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는 특정 시간 간격(대역)의 전압 변화를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전자 신호를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이 기기를 활용하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를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하나의 전압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실로스코프는 전자적 신호의 특정 파형 관찰에 쓰인다. 대부분의 오실로스코프에는 사용자가 눈으로 신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간과 전압에 따른 눈금도 표시되어있다. 이는 파형의 전압 최소/최대치, 주기적 신호의 빈도, 펄스 간의 시간, 관련 신호 간의 시차 등을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신호처리방식에서 초기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하여 음극선관에 표시하는 방식이었다. 전자공학의 전반적 디지털 방식의 발전에 따라 신호를 ADC을 사용하여 디지털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CPU을 통해 신호처리를 하여 연결하는 방식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주로 사용한다. 표시 방식은 TFT-LCD를 주로 사용한다. 예전의 아날로그 방식은 수집된 신호를 저장하기 어렵고, 단발성 신호 포착이 어렵다. 그러나 디지털화 하면 비교적 긴 시간의 신호를 저장하기 쉽다. 이에 더해 CRT에 비해 LCD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전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취급이 쉽다.
멀티미터가 전압, 전류, 저항 등의 특징적 신호의 크기만을 표시 한다면, 오실로스코프는 신호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신호모양 까지를 표시하므로 회로 설계자에게 신호처리 시 많은 정보를 준다. 신호의 입력은 주로 2 또는 4개의 신호를 동시에 표시한다.
스코프, CRO(cathode-ray oscilloscope), DSO(digital storage oscilloscope) 등으로 알려진 오실로스코프는 다양한 전압신호를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전자식 측정 기기의 한 종류다. 여러개의 디지털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포트를 지원하여 아날로그 신호와 동시에 디지털 신호를 동 시간에 비교 표시한다. 로직 분석기를 대체하기도 한다.
오실로스코프는 전자공학의 핵심 장비로 사용하며, 기타 과학, 의학, 엔지니어링, 통신 산업 등의 산업에서 측정장비로 사용한다. 구체적 사용 예로는 차량 점화 장치나 분석이나 심전도 파형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기 계열에서 DMM(digital multimeter. 전압, 저항, 전류를 모두 측정가능한 장비), 논리 분석기(logic analyzer. 논리회로에 특화된 오실로스코프 정도?)와 함께 삼신기의 지위를 가진 장비. 파동과 같은 주기적인 변화(oscilation)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비로, 특히 전압의 변화를 신호로써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장치.
대표 제조사로 텔레다인르크로이. 테크트로닉스, 애질런트 테크놀로지, 요꼬가와전기, 리골, 시그랜트, 오원, 피코스코프(PC스코프), 한텍 등이 있다.
2. 작동 방식
작동방식은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 두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시간에 대해 표시한 화면이 잘 알려져 있으나, 다른 방식도 사용 가능해서 2개 이상의 전압을 측정한 다음 한 값에 대한 다른 값의 변화를 표시할 수도 있다.
2.1. 아날로그 방식
아날로그 방식은 쉽게 말하면 브라운관 텔레비전. 전자빔의 방향조절에 측정대상인 전압을 사용(그대로 혹은 증폭)하는 것이다. 입력신호에 대해선 시간축의 경우엔 자동으로 움직인 후 화면 끝에 다다르면 처음으로 돌아간다. 때문에 측정 대상의 주기에 측정단위를 잘 맞춰야 한 주기가 끝나면 처음으로 돌아가 궤적 위에만 궤적이 계속 겹치게 만들어 깔끔한 그래프를 얻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끊기지 못해 보기가 엄청나게 더러워진다. 전자빔의 세기를 조절해 화면의 밝기도 조절할 수 있는데, 아슬아슬하게 보이는 수준의 밝기로 해야 '번지는' 것을 최소한으로 해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디지털에 비해서 따질 것이 많지만 가격이 싸다. 중고로 3만원-10만원대로 저렴한 가격에 구할수가 있어 초심자들에겐 제격이다. 하지만 중고로 잘못구하면 말고대로 고철덩이가 올 수도 있으니 주의. 검증된 판매자에게서 구매하자. 다른 장점으로 밝기 변화 관찰과 정해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도 대강 표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항목 처음에 있는 오실로스코프는 아날로그 치곤 기능이 많은 편에 속하는 기종인 듯 하다는 서술이 있었는데 위의 사진은 절대 아날로그가 아니다. CRT를 사용해서 아날로그식 오실로스코프처럼 보이는 물건일 뿐이다. LCD가 대중화되기 전에는 저런 식으로 썻다. 아날로그 기종은 화면이 아닌 설정 다이얼을 메모해놔야 하는 부분을 직접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 때문에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며 다이얼 설정을 기억하지 않으면 측정이 헛일이 되니 주의.
2.2. 디지털 방식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측정 대상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를 거쳐 데이터로 바뀌고, 이것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포켓형(휴대형이지만 저성능의 작은 모델들), 일반 휴대형부터 거치해서 쓰는 일반형까지 브라운관 구조가 필요없어 크기에서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자유로운 편이다. 또한 수치적인 값을 눈금을 읽고 판단하는 게 아니라 장비에서 직접 알려주는 등 여러 면에서 편리하기에 디지털 방식이 점점 더 많이 쓰이는 추세이다. 하지만 측정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측정하면 아날로그 방식과 달리 파형이 마구 꼬이는데 이게 실제 파형이라 착각하면 큰 실수를 하게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신호 측정이 정해진 주파수에서 한번씩 측정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저가형 모델로 아날로그 회로를 측정하게 될 경우 디지털, 아날로그 모두 사용하는게 좋다고 한다.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로 대세가 바뀌게 되면서, PC 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PC Scope 제품군들도 나오게 되는데, 작은 포켓박스에 BNC 커넥터만 여러개 달려있으나, 벤치형 스코프에 들어갈 LCD나 노브들, 외장, 파워서플라이등의 비용들이 모두 성능에 몰빵하게 되므로 오히려 같은 가격대에서는 PC Scope 가 일부 스펙에서 더 우월한 경우가 있다. 다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해서 브랜드를 골라야 한다.
3. 특징
오실로스코프는 제품마다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있는데, 작게는 1MHz 부터 1GHz 를 넘는 것까지 다양한 제품이 있고, 당연히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클 수록 가격은 안드로메다로 날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떤 신호를 측정하고자 할때는 주기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최소한 측정신호의 2~5배의 주파수가 측정가능한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해야 한다.
당연하지만 V=IR 에 따라서 전류의 파형도 관측이 가능한데, 션트저항 또는 전류 프로브를 사용한다. 전류의 변화만 측정하려면 션트저항으로도 충분하겠지만, 한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둘 다 측정하려면 전류 프로브를 사용해야 한다.
이 외의 특징 한가지로는 ADC 분해능(해상도)이 있다. 보통 대게 8bit 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한 화면에 2^8 인 256 단계로만 수직축(전압)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인데, ADC 의 성능이 12bit 만 되어도 4096 단계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지-확대시 파형의 디테일이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12bit 이상을 지원하는 제품부터는 가격이 최소 수백만원대로 올라가게 된다. 이 해상도가 가지는 장점은 파형을 더 자세히 관찰하고 더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을 준다.
오실로스코프에 사용되는 용어
(1) 휘도(Intensity)
- 표시장치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빔이 매우 빠른 속도를 움직일 때 , 형광물질은 더 짧은 시간동안 전자를 여기 시킨다. 따라서 궤적을 보기위해서는 휘도를 증가시켜야 합니다.
- 빔이 매우 느린 속도로 움직일 때 점은 매우 밝아집니다. 따라서 휘도는 형광물질의 타버림을 피하기 위해여 휘도는 줄여져야 합니다.
(2) 초점(Focus)
예리한 궤적을 나타내도록 형광지점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3) 궤적회전(Trace Rotation)
이것은 X축 소인이 수평축의 화면 눈금에 일치하게 혹은 평행하게 맞추어지도록 해줍니다.
지구의 자장은 위치에 따라 변하므로 계기의 표시되는 소인에 영향을 미치며 궤적회전은 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것은 한번 조정으로 끝나며 일반적으로 오실로스코프의 위치가 변경된 후에만 재조정이 필요합니다.
(4) 화면 눈금 밝기(Graticule illumination)
화면 눈금의 밝기는 스크린의 사진 촬영이나 낮은 상태의 조명하에서 작업할 때 유용하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도리 수 있습니다.
(5) 커플링(Coupling)
커플링 조절은 입력신호가 전면부의 패널에 있는 BNC입력 커넥터에서 채널의 수직 편향 시스템으로 통과되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여기에는 DC Coupling, AC Coupling이 있습니다.
DC커플링은 신호에 직접 연결되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신호의 모든 성분들(AC+DC)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AC커플링은 BNC커넥터와 감쇄기 사이에 직렬로 캐패시터를 넣습니다.
신호중의 DC성분은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 저주파 AC성분들 또한 차단되거나 크게 감쇄됩니다. 저주파 차단 주파수는 볼래 신호값의 71%를 나타내는 주파수입니다. 저주파 차단은 일차적으로 입력 커플링 커패시터값에 좌우되며 일반적인 값은 10Hz입니다.
(6) 위치(Position)
수직 위치조절은 스크린상의 Y축 궤적의 위치조정에 사용됩니다.
(7) 합성과 반전(Addition and Inversion)
두개의 신호를 단지 더하기만 하는 것은 별로 실효성이 없습니다. 그러나, 비교되는 두개의 신호중 하나를 반전시켜 합성시키면 그 영향은 두 신호의 차를 구한 것이 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통모드의 간섭을 제거하거나 두 신호의 차의 측정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8) 교번 및 절단(Alternate and Chop)
오실로스코프는 한번에 하나의 궤적만을 화면에 나타냅니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는 많은 경우에 두개의 신호가 비교됩니다. 입출력 관계의 비교나 시스템을 통과한 신호의 지연을 살펴보는 경우를 예로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여러 신호를 가상적으로 동시에 보는 것 처럼 나타낼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가 필요합니다.
(가) ALT(Alternate mode)교번모드 : 하나의 궤적을 완전히 그린후 다시 다른 하나의 궤적을 교대로 그리는 방법입니다.
(나) CHOP(Chopped mode)절단모드 : 두개 신호의 부분 부분을 스위칭하거나 절단하여 두신호 사이를 빨리 왕복하여 궤적을 그립니다.
(다) 절단모드는 느린 시간축속도에서의 저주파 신호 측정에 유리하고,, 교번모드는 빠른 시간축 설정이 필요한 고주파 신호에서 유리합니다.
(9) 수평 위치 조절
수평 즉,X축 위치 조절은 스크린의 수평축을 따라 궤적을 이동시킵니다.
(10) X-Y편향
X-Y Mode는 시간축이 무시되고 수직 편향판에 사용된 것과 다른 별개의 입력신호가 수평방향으로 전자 빔을 편향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됩니다. 이것은 두개의 입력신호에 대한 관계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응용은 신호의 위상관계 측정에서 사용됩니다.
리사아쥬(Lissajious Figure)도형은 일정한 비율 관계를 가진 정현파의 주파수가 사용될 때 나타납니다. 고정된 주파수 관계를 가진 신호에 대해서 화면을 통해 위상관계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11) 가변시간축(Variable Timebase)
표준 1-2-5범위로 조정되어 있는 소인 속도를 이와는 다른 범위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전체에 하나의 주기만이 나타나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12) 시간축의 확대(Timebase Magnification)
시간축의 확대는 X축의 소인을 대개 10의 배수로 증가시킵니다. 화면상에 보여지는 시간축의 유효속도는 10배씩 빠르게 됩니다.
(13) 시간축 모드(Timebase Mode)
(가) 표준(Normal)
시간축에 충분히 큰 동기신호가 가해지지 않으면 화면상에는 궤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나) 자동(Automatic)
동기시키는 신호가 없을 때 자동모드는 시간축이 낮은 주파수로 스스로 동작하도록 합니다.
(다) 단일(Single)
시간축은 동기를 받아들여 단 한번만 소인하게 됩니다.
동기회로는 오실로스코프를 움직이는 single이나 reset버튼을 누름에 의해 다시 준비되어 집니다.
(14) 동기(Triggering)
화면상에서 전자빔은 매번 같은 경로를 따라서 그려지게 됩니다. 그것은 Triggering때문입니다. 동기가 없이는 무작위의 지점에서 시작하는 뒤범벅된 파형들만이 화면상에 나타날 것입니다. 매번 시간축은 입력신호가 시작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지정하는 동기회로에 의해 소인이 시작됩니다.
<화면조정과 전원부>
1. POWER :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power off, 반대로 돌리면 power on 된다.
3. INTENSITY : 밝기(휘도 intensity)를 조절한다.
4. FOCUS : 영상의 초점을 마추는데 쓰이며 휘도 조절기와 함께 가장 선명하고 보기 좋은 상태로 조작하도록 한다.
5. TRACE ROTATION : 화면이 기우뚱하게 되었을 때, 드라이버등으로 좌우의 균형을 맞추는데 쓰인다.
< 수직증폭부 >
9. CH 1,X IN 콘넥터 : 입력신호를 CH1 증폭부로 연결하거나 X-Y 동작시 X축 신호가 된다.
10. CH 2, Y IN 콘넥터 : 입력신호를 CH2 증폭부로 연결하거나 X-Y 동작시 Y축 신호가 된다.
11,12. AC/GND/DC 절환스위치 : 입력신호와 수직증폭단의 연결방법은 선택할 때 사용한다.
▶ GND 상태 : 해당 채널의 파형에 대한 기준위치(ground)를 나타낸다. 스위치를 이 상태에 놓으면 수평선이 나타나고 그 위치가 기준 위치, 즉 0[V]의 상태이다.
▶ DC 상태 : 일반적인 측정에서는 항상 이 상태로 놓고 측정한다. AC-DC를 모두 볼 때 사용한다. 입력전압의 크기가 GND 상태의 기준위치에 대한 높이로서 나타난다.
▶ AC 상태 : 파형중에서 DC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AC성분만을 따로 보고자 할 때 사용한다.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교류성분만이 나타난다.
13,14. VOLTS/DIV : 화면상의 높이를 나타내는 격자눈금(division)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컨데 2V/DIV으로 나타나는 파형의 크기는 증가하고 높은 값으로 맞출수록 파형의 크기가 감소한다
15,16. VARIABLE : 파형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증감시킨다. VOLTS/DIV보다 민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돌려 놓으면 VOLTS/DIV의 눈금간격이 맞지 않게 되므로 크기를 정확히 측정할 때에는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려 잠근 상태로 측정한다.(CAL위치로의 전환하는 것이 된다.)
17. POSITION : 화면에 나타난 파형을 전체적으로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측정을 행하기 전에 AC/GND/DC 절환스위치를 GND 로 놓은 상태에서 기준위치를 상하로 이동, 원하는 위치(예컨데 화면의 가운데)로 설정한 다음 측정을 행하도록 한다.
19. V.MODE :수직축의 표시형태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 CH1 : CH1에 입력된 신호만 CRT상에 나타난다.
▶ CH2 : CH2에 입력된 신호만 CRT상에 나타난다.
▶ DUAL : CH 1,CH 2 의 파형을 동시에 나타낸다.
▶ ADD : CH 1과 CH2의 신호가 더해져서 나타난다.
< 소인과 동기부 >
21. X10 MAG스위치 : 이 스위치에 위치하면 소인시간이 10배로 확대되며 이 때의 소인시간은 IME/DIV지시치의 10배가 된다.
22. TIME/DIV : (sweep speed selection) : 화면상의 시간축(좌우) 눈금크기의 변경에 사용된다.
짧은주기를 갖는 신호나 긴 주기의 신호를 조절하여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다.
( X-Y : CH1의 전압변화가 X축에 , CH2의 전압변화가 Y축에 나타난다.
※ X-Y MODE 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두 채널 입력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리사주 도형을 출력한다.
25. VARIALBE : 교정된 위치로부터 소인시간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한다.
26. HORIZONTAL POSITION : 광점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기이다.(파형의 측정과는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27. TRIGGER MODE : 소인동기 형태를 선택한다.
▶ AUTO :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이 위치가 편리하다.
28. SOURCE : 트리거를 어디에 기준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 INT : CH1 이나 CH2에 입력된 신호가 동기 신호원이 된다.
▶ LINE : 교류전원(100V)에 동기시키고자 할 때 사용한다.
▶ EXT(external) : 외부에서 SOURCE를 통해 별도의 동기 신호를 줄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채널에 맞추어 놓으면 된다.
32. INT 스위치 : CH1이나 CH2에 입력된 신호로서 동기시키고자 할때 사용된다.
▶ CH1 : CH1에 신호가 있을 때 TRIGGER SOURCE로 CH1을 선택할 수 있다.
▶ CH2 : CH2에 신호가 있을 때 TRIGGER SOURCE로 CH2를 선택할 수 있다.
36. PROBE ADJUST : PROBE 보정과 수직증폭기 교정을 위한 구형파(0.5V, 1kHz)를 출력한다. 눈금을 확인하는데 쓰인다.
3. 오실로스코프 측정방법
1. 직류전압, 교류전압, 주파수의 측정, 초기 동작시 조정
▶ POWER 스위치 : OFF
▶ INTENSITY : 중앙
▶ FOCUS : 중앙
▶ AC-GND-DC 스위치 : DC
▶ VOLT/DIV 스위치
▶ X5 MAG스위치 : X1
▶ 수직 POSITION 스위치 : 중앙
▶ INV. 스위치 : NORM
▶ VARIABLE 조절기 : 완전히 시계방향
▶ TIME/DIV 스위치 : 0.5ms
▶ TIME VARIABLE : CAL
▶ X20 MAG 스위치 : X1
▶ 수평 POSITION 조절기 : 중앙
▶ TRIGGER MODE : AUTO
▶ TRIGGER SOURCE : INT.VERT
▶ TRIGGER LEVEL : 중앙
▶ SLOPE 스위치 : 튀어나온 상태
1) 스코프의 전원을 단락하고, Time-base스위치(Time/Div)를 EXT 또는 X-Y 위치로 고정하면 잠시 후 스코프의 화면에 광점이 현시된다. 만일 광점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휘도조절기(INTENSITY)를 조정하여 가늘고 선명한광점이 나타나도록 하시오.
(###주의: 휘도가 너무 높으면 형과면을 손상하기 쉬우므로 휘도를 감소하거나 스코프를 관측하지 않을 경우에는 휘도(intensity)를 어둡게 하라.)
2) 만일 스코프의 화면중심에 선명한 광점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 위치조절기(vertical position) 또는
수평 위치조절기(horizontal position), 초점조절기(focus) 또는 휘도 조절기(intensity control)를 사용하여 선명한 광점이 나타나도록 하시오.
3) time-base 스위치(Time/Div)를 자동동작(automatic operation)으로 고정하시오
이 동작은 단순히 X-Y단자와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time-base스위치(Time/Div)를 조정하여 I ms/Div로 조정하고, 트리거 레벨은 정의 슬로프(positive slope)에 고정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A의 휘선(CH1의 휘선)이 현시된다. 휘도 조절기를 조정하여 선명한 휘선이 되도록 하라. 단 너무 밝은 휘선을 나타나게 하지마시오
4) 수평위치 조절기를 사용하여 휘선의 위치를 왼쪽 끝 지점으로 이동하라. Time/Div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CAL위치로 한 후 스코프의 수직 입력을 연결하여 스코프의 화면에 대략 2[V]의 교정전압을 나타나게 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난 교정전압을 Time/div를 조정하여 3개의 피크-피크 값을 갖는 교정된 파형이 나타나게 하시오.
(###주의: 교정전압을 변화시킬 수 없는 스코프의 경우에는 4) 6) 7)하지 말고 다음 순서 진행하라.)
5) Time/Div를 조정하여 CAL위치로 한 후 3개의 사이클이 나타나는 교정된 파형이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Time/Div를 조정하라.
6)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전압 출력을 대략 0.5[V]로 감소시키고, 스코프의 화면에 현시된 파형에서 이러한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시오.
7) 6)에서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 전압 출력을 대략 2∼5[V]로 상승시키고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시오
8) 6)에서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 전압 출력을 대략 2[V]로 고정 하면, 스코프에는 대략 3개의 고정된 피크-피크 값과 3개의 사이클을 가진 교정 파형이 나타날 것이다.
9) Time/Div를 증가하라. 만일 Time/Div이 0.5[mV/Div]이면 다음으로 빠른 0.1 또는 0.2[mV/Div]로 고
정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10) Time/Div를 감소하라. Time/Div이 0.5[mV/Div]이면 2[mV/Div]으로 고정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
과를 관찰하라.
2. 직류전압의 측정
DC 전압 = 광선이 이동한 칸 수 × (VOLT/DIV)지시한 값
3. 교류전압의 측정
AC 전압[Vp-p] = 피크-피크간의 수직 거리×수직감쇠기 지시값(VOLT/DIV)×프로브 감쇄비
최대전압[Vm] = Vp-p/2
실효전압[Vrms] = Vm/2 = Vp-pa/2(2)1/2
4. 주기 및 주파수의 측정
T(주기) = 한 주기간 수평거리(DIV) × 소인시간의 지시값(TIME/DIV) × 수평확대비의 역수
예)) 한 주기간의 수평거리가 8[DIV], 소인 시간이 1[ms/DIV], 수평확대비가 1이면,
주 기(T) = 8[DIV] × 1[ms/DIV] × 1 =8[ms]
주파수(f) =125[H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