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깨 [임자(荏子)] 학명;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Perilla Leaf (영어)ゴマの葉 (일본어)紫苏叶 (중국어)
꿀풀목 꿀풀과 들깨속 식물인 들깨(Perilla frutescens)의 잎사귀를 가리킨다. 참깨와 들깨는 우리말 이름은 비슷하지만 분류학적으로 참깨(학명 Sesamum indicum)는 꿀풀목 참깻과이므로 상당히 거리가 있다.유사성이 없다는 거나 마찬가지.여름에 흰 꽃이 핀다. 잎은 독특한 냄새가 나며 식용한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한국,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씨는 동그랗고 작으며, 양념으로 쓰기도 하고 짜서 들기름을 내기도 한다
들기름은 페인트, 니스, 인쇄용 잉크, 방수용 도료 등의 원료로도 쓰이며, 옻나무의 옻이 올랐을 때나 옻의 독을 없애는 데도 쓰인다.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참깨와 함께 널리 심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심었던 것으로 추정.
전세계적으로 참깨는 제법 흔하게 먹지만 들깨를, 그것도 잎을 먹는 나라는 한국 이외에 찾아보기 어렵다한다. 다만 깻잎말고 다른 향이 강한 풀을 먹는 경우는 많이 볼 수 있다. 고수(향채 또는 코리앤더)라든지, 차조기.
유의어 백소 (白蘇) , 수임 3 (水荏) , 야임 (野荏)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성은 없다.
기(氣)를 내리고 기침과 갈증을 멎게한다.
폐(肺)를 눅여주고 중초(中焦)를 보(補)하며 정수(精髓)를 보충하여 준다."
※산패가 (짠내)되어 냄새가 나면 버리시고 가공후 빠른시간에 먹는것이 좋다.
▶들깨잎[임자엽(荏子葉)]
"중초(中焦)를 고르게 하고 냄새가 나는것을 없애며 기(氣)가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여러가지 벌레한테 물린데와 음낭이 부은데 짖찌어 부친다(본초)"
▶들깨; 강장 효과가 있고, 대소변을 부 드럽게 해 주어서 변비를 없애준다고한다.
장기간 복용하면 머리가 빨리 하얗 게 쇠는 것을 막아주며, 산모에게는 유즙 부족을 치료해
준다. 들깨 기름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많이 섭취하면 동 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좋다. 또 칼슘과 철분 이 많아서 성장기의 어린이나
노들에게도 필요한 음식이다. 뇌의 활 동을 원활하게 해 준다.
흔히 회를 먹을 때 참기름이나 들기름에 찍어 먹는데, 이는 기름이 조개, 낙지, 오징어의
식중독에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또 들기름은 항암작용 이 있으며, 위의 점막을 보호해 주므로 위궤양과 위염환자에게 좋다. 간 기능을 좋게 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한편 기운이 위로 올라간 것을 내려주고, 기침과 갈증을 멎게 해 준다. 특 히 씨를 갈아서 죽을 끓여 먹으면 피부가 윤택해진다. 주의사항은 들기름은 햇볕과 공기 중에서 쉽게 산패가 되고 굳어 버리므 로 어둡고
찬 곳인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짜낸 후 오 래 두지 말고 바로 먹는 것이
좋다. 산패된 기름은 썩은 것과 같기 때문 에 우리 몸 속에서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효능 및 복용법 주부습진 - 들깨에는 피부미용에 좋은 리놀산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가려움증이 심한 습진에 효과적이다.
들기름 이용법; 냄비에 들기름을 담고 미지근하게 데운 후 솜뭉치에 묻혀 습진이 생긴 부 위에 하루 한번씩 문지르면서 찜질을 해준다. 3일정도 꾸준히 해준다. 들깨죽 만들기
재료 : 들깨 반컵, 불린쌀 1컵, 물 6컵
1. 들깨와 쌀을 물에 불려 갈아서 냄비에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2. 죽이 끓을 때 넘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은근한 불에 끓인다.
소화불량 - 들깨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씩 10일 이상 생식한다.
고혈압 -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식사 1시간 전후에 15일 이상 생식한다.
▶들깨잎은 생약명 [임자엽(荏子葉)]이라고 한다.
주요 영양소
들깻잎에는 칼슘·철·인·마그네슘 등의 미네랄, 비타민 A(베타카로틴)·C·라이신·리놀레닉 산 등의 식물성 영양소,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비타민E.F들어있어서 머리카락이 윤기나고 피부미용에 좋다
2.아파리 놀렌산 성분다량 함유로 머리가 좋아지고(학습에큰효과)
참깨(0.7%)
들깨(60%) 동의보감
3.고급 불포화지방산 함유로 성인병예방 변비해소 최고
4.아미노산 중에 아르기산과 리신 풍부
5.최근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오메가3 (볶지않은것)다량함유 밝혀짐
6.들깨는 흔치 않는 폐보약.(저 어릴때 부친이 폐병이셨는데 겨울이면 조청에 들깨가루를 섞어
상시 복용)
▶들깨잎에 "치매 예방" 성분이 다량 함유
- 농진청, 로즈마린산 로즈마리 보다 7배 함유 밝혀내 -

깻잎에 치매예방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는 발표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국내에서 육성․재배되고 있는 들깨잎에는 뇌세포 대사기능을 촉진해 학습능력 향상 및 기억력 감퇴를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과 가바(GABA: γ-amino butyric acid)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농진청 두류유지작물과에서 들깨잎에 들어있는 생리활성물질인 로즈마린산과
가바 성분을 분석한 결과
들깨잎에는 항산화작용, 항염증 및 치매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로즈마린산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성분 함량은 마른 잎 1g 당 76mg/g으로 로즈마리 11mg/g보다 약 7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린산은 주로 박하, 스피아민트, 로즈마리와 같은 허브식물에 주로 함유돼 있으며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과 아울러,최근에는 뇌신경 보호로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들깨잎에는 뇌혈류 촉진효과 및 신경안정에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가바 성분이 함께 들어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기존에 육성된 잎들깨 품종 중 잎들깨1호 70mg/100g, 남천들깨 45mg/100g 등 가바 성분이 비교적 많이 함유돼 있었다.
특히 잎들깨1호에는 쌈채소인 쌈배추 10mg/100g,치커리 30mg/100g 및 상추 40mg/100g에 비해 많이 함유돼 있었다.
잎들깨는 연간 5만톤 정도 생산되며 각종 쌈 채소 및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고 최근 일부 기업에서는 잎들깨를 이용한 가바 함유 차를 개발해 제품화를 앞두고 있다.
가바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 척추에 존재하며 신경 억제성 전달물질로 뇌 혈류 및
산소공급량을 촉진시켜 뇌세포대사기능을 촉진해 학습능력 향상 및 기억력 감퇴를 예방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
최근 가바 성분은 알콜중독 치료, 불안감 해소, 고혈압 강하, 인슐린 효과의 증대, 식욕
증진, 우울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일본에서는 가바 성분을 소재로 다양한 기능성 식품개발이 진행 중이며 항스트레스,
긴장해소용으로 각종 음료 및 제과 제품이 개발돼 판매되고 있다.
▶들깻잎의 효능
항균·항암 효과에 철분 함량 최고
들깨는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재배된 대표적 작물 중 하나이며 현재 인도, 일본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고 비타민 A와 C의 함량도 높다.
철분의 함량은 시금치에 비해 2배 이상으로 식물성 식품 중 가장 높은 편이다.
약용
한방에서는 강장, 소화, 충독, 옻 해독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잎에 함유되어 있는 식이섬유소는 당뇨병, 비만 예방, 항균ㆍ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들깻잎에서 추출한 정유는 소스, 과자, 치약 등의 향료로도 이용되며, 강한 방부력을 가지고 있어 항곰팡이 제재로도 이용되고 있다.
요리
육류 섭취 시 상추와 깻잎을 쌈채소로 가장 많이 이용한다.
그 밖의 저장식으로는 깻잎절임, 튀김, 나물, 깻잎김치 및 양념으로 사용된다.
약효
동의보감을 보면 ‘들깨는 몸을 덥게 하고 독이 없고 기를 내리게 하며 기침과 갈증을 그치게 하고 간을 윤택하게 해 속을 보하고 정수(精髓), 즉 골수를 메워준다’고 적혀 있다.
한방에서는 들깻잎이 열을 내리게 해 열 감기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체한 기운이 있는 사람이나 구토, 설사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속을 고르게 하고 취기를 없앤다.
벌레 물린 데 또는 종기에도 찧어서 붙이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들깻잎에 관한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생리활성 성분인 파이톨과 에이코사트리에노익에시드(ETA)는 인체의 암세포 증식을 강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암세포의 DNA 합성과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물질은 암세포만 찾아서 제거하는 자연 살해세포의 활성을 높여 항암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의 기능과 기타 병원균 제거를 통해 면역력을 좋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염증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과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항해 면역물질을 증가시키는 보조제로 사용된다는 보고도 있다.
또한 항산화 작용, 항돌연변이 작용 및 항균 작용을 한다고 여겨진다.
들깻잎의 주요 색소인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플라보 글리코사이드와 같은 안토시안계 색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일본에서는 식용착색제로 이용되고 있다.
조리 포인트
들깻잎은 불고기, 갈비, 생선회 등을 먹을 때 잘 어울리는 채소이다.
고기에 함량이 낮은 비타민 A와 C 그리고 칼슘 등이 깻잎에서 충당되고 쇠고기에 많은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내 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뛰어나다.
제철과 선택법
과거에는 주로 종실을 채취할 목적으로 들깨를 재배하는 동안 잎을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잎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잎만 생산하기 위한 잎들깨용 품종이 개발됐다.
특히 겨울철 비닐하우스 재배를 통해 깻잎을 연중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들깨국수
입맛 열려라 들깨
【【재료】 밀가루, 들깨, 애호박, 표고버섯, 깨소금
【만드는 법】
1. 들깨는 곱게 믹서에 갈고 들깨즙은 얇은 주머니에 넣고 짠다.
2. 밀가루 반죽에 들깨를 넣고 소금, 식용유로 간을 맞춘다.
3. 들깨 엑기스를 끓이다가 면을 넣고 함께 끓인다.
4. 애호박, 표고는 채썰어서 살짝 볶아 국수 위에 고명으로 올린다.
들깨는 기름작물로서 용도가 다양하여 강정, 차, 제과용, 튀김, 가루비누, 방수용구 등에 활용된다. 또한 들깨는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 공급원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데 40%의 기름과 16%의 단백질 및 38%의 탄수화물이 들어 있다.
들깨에는 리놀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가 거칠고 주근깨나 기미가 많은 사람, 임신 중인 사람, 신경과 두뇌를 많이 쓰는 사람, 머리카락에 윤기가 없는 사람에게 좋다. 고기를 먹을 때 들기름 같은 식물성 기름을 곁들여 먹으면 혈관을 막히게 하는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주어 혈관의 노화를 예방해 준다.
▶들깨 강정 만들기
1.재료;볶은 들깨4컵.볶은 호박씨1컵,볶은 해바라기씨1컵.볶은 검정깨1컵.볶은 깨1컵
2.재료 : 땅콩.호두.잣.대추채.볶은 여러가지 콩.호박씨.해바라기씨.
볶은 참깨.볶은 들깨.볶은 흑임자
시럽: 재료 4컵 기준.설탕 1컵.물엿 1컵(울리고당) .물 2Ts
견과재료 4컵 기준에 물엿 1컵+ 설탕1C + 물2Ts 을 젓지말고
불을 약하게 하여 저절로 끓이다가 설탕이 완전히 녹고
큰거품이 어느정도 잦아들어 반정도로 줄때
나무주걱으로 늘어 뜨려보아 뚜욱 떨어지면 알맞은 농도다.
각종 재료를 버무려서 식용유를 살짝 바른 나무판에서 판판하게 밀어서
어느정도 굳으면 먹기좋게 자른다.<쟁반이나 네모판. 밀대 >
모양은 맘대로 먹을 크기만하게 뭉쳐도 좋다.
이때 재료들을 따로따로 참깨강정,들깨강정 콩강정...맘대로 버무려 만들 수 있다.
강정은 채반이나 목기 대소쿠리 한지박스 전통그릇에 담으면 보기에 좋고
각종 씨앗강정은 영양이 가득한 겨울철 우리 과자다.
꿀 설탕 물엿을 잘 배합하여 엿물시럽을 잘 만드는게 비결이다.
양이 정확해야 실패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