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의 이해
천간은 십이지지가 속한 월을 따라 생왕묘절(生旺墓絶)의 관계로 맺어지며 절(絶)-태(胎)-양(養)-장생(長生)-목욕(沐浴)-관대(冠帶)-건록(建祿)-제왕(帝旺)-쇠(衰)-병(病)-사(死)-묘(墓)에 이르기까지 왕성했다가 쇠약해지며 다시 왕성해지는 12단계의 변화과정을 갖는다.
이는 곧 천간이 지지를 만날 때의 왕쇠 관계를 12단계로 분류한 것이며 바로 사람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의 과정에 비유한 것으로 일명 포태법(胞胎法)이라고도 하는데 그 방법을 살펴보면 일간을 주동하여 각각의 지지를 대조하며 때론 천간과 동주(同柱)하는 각각의 년지-월지-일지-시지를 대조하여 표출하기도 한다.
이를 부연하면 남녀가 결합하여 수정하고(絶) 어머니 자궁 속에 잉태하여(胎) 일정기간 자라면(養) 울음보를 터뜨리며 출생을 알리고(長生) 목욕을 시켜 몸을 청결히 가꾸며(沐浴) 자라고 성장하며 옷을 입고 관을 쓴다(冠帶). 이렇게 학창시절을 보내고 나면 세상에 나가 직장을 갖고 뿌리를 내리며(建祿) 인생의 황금기를 맞이하는데(帝旺) 서서히 나이가 들면 쇠약해지고(衰) 병마가 찾아들며(病) 세상과 이별하고(死) 묘에 들어가 일생을 마감한다(墓).
결론적으로 십이운성은 탄생과 소멸의 과정을 12단계로 표현한 것이며 이를 사주팔자에 접목시켜 사주 주인공의 태생과 성격을 판단함은 물론 운명의 길흉화복을 예지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중요한 것이며 사주에 적용할 때는 일주와 월주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둔다.
십이운성의 양생음사(陽生陰死)
양(陽)은 모여서 앞으로 나아가 순행하고 음(陰)은 흩어져 물러나 역행하는 양순음역(陽順陰逆)의 원칙을 적용하면 양이 생(生)하는 곳에서 음은 사(死)하고 음이 생(生)하는 곳에서 양은 사(死)하며 이를 가리켜 양생음사(陽生陰死)라 한다.
甲乙의 양생음사(陽生陰死)
甲 일 | 절 | 태 | 양 | 장생 | 목욕 | 관대 | 건록 | 제왕 | 쇠 | 병 | 사 | 묘 |
지 지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乙 일 | 태 | 절 | 묘 | 사 | 병 | 쇠 | 제왕 | 건록 | 관대 | 목욕 | 장생 | 양 |
▼
양생음사 수장표
도표에서 보면 일간 甲木은 양간으로 지지 寅木이 비견이며 건록(建祿)으로 십이운성 절인 申金을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순행하는데 이를 순차적으로 붙여나가면 亥월에 생(生)하고 午월에 사(死)하며 그와 달리 일간 乙木은 음간으로 지지 卯木이 비견이며 건록으로 십이운성 절인 酉金을 기점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역행하는데 이를 순차적으로 붙여나가면 午월이 되면 잎이 무성하여 생(生)하고 亥월이 되면 잎이 떨어져 사(死)한다.
이와 같은 양생음사(陽生陰死)는 기질(氣質)의 차이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일간 甲木은 양간으로 나무의 기(氣)인 뿌리를 나타내고 일간 乙木은 음간으로 나무의 질(質)인 잎을 나타내며 바로 午월이 되면 나무의 잎이 무성하지만 나무의 뿌리는 기운이 발설되어 죽는 이치와 같다.
이렇게 같은 목기라도 양간의 장생(長生)은 음간의 사(死)가 되고 음간의 장생은 양간의 사가 되어 그 성질과 쓰임이 달라지므로 일간의 왕쇠를 판단할 때는 양생음사(陽生陰死)의 원칙을 적용하지 않고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로 판단한다.
김모씨
1970년 1월 13일 진시 대전출생 (여자/음력)
己일간 寅월에 태어나 실령하였으나 비겁 土氣와 인성 火氣가 태왕한 중에 지지 寅-戌合火 준삼합을 성립하고 합의 기운을 동조하는 월상/시상의 겁재 戊土가 투출하여 일간을 부조하니 강력한 토국을 이루고도 남음이 있다.
고로 왕쇠의 격국은 외격의 가종격/가색격을 성격하며 용신은 대세를 따르는 토기와 이를 생조하는 인성 화기 및 왕신 토기를 자연스럽게 누출하는 식상 금기를 길신으로 채택한다.
이렇게 사주격국과 용신을 설정하고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보니 대운천간 甲木이 일간에 대한 정관이며 기신으로 사주원국의 년간-월상-시상을 甲-戊상충 및 甲-庚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사주 내 길신을 정면으로 파극하는 것이라 혼란스러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한편으로 볼 때 일간 기토가 중재하여 甲-己合土로 해극하고 있으나 혼자 3개의 상충을 막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는 판단이며 어쩔 수 없는 상충의 소용돌이에 휘말림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운지지 술토가 일간에 대한 겁재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의 월지 정관 寅木을 寅-戌合火로 다스리는 것은 사주 내 寅-巳삼형을 해극 할 수 있음이라 상충으로 인한 흉의는 완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사주 내 중첩되는 상충을 합으로 해극 할 수 있는 것은 그 흉의를 완화할 수 있음이라 극단적인 어려움을 비켜가고도 남음이 있음인데 재차 시지 겁재 진토를 辰-戌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습토와 조토의 대립이라 그만 왕신 토기의 발동을 막을 수 없게 되었다.
이때 사주주인공은 가끔씩 아프던 옆구리 통증이 심해 병원을 찾았는데 검진 결과 폐암 말기 판정을 받고 말았으며 이미 암세포는 온몸으로 전이가 되어 더 이상 손을 쓸 수없는 상태가 되고 말았으니 사주주인공의 나이 39세인 2008년 이른 봄의 일이었다.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세운천간 戊土는 일간에 대한 겁재며 길신이라고 하나 대운천간 甲木을 甲-戊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甲-己合土를 방해하는 것이라 합에서 풀려난 대운천간 甲木의 흉의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편적으로 생각하면 세운지지 자수가 중재하여 子-辰合水로 그 흉의를 완화한다 하겠으나 합의 결과가 재성 수기로 기반(羈絆)되는 것은 사주 내 길신 토기와 인성 화기를 정면으로 가격하는 것이라 불가항력이 되고 말았으며 결국 양력 8월 한 많은 생을 마감하고 말았는데 월운마저 사주원국을 寅-巳-申 삼형으로 파극하고 申-子-辰 삼합 수국으로 대접하고 말았으니 어찌 그 슬픔을 말로 다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본 장 양생음사(陽生陰死)의 원칙을 적용하면 일간 기토가 음간으로 년지 겁재 술토는 십이운성 양이고 월지 정관 인목은 사며 일지 인수 사화는 제왕이고 시지 겁재 진토는 쇠라 신약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인데 이것은 용신을 반대로 잡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이라 일간의 왕쇠를 판단할 때는 반드시 오행의 생극제화를 적용판단 한다.
십이운성의 작용
십이운성(十二運星)은 탄생과 소멸의 과정을 12단계로 표현한 것으로 절(絶)-태(胎)-양(養)-장생(長生)-목욕(木浴)-관대(冠帶)-건록(建祿)-제왕(帝旺)-쇠(衰)-병(病)-사(死)-묘(墓)를 나타내고 이를 선천적으로 타고난 사주팔자에 접목하여 운명의 길흉을 판단한다.
이렇게 십이운성은 육신(六神) 및 각종 살성과 더불어 사주간명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오행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간의 왕쇠 판단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십이운성의 장점이라 소홀히 할 수 없다.
처음엔 힘이 들고 어려운 일면이 있겠으나 멈추지 말고 읽고 쓰기를 반복하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십이운성의 어려움은 사라질 것이며 왼손 수장표를 사용하여 순행과 역행으로 돌려나가는 훈련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학습의 재미를 더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결론은 십이운성을 이해하면 일간의 왕쇠판단을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통변법상 오행과 육친의 관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간의 왕쇠판단은 양생음사를 적용하지 말고 오행의 생극제화로 판단하며 일간을 주동하여 각각의 지지를 대조하고 때론 천간과 동주(同柱)하는 각각의 년지-월지-일지-시지를 대조하여 표출합니다. 일간을 주로 삼는 것은 신법인 연해자평의 이론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첫댓글 공부 잘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12운성법 양생음사의 법칙을 따른다
공부 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일간 기토가 중재하여 甲-己合土로 해극하고 있으나 혼자 3개의 상충을 막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는 판단이며 어쩔 수 없는 상충의 소용돌이에 휘말림을 알 수 있다.
辰-戌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습토와 조토의 대립"이라 그만 왕신 토기의 발동을 막을 수 없게 되었다.
합의 결과가 재성 수기로 기반(羈絆)되는 것은 사주 내 길신 토기와 인성 화기를 정면으로 가격하는 것이라 불가항력이 되고 말았으며 결국 양력 8월 한 많은 생을 마감하고 말았는데 월운마저 사주원국을 寅-巳-申 삼형으로 파극하고 申-子-辰 삼합 수국으로 대접하고 말았으니 어찌 그 슬픔을 말로 다할 수 있겠는가?
가종격 월지 인목을 "가"로 보고 끌고 가야하는 가 가색격/ 가 종왕격을 성립한다!!
일간의 왕쇠를 판단할 때는 양생음사(陽生陰死)의 원칙을 적용하지 않고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로 판단"한다.
이운성을 이해하면 일간의 왕쇠판단을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일간을 주로 삼는 것은 신법인 연해자평의 이론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