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조(Gonzo) - こんじょう(根性) / 곤조 저널리즘(gonzo journalism)
1. 근성(根性)을 가리키는 일본어
한국어에서 "곤조"라는 단어는 보통 '성내다', '되지 않는 일로 주변 사람들에게 화를 내다', 혹은 속되게 '더러운 성질'을 지칭할때 쓰는 표현. 아직까지도 40대 이상의 어른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다.
예시)
"저 상사는 곤조가 있으니까 단단히 각오들 하라구."
"저 새끼, 또 곤조부리네.", "저 놈은 술만 먹으면 곤조가 더러워서..."
한국어에서의 근성은 문서 참고.
대한민국 해병대의 비공식 군가 중에서 '곤조가(歌)'라는 노래도 존재한다.
2. 영단어 Gonzo
영어에도 곤조(Gonzo)라는 말이 있다. 원래는 보스턴의 아일랜드계 주민들이 "철야 술 파티에서 마지막까지 버티는 사람" 을 가리키는 속어였지만,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로 유명한 헌터 S. 톰슨의 "곤조 저널리즘(Gonzo Journalism)" 으로 유명해졌다.
곤조 저널리즘(Gonzo Journalism)은 보통의 언론인들이라면 준수해야 할 필수적인 객관성과 중립성, 불간섭 원칙에서 벗어나 주관적인 1인칭 시점에서 있었던 일, 관찰자로서 느꼈던 점 등을 가감없이 표현하는 저널리즘의 한 스타일을 뜻한다. 헌터 톰슨이 그랬듯 이런 스타일의 취재를 하는 기자들은 술이나 마약 등의 힘을 빌려 인터뷰이들과 개인적인 친분을 쌓기도 하고, 취재하고자 하는 이벤트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며, 공익을 위해 취재자 본인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권력을 이용하는 등의 행동도 한다.
3. 곤조 저널리즘(gonzo journalism)
객관적 사실을 중립적으로 보도하는 언론 원칙에서 벗어나 주관을 앞세우는 다소 독단적인 보도 혹은 취재원과 대가를 주고받는 등 무리한 취재 행태를 뜻한다. 옥스퍼드 사전에 따르면 ‘곤조’가 어리석음을 뜻하는 이탈리아어(gonzo)나 미련하다는 뜻의 스페인어(ganso)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4. 인명(人名)
스페인에서 흔한 성인 곤잘레스의 애칭. 미국의 야구중계를 듣다보면 곤잘레스라는 성을 가진 선수를 이렇게 부르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이런 약칭중 유명한 것이 곤조와 롸드(Rodriguez).
kt wiz에서 임의탈퇴된 야구선수 김상현의 LG 트윈스 시절 별명이기도 하다. 중남미스러운 외모를 가져서 '곤잘레스'를 줄여 '곤조김'이 되었다. 이적 이후에도 꾸준히 이렇게 불린다. 하지만 LG 트윈스에서 에드가 곤잘레스를 영입하면서 최소한 엘빠 사이에서는 별명의 주도권(?)이 이쪽으로 넘어가버렸다.
Dok2가 자신의 PD 닉네임을 Mr. Gonzo라고 쓰기도 한다. 그의 외모로 인해 생긴 별명이라고 한다. 다만 데뷔 때 인터뷰를 보면 도끼는 곤잘레스가 아닌 1번 항목(根性)의 의미로 지었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형 미스터 고르도(MR.GORDO)와 비슷하기도 하다. 또한 두 형제의 아버지인 기타리스트 Willy Lee는 스페인, 필리핀 혼혈이라 아주 무관하지는 않다고 볼수도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GONZO라는 단어를 인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데 GONZO는 이탈리아어로 ‘바보’라는 뜻이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