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
진남관서 이충무공 둑제 재현 “우리에게 승리를 주소서 !” | ||||||||||
.........................................................................................................................................................
서울시 뚝섬에 유래비 설치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7.09.21 16:34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시민들에게 뚝섬의 유래를 알려주기 위해 19일 뚝섬 한강공원에 뚝섬 유래비를 설치했다고 21일 밝혔다.
뚝섬은 한강과 중랑천으로 둘러싸인 살곶이벌(箭串坪) 일대로 무신(武神)을 상징하는 `치우천왕'의 모습을 본떠 큰 창에 소의 깃털을 꽂아 만든 깃발인 독 또는 둑(纛)과 관련된 지명이다. 뚝섬은 조선시대 국왕이 군대를 사열하거나 출병할 때 이곳에 둑기(纛旗)를 세우고 둑제(纛祭)를 지냈던 곳이라 뚝섬으로 불리게 됐다.
|
첫댓글 잘 읽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