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오랜 인연입니다. 살아오면서 인연이 소중하다는 것을 느낀 것은 책을 통한 간접체험으로 얻어진 결과였습니다. 영문학 자면서 수필가이신 피천득 선생님 수필 인연을 읽은 후 인연에 대한 감상이 마음에 자리를 잡게 된 것입니다.
인연, 전문입니다.
지난 사월, 춘천(春川)에 가려고 하다가 못 가고 말았다.
나는 성심(聖心) 여자 대학에 가 보고 싶었다.
그 학교에, 어느 가을 학기, 매주 한 번씩 출강(出講) 한 일이 있었다.
힘든 출강을 한 학기 하게 된 것은, 주 수녀님과 김 수녀님이 내 집에
오신 것에 대한 예의(禮儀)도 있었지만, 나에게는 사연(事緣)이 있었다.
수십 년 전, 내가 열일곱 되던 봄, 나는 처음 도쿄(동경, 東京)에 간 일이 있다.
어떤 분의 소개(紹介)로 사회 교육가(社會敎育家) M 선생 댁에 유숙(留宿)을 하게 되었다.
시바 쿠(지구, 芝區)에 있는 그 집에는 주인 내외와 어린 딸, 세 식구가 살고 있었다.
하녀도 서생(書生)도 없었다.
눈이 예쁘고 웃는 얼굴을 하는 아사코(朝子)는 처음부터 나를 오빠같이 따랐다.
아침에 낳았다고 '아사코'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고 하였다.
그 집 뜰에는 큰 나무들이 있었고, 일년초(一年草) 꽃도 많았다.
내가 간 이튿날 아침, 아사코는 스위이트 피이를 따다가 화병에 담아,
내가 쓰게 된 책상 위에 놓아주었다. 스위이트 피이는 아사코같이
어리고 귀여운 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심 여학원 소학교 일 학년인 아사코는 어느 토요일 오후,
나와 같이 저희 학교에까지 산보(散步)를 갔었다.
유치원(幼稚園)부터 학부(學部)까지 있는 가톨릭 교육 기관으로 유명한 이 여학원은,
시내에 있으면서 큰 목장(牧場)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사코는 자기 신장을 열고, 교실에서 신는 하얀 운동화를 보여 주었다.
내가 도쿄를 떠나던 날 아침, 아사코는 내 목을 안고 내 빰에 입을 맞추고,
제가 쓰던 작은 손수건과 제가 끼던 작은 반지를 이별(離別)의 선물(膳物)로 주었다.
그 후, 십 년이 지나고 삼사 년이 더 지났다. 그동안 나는, 국민학교 일 학년 같은
예쁜 여자 아이를 보면 아사코 생각을 하였다.
내가 두 번째 도쿄에 갔던 것도 사월이었다.
도쿄역 가까운 데 여관(旅館)을 정하고 즉시 M 선생 댁을 찾아갔다.
아사코는 어느덧 청순(淸純)하고 세련(洗練)되어 보이는 영양(令孃)이 되어 있었다.
그 집 마당에 피어 있는 목련(木蓮) 꽃과도 같이.
그때, 그는 성심 여학원 영문과 3학년이었다.
나는 좀 서먹서먹했으나, 아사코는 나와의 재회(再會)를 기뻐하는 것 같았다.
아버지, 어머니가 가끔 내 말을 해서 나의 존재(存在)를 기억(記憶)하고 있었나 보다.
그날도 토요일이었다.
저녁 먹기 전에 같이 산보를 나갔다.
그리고, 계획(計劃) 하지 않은 발걸음은 성심 여학원 쪽으로 옮겨져 갔다.
캠퍼스를 두루 거닐다가 돌아올 무렵, 나는 아사코 신장은 어디 있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는 무슨 말인가 하고 나를 쳐다보다가, 교실에는 구두를 벗지 않고 그냥 들어간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갑자기 뛰어가서 그날 잊어버리고 교실에 두고 온 우산을 가지고 왔다.
지금도 나는 여자 우산을 볼 때면, 연두색이 고왔던 그 우산을 연상(聯想)한다.
'셸부르의 우산'이라는 영화를 내가 그렇게 좋아한 것도 아사코의 우산 때문인가 한다.
아사코와 나는 밤늦게까지 문학 이야기를 하다가 가벼운 악수(握手)를 하고 헤어졌다.
새로 출판(出版)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세월(歲月)'에 대해서도 이야기한 것 같다.
그 후 또 십여 년이 지났다.
그동안 제2차 세계 대전이 있었고, 우리나라가 해방(解放)이 되고, 또 한국 전쟁이 있었다.
나는 어쩌다 아사코 생각을 하곤 했다.
결혼(結婚)은 하였을 것이요, 전쟁통에 어찌 되지나 았았나, 남편이 전사(戰死) 하지나 않았나
하고 별별 생각을 다 하였다.
1954년, 처음
선생 내외분은 흥분(興奮)된 얼굴로 나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한국(韓國)이 독립(獨立)이 되어서 무엇보다도 잘 됐다고 치하(致賀)하였다.
아사코는 전쟁이 끝난 후, 맥아더 사령부(司令部)에서 번역(飜譯) 일을 하고 있다가,
거기서 만난 일본인 2세와 결혼을 하고 따로 나서 산다는 것이었다.
아사코가 전쟁미망인(未亡人)이 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었다.
그러나, 2세와 결혼하였다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만나고 싶다고 그랬더니,
어머니가 아사코의 집으로 안내(案內) 해 주었다.
뾰족 지붕에 뾰족 창문들이 있는 작은 집이었다. 이십여 년 전 내가
아사코에게 준 동화책 겉장에 있는 집도 이런 집이었다.
"아! 이쁜 집! 우리, 이담에 이런 집에서 같이 살아요."
아사코의 어린 목소리가 지금도 들린다.
십 년쯤 미리 전쟁이 나고 그만큼 일찍 한국이 독립되었더라면,
아사코의 말대로 우리는 같은 집에서 살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뾰족 창문들이 있는 집이 아니라도.
이런 부질없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 집에 들어서자 마주친 것은 백합(百合)같이 시들어 가는 아사코의 얼굴이었다.
'세월'이란 소설 이야기를 한 지 십 년이 더 지났었다.
그러나, 나는 아직 싱싱하여야 할 젊은 나이다. 남편은 내가 상상한 것과 같이
일본 사람도 아니고 미국 사람도 아닌, 그리고 진주군(進駐軍) 장교(將校)라는 것을
뽐내는 사나이였다.
아사코와 나는 절을 몇 번씩하고 악수도 없이 헤어졌다.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오는 주말(週末)에는 춘천에 갔다 오려한다.
소양강 가을 경치(景致)가 아름다울 것이다.
그리고 수필 인연에서 비롯된 착가와 인연은 인연이란 시를 통해 인연은 더 깊어져 갔습니다.
인연(因緣)
- 피천득-
어리석은 사람은
인연을 만나도
인연일 줄 알지 못하고
보통 사람들은
인연인 줄 알아도
그것을 살리지 못하고
현명한 사람은
옷자락만 스쳐도
인연을 살릴 줄 안다
살아가는 동안
인연은 매일 일어난다
그것을 느낄 수 있는 육감을
지녀야 한다
사람과의 인연도 있지만
눈에 보이는 모든 사물이
인연으로 엮여 있다
인연(因緣)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 또는 어떤 사물과 관계되는 연고(緣故)를 뜻합니다. 불교에서 인(因)은 결과를 만드는 직접적인 힘이고 연(緣)은 그를 돕는 간접적인 힘이라 합니다. 원인이 되는 결과의 과정을 인연이라 하는데 석가모니는 모든 것은 인(因)과 연(緣)이 합하여 생겨나고, 인과 연이 흩어지면 사라진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인연이란? 윤회를 업 설과 인과응보설에 의한 것으로 사물은 인과의 법칙에 의해 시간과 공간의 환경 조성 따라 일어난다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불가에서는 삼시업(三時業)이라 하여 업을 지어 과보를 받는 시간적 차이를 세 가지로 구분합니다. 현생을 말하는 순현업(順現業) 전생에 짓고 현생에 받거나 현생에 짓고 내생에 받는 순생업(順生業) 여러 생에 받는 순후업(順後業)으로 구분합니다. 다만 불교에서는 인연은 인과일 뿐 이므로 자성이 없어 집착할 것이 없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참고로 불가에서 학승(學僧)으로 유명하셨던 법정께서 인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법하신 적이 있습니다.
함부로 인연을 맺지 마라
진정한 인연과 스쳐가는 인연은
구분해서 인연을 맺어야 한다.
진정한 인연이라면 최선을 다해서 좋은 인연을 맺도록 노력하고
스쳐가는 인연이라면 무심코 지나쳐버려야 한다.
그것을 구분하지 못하고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
헤프게 인연을 맺어 놓으면 쓸만한 인연을 만나지 못하는 대신에
어설픈 인연만 만나게 되어
그들의 의해 삶이 침해되는 고통을 받아야 한다.
인연을 맺음에 너무 헤퍼서는 안 된다.
옷깃을 한번 스친 사람들까지 인연을
맺으려고 하는 것은 불필요한 소모적인 일이다.
수많은 사람들과 접촉하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지만
인간적인 필요에서 접촉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주위에 몇몇 사람들에 불과하고,
그들만이라도 진실한 인연을 맺어 놓으면
좋은 삶을 마련하는 데는 부족함이 없다.
진실은, 진실된 사람에게만 투자해야 한다.
그래야 그것이 좋은 일로 결실을 맺는다
아무에게나 진실을 투자하는 건 위험한 일이다.
그것은 상대방에게 내가 쥔
화투패를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것과 다름없는 어리석음이다.
우리는 인연을 맺음으로써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피해도 많이 당하는데 대부분의 피해는 진실 없는
사람에게 진실을 쏟아부은 대가로 받는 벌이다.
추기(推記)
4 일이 오기 전 데레사 자매님께서 카톡서신을 보내 주셨습니다. 4 일 시간이 어떠신지요? 괜찮으시면 걸음 여행팀 형제들 몇 명과 식사자리를 갖으려 합니다. 이런 메모 글이었습니다. 아주 긴 세월 종교 틀 안에서 맺어진 인연이었지만 이 단초를 시작으로 순례와 걸음 여행이라는 테마를 공유하는 움직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한정된 성지 방문이 끝나갈 무렵 걸음 여행 기획자의 마음은 건강과 여행, 자연과의 인연을 중시하게 됩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문학 내면에 담겨 있는 작가들과 평전으로 만나는 시간도 갖으려는 계획도 세워두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찾은 곳이 소풍으로 알려진 천상병 시인을 조명하고 그다음으로 풀이라는 시로 유명한 김수영 시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세계 전역을 광기로 휩쓸던 역질은 사람들에게 행동하는 시간을 멈추게 하였습니다. 당시 모아 두었던 자료는 대부분 소중하게 쌓아 놓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멈춰 선 걸음여행이란 단어도 당시 분위기로는 호사였습니다. 목전 앞에 긴박한 것은 살아남기 위하 각자의 몸부림의 시간이었습니다. 그렇게 멈춰 선 걸음 여행은 원점에 묶여 버리게 되었으며 역질은 사회전반에 대한 일상을 많이 바꿔 놓았습니다. 백신의 개발로 역질을 진정시킨 덕분에 다시 세상은 안정을 찾았지만 정지되었던 시간과 역질에 유명을 달리한 사람들은 되돌릴 수 없이 과거의 시간에 영원의 갇혀버렸습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역질의 발현은 자연과 문명의 다 틈에서 빗어진 사건이었습니다. 새삼 새해를 맞이하여 받은 초대자리 옛 추억을 떠올리기에 좋은 순간이었습니다.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 걸음여행 시절들이 영상물이 되어 꿈꾸듯 펼쳐져 아름다운 인연의 사연으로 다가왔습니다. 얼굴에 살짝 드러나는 미소뿐 만 아니라 마음에 펼쳐지는 미소도 뿜어져 나오는 것을 경험한 시간이었습니다. 내친김에 옛 영상물을 찾아 열어보며 인연에 대한 소중함 깨달으며 추억 속으로 빠져 들었습니다. 옛 추억 속으로 걸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