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사이에 있는 내용들이 실질적으로 브라우저에
나타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보았던 예제에서도 다른 부분은
같고 태그안에 있는 내용들만 바꼈었죠? 이런 태그안에 여러가지 속성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문서전체에 여러가지 속성을
부여할수 있습니다.

태그에 bgcolor와 background속성을 사용해서 배경색이나
배경이미지등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bgcolor는 배경색을 설정하는 속성으로 컬러이름이나 RGB색상코드를 그 값으로 가지고
background는 배경이미지를 설정하는 속성으로 이미지의 경로를 그
값으로 가지게 됩니다.
주의할것은 배경이미지가 페이지에.. 바둑판모양으로 반복해서 적용된다는것입니다. 한번만 보여주길 원할때는 스타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스타일에 관한것은 상단 CSS메뉴에서 배우시면 됩니다.

태그에 text , link, vlink, alink 속성을 사용해서 글자색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text 속성은 일반 글자색을 설정
link 하이퍼링크가 정의된 글자 색을 설정
vlink 링크를 실행한 적이 있는 글자 색을 설정
alink 링크를 실행하는 동안의 글자색을 설정하며 그 값은 모두.. 색이름이나 RGB색상코드값을 가집니다.
단 태그안에서 위와같은 속성을 정해주었다 하더라도 글자에
우선적으로 적용되는것은 글자에 가장가까운 태그입니다. 다시말해
text의 색을 red로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세부적으로 font color가 적용되면 그곳은 red로 나오지 않는것을 말합니다.
(※ 아무런 속성을 주지 않았을 경우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글자는 처음에는 청색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하지만 하이퍼링크를 클릭해서 실행하는 도중에는 빨간색으로 실행후에는 카키색으로 바뀝니다.)

태그에 leftmargin, topmargin속성을 이용하게 되면 페이지로부터 브라우저의 간격(여백)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leftmargin, topmargin값을 정해주지 않게 되면 페이지 상단과 좌측이 브라우저 끝에서 약간 떨어지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상단의 여백을 설정하는 속성이 topmargin, 좌측의 여백을 설정하는 속성이
leftmargin입니다. 그 값은 숫자로 표현하고 단위는 픽셀입니다.
단 이속성은 익스플로러에서 적용되는 속성이고 네스케이프에서는
각각 marginwidth와 marginheight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
태그의 속성과 인자값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
태그 |
속성 |
인자 |
표현 |
설명 |
|
bgcolor |
배경색 |
|
페이지배경색을 검은색으로설정 |
background |
배경
이미지경로 |
|
페이지배경이미지를 1.gif로 설정 |
text |
글자색 |
|
페이지 글자색을 흰색으로 |
link |
링크된글자색 |
|
링크된글자색을 빨강색으로 |
vlink |
실행한적이
있는글자색 |
|
링크된글자를
한번이라도
클릭하면 그후에는 초록색으로 |
alink |
실행하는동안글자색 |
|
링크된 글자에 링크가 싱행되는동안
노란색으로 |
leftmargin |
브라우저
좌측여백 |
|
브라우저 좌측여백 없음 |
topmargin |
브라우저
상단여백 |
|
브라우저 상단여백 50픽셀 |
|

|
태그의 사용예제 |
|
<Body>태그의 사용예제
|
|
Body태그에 사용된 속성에 따른 페이지 표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지금 설정되어있는 상태와 브라우저에 나타나있는 상태를 비교하면서 확인해 보세요
링크걸린글자
일반글자색이 흰색
링크가 걸려있는 글자색이 빨강색
링크걸려있는 글자를클릭해 실행되는 동안 글자색은 노란색
한번 클릭한후 링크 걸린 글자색은 초록색
좌측여백은 0, 상단여백은50픽셀....
모두 맞나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