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액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액 (fluid)는흔히 말하는 링거액이나 링거액은 수액의 한 종류이다. 수액은 정맥으로 수분 및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한 액체이다. 수액의 종류[편집]의학적으로 사용하는 수액은 크게 두가지로 나운다 하나는 Crystalloid (정질용액)으로 소금을 함유한.결정상(結晶狀)의; 결정의 뜻을 가지고 있는 정질(晶質)의 전해질 수액, 즉 전해질이 주성분인 수액이며 여기에 속하는 수액은 N/S, H/S 5% D/W, 5%D/S 등이 있다. 다른 하나는 Colloid(교질용액)이라고 하며 아교질 교질(膠質) Greek kolla(아교)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어떤 일정한 크기의 물질이 다른 물질에 완전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여기에 속하는 수액은 W/B, packed RBC, Plasma, albumin, dextran, HES (hydroxyethyl starch) 등이 있다. 정질과 교질의 구분[편집]1861년 Thomas Graham에 의하여 막으로 구분되는 두 구획간의 투과 여부에 따라 정질은 혈관과 같은 생체막을 쉽게 투과하는 반면, 교질은 투과하지 못한다. 알부민의 혈관 투과성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다. 또 순수 포도당 용액은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정질용액으로 분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정질과 교질의 차이[편집]교질용액은 정질용액에 비해 더 크고 확산이 안 되는 용질을 가지고 있어서 정질용액과 달리 혈관벽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혈관 내에 남아 교질삼투압을 형성하여 수분을 잡아둠으로써 혈장량을 증가시킨다. 정질용액의 반감기가 20-30분 정도인데 비하여 대부분의 교질용액은 반감기가 3-6시간에 이른다. 따라서 교질용액은 정질용액에 비해 더욱 빠르고 장시간 유지되는 혈관내액(혈장량) 보충에 유용하다. 즉 5% 알부민 용액 1 L를 투여하면 혈장 용적은 700 mL 증가하고 간질액 용적은 300 mL 증가 한다. 결정질액인 0.9% 생리식염수 1 L를 투여하면 250 mL만이 혈관 내에 남아서 혈장 용적을 증가. 나머지 750 mL는 간질액 용적을 증가하고 혈장 용적 증량 효과는 교질용액이 정질용액보다 약 3배정도 더 효과적
정질용액과 교질용액의 선택[편집]1. 임상 조건 1) 탈수로 인해 저혈량증이 생긴 환자는 정질용액을 준다. 탈수의 경우 세포외액이 구획마다 거의 동 등한 비율로 부족하기 때문에 세포 외 공간을 균등하게 채워 줄 수 있는 정질용액이 더 유리하게 작용 한다. 2) 출혈 : 정도에 따라 수액의 종류를 선택 15% 이하의 경한 출혈은 부족한 혈관내의 용적을 채우기 위해 조직간액이 혈관 내로 이동하므로 정질용액 투여한다. 혈장량의 증가보다는 조직간액의 증가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부족한 조직간액 보충해 줄수 있다. 15% 이상의 출혈은 심박출량 유지가 중요 하므로 교질용액이 정질용액에 비하여 3- 4배 정도 혈장 증량 효과가 있으므로 교질을 투여 한다. 대부분의 임상에서 3-4 L 이상의 수액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교질용액과 정질용액을 1:3의 비율로 함께 투여
3. 비용과 효율성 결론적으로 혈장량의 증가가 주요 목표일 경우에는 교질용액 전체 세포외액량의 증가가 목표일 경우에는 정질용액을 투여한다. 삼투압에 따른 수액 분류[편집]등장성수액 : Normal Saline, Hartman Solution(Lactated Ringer Soln), 5%D/W (Dextrose in Water) 저장성 : Half Saline(0.45% Saline) 고장성 : 5%D/S(Dextrose in Saline), 5% Dextrose in 0.45% Saline, 10% D/W N/S Normal Saline = 생리 식염수 = 0.9% NaCl2 용액 = 염화나트륨(소금) 9 g. 단순한 수액 보충. volume loss의 경우 주로 사용 5% D/S = 5% dextrose in N/S = 50g 포도당 in N/S 수액 및 칼로리 보충 5% D/W= 5% dextrose in Water 칼로리만 보충 10% D/W, 20% D/W, 혈액 등은 large bore(구멍) needle 사용. Hartmann's solution (lactated Ringer's solution)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5%A1 |
▶ 수액의 종류
http://m.blog.naver.com/wlsruddl0628/120055957913
▶ 수액의 종류와 용도
http://blog.naver.com/osbird/130004795850
▶ 수액요법
http://buriedlife.tistory.com/32
|