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스 섬에서 출토된 이 조각은 아름다운 상반신으로 인해 비너스로 그 이름이 붙여졌다. 비너스는 여성미의 상징인 것이다. 아프로디테는 사랑과 미의 여신이며 풍요를 상징하기도 한다.
아프로디테 상징 검은 돌
키프러스 포파스 섬에는 거대한 아프로디테 신전이 있었고 이곳에서 숭배했던 검은 돌이다
현재는 쿠클리아 박물관에 보존 전시되어 있다
아프로디테와 아들 에로스
선사시대 라스코 동굴 로셀의 비너스
프랑스 풍텐블로의 비너스 조각상
선사시대, 발렌도르프
황금 사과를 차지한 아프로디테
아도니스와의 사랑
비너스의 탄생, 보디첼리, 1487,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보티첼리가 그린 <비너스의 탄생>은 호메로스의 이 글을 읽고 그려진 그림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림의 왼쪽에는 서쪽 바람의 신 제피로스와 미풍 아우라가 바람을 불어 해변 쪽으로 밀어주고 있다. 역시 시에서처럼 황금머리띠를 두른 계절의 여신 호라이가 옷을 들고 아프로디테를 맞이하고 있다. 보티첼리는 이 그림을 그리기 위해 모델에 대해 고심하다가 <시모네타 베스푸치>라는, 지금의 미스 피렌체에 해당되는 여인을 모델로 삼았다고 한다. 당시 상당한 미녀로 극찬 받았다고 하는데 폐병으로 일찍 사망했다.
카바넬, 비너스의 탄생, 오르세 미술관
아프로디테, 헤라, 데메테르
아프로디테 축제
아프로디테와 애인 아레스(전쟁의 신), 보디첼리
올림푸스의 명공(名工) 헤파이스토스의 기술과 발명품이 필요했던 제우스는 여신 중에 가장 아름다운 아프로디테와 헤파이스토스(Hepaistos)의 결혼을 명하였다. 자신의 의사와 관계 없이 가장 추남에 절름발이인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한 아프로디테는 당연히 결혼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미남인 아레스(전쟁의 신)와 연애하면서 보냈다(이들 사이에 딸 하르모니아가 태어남). 그녀는 남편을 속이고 아레스와 정을 통하다가 태양신인 헬리오스에게 밀고 당했다. 남편인 헤파이스토스는 두 사람이 나체로 껴안고 있는 장면을 목격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그물로 침대를 덮어 그들을 붙들었다. 헤파이스토스는 다른 남자 신들을 불러 두 사람을 웃음거리로 만들었으나, 포세이돈이 이 두 사람을 용서하도록 헤파이스토스를 설득했다.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사이에서 데이모스(공포의 뜻), 포보스(낭패), 테베의 왕인 카드모스와 결혼한 하르모니아(조화시키는 여자) 등 몇 명의 자식이 태어났다. 그리고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쌍방의 성질을 가진 사랑의 신 에로스가 태어났다. 아프로디테는 아레스 이외의 많은 남신들과도 정을 통했다. 디오니소스와의 사이에서는 거대한 남근을 가진 신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프리아포스,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는 에릭스가 각각 태어났다. 헤르메스가 유혹했을 때는 별로 마음이 내키지 않았으나 제우스가 보낸 독수리에게 샌들을 도둑맞자, 그 샌들을 헤르메스가 되찾아주겠다는 조건을 제시했기 때문에 그와 정을 통했다. 그 결과 양성 (兩性) 을 모두 가진 헤르마프로디토스(Hermaphroditus)가 태어났다.
아프로디테 여신
아프로디테는 성애(性愛)와 미(美)의 여신으로 로마신화의 베누스(Venus)에 해당하며 올림푸스 12신 중 하나이다. 아프로디테는 처음에는 우주 전체를 지배하는 무서운 힘으로 생각되었다. 그녀는 여성의 생식력을 표현하는 무서운 신이며 그러므로 또 자연의 번식력을 표현하는 다산의 여신이기도 하다. 원래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채소밭의 여신이었으나, 그 특성이 그리스신화의 아프로디테와 일치하므로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되었다. 이 여신은 로마시대부터 르네상스시대를 거치면서 특정의 민족신화의 틀을 벗어나, 여성의 원형으로 서양 문학과 미술에서 폭넓게 다루어졌다. 헤시오도스는 천공의 신 우라노스와 그의 아들 크로노스와의 싸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크로노스는 어머니 가이아의 음부 속에 숨어 있다가 아버지의 성기를 낫으로 잘라 바다에 던졌다. 이렇게 하여 바다를 떠다니는 성기 주위에 하얀 거품(아프로스)이 모이고, 그 거품 속에서 아름다운 처녀가 생겨났다. 알몸의 처녀는 서쪽 바람의 신 제피로스에게 떠밀려 키테라섬에 표착(漂着)하였다가 다시 키프로스섬까지 흘러왔는데, 여기서 그녀를 발견한 계절의 여신 호라이가 그녀에게 옷을 입히고 아름답게 꾸민 다음, 여러 신들의 자리로 안내하였다고 한다. 아프로디테의 탄생담이 남성 성기에서 비롯되어 키프로스와 관련을 갖고, 사랑과 열락의 여신으로서 코린트를 비롯한 각지에서 신앙대상이 되었다. 로마 신화에서 아프로디테는 사랑의 여신 비너스와 동일시되고 있다. 그 유명한 밀로의 비너스 조각상은 사실은 그리스의 섬 멜로스(현재의 밀로)에서 발견된 아프로디테의 조각상이다. 실제로 비너스는 아프로디테의 대부분의 특징을 가로채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신들 가운데 대표적 여신으로 널리 신앙대상이 되고 있는 이슈타르나 페니키아의 여신 아스타르테는 모두가 농경 재생산과 결부된 풍요 다산의 여신이면서, 한편 사랑과 열락·음탕의 여신이기도 하였다. 이 같은 오리엔트의 원시신앙을 이어받은 아프로디테를 그리스인의 풍부한 상상력과 미적 감수성이 미와 사랑의 여신이라는 하나의 인격으로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