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조직공정성, 긍정심리자본, 직무태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2022.7.22.)
신한대학교 대학원 행정정책학과 송원찬 박사학위 논문(2022.8)
국문요약
현재 한국 공무원 사회는 코로나-19 등 재난상황, 급격한 사회적 변화 및 국민의 다양한 행정서비스 요구 등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공무원이 신속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 외 행동인 긍정적 조직시민행동으로 변화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올바르고 적극적인 행정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의 원인과 매개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즉 원인변인으로 조직공정성을,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태도를, 조직시민행동을 결과변인으로 선정하고 이들 변인 간 인과관계를 실증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7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2021.12.20.~2022.1.14.(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569부를 구조방정식 통계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 실증분석 결과 및 논의를 기초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고,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며, 셋째, 직무태도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공정성은 직무태도에 정(+)의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고,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은 직무태도에 정(+)의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며, 여섯째, 조직공정성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부분매개 효과를, 직무태도를 매개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부분매개 효과를,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태도를 매개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조직공정성이 확보되면 이는 공무원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긍정적 직무태도를 형성하여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기초자치단체장 및 상사는 공무원 조직의 조직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여 적극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도적으로 긍정심리자본을 증대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공무원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증대되어 활발한 조직시민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자발적인 조직시민행동은 결국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공무원 조직의 긍정적 문화를 조성하여 적극적인 대국민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범위와 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1 조직시민행동
1)조직시민행동의 중요성
2)조직시민행동의 개념과 정의
3)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소
2 조직공정성
1)조직공정성의 발전과정과 개념
2)조직공정성의 구성요소
3 긍정심리자본
1)긍정심리자본의 태동과 개념
2)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과 구성요소
4 직무태도
1)직무태도의 개념
2)직무태도의 구성요소
5 변인간 관계 및 선행연구
1)조직공정성, 긍정심리자본,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 간 선행연구
2)조직공정성, 긍정심리자본, 직무태도 간 선행연구
3)조직공정성, 긍정심리자본 간 선행연구
4)매개효과 선행연구
5)선행연구와 차별성
제3장 연구설계
1 연구모형, 변인 및 가설설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및 통계 분석
제4장 연구분석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
2 기술통계분석
3 상관관계분석
4 확인적 요인분석
1)모형적합도 지수 설정
2)측정모형의 적합도 및 모수치 추정
3)측정모형의 적합도 추정 결과
4)측정모형의 타당성 분석 평가
5 구조회귀모형의 적합도 및 유의성 검정 결과
1)구조회귀모형의 적합도 추정
2)구조회귀모형의 유의성 검정 결과
3)연구모형의 간접효과 분석
제5장 결론
1 연구결과요약
2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